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16:21:02

데브캣

데브캣 스튜디오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회사의 로고를 모티브로 한 마비노기의 NPC에 대한 내용은 이상한 고양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마비노기 영웅전의 NPC에 대한 내용은 이상한 여행자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NXC 로고.svg NXC
산하 게임 제작사 / 계열사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3em"
파일:넥슨 로고.svg 파일:넥슨코리아로고.png 파일:넥슨게임즈 로고.svg
넥슨
(구 넥슨 재팬)

2002 파일:일본 국기.svg
넥슨코리아
(실질적 본사)

199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넥슨게임즈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니트로 스튜디오 로고.svg 파일:데브캣 스튜디오 로고.svg 파일:네오플 로고.svg
니트로 스튜디오
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데브캣
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네오플
200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Embark Studios 로고.svg 파일:세기천성_로고.svg 파일:렉시안 소프트웨어 로고.jpg
엠바크 스튜디오
2018 파일:스웨덴 국기.svg
세기천성
2004 파일:중국 국기.svg
렉시안 소프트웨어
2004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엔진스튜디오 CI.jpg 파일:엔미디어플랫폼.jpg 파일:불리언게임즈 CI.jpg
엔진스튜디오
20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엔미디어플랫폼
200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불리언게임즈
20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빅휴즈게임즈 CI.png 파일:민트로켓 로고.svg 파일:픽셀베리 스튜디오 로고.png
빅휴즈게임즈
2000 파일:미국 국기.svg
민트로켓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픽셀베리 스튜디오
201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넥슨네트웍스 로고2.jpg 파일:티디에프 CI.jpg 파일:buttons_ci.png
넥슨네트웍스
199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DF
20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버튼스
202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없어진 계열사 / 과거 계열사
파일:넷게임즈 로고.png 파일:넥슨GT 로고.jpg 파일:넥슨레드.jpg
넷게임즈
20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넥슨GT
(구 게임하이)

199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넥슨레드
(구 웰게임즈)

20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로두마니 스튜디오(가로형 로고).jpg 파일:위젯 로고.svg 파일:external/file.thisisgame.com/20130913120823_2577.jpg
로두마니 스튜디오
200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위젯
200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띵소프트
(전 네오위즈계)

200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엔도어즈.jpg 파일:글룹스.jpg 파일:넥슨모바일.png
엔도어즈
(구 인티젠)

19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글룹스
2005 파일:일본 국기.svg
넥슨모바일
(구 엔텔리전트)

200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넥스토릭 로고.jpg 파일:엔클립스 로고.jpg 파일:궁 엔터테인먼트.jpg
넥스토릭
20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엔클립스
(전 게임하이계)

200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궁 엔터테인먼트
199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시메트릭스페이스.jpg 파일:리본게임즈.png
시메트릭스페이스
200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리본게임즈
(넷마블에 매각)

20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데브캣
devCAT[1]
파일:데브캣 스튜디오 로고.svg
<colbgcolor=#ff641e><colcolor=#fff> 법인명 주식회사 데브캣
설립일 2020년 8월 12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98길 11 14층 (대치동 946-18, EG빌딩)
모기업 넥슨코리아
대표 김동건, 정길수
업종 유선 온라인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기업 규모 대기업
상장 여부 비상장 기업
직원 수 250명(2024년 7월)
자본금 1억원(2023년)
매출액 0원(2023년)
영업이익 -315억 8655만원(2023년)
당기순이익 -265억 9784만원(2023년)
자산총액 368억 417만원(2023년)
개발엔진 플레이오네 엔진 | 실버바인 엔진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넥슨 아이콘.svg파일:넥슨 아이콘 다크.svg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명칭3. 역사4. 개발 게임
4.1. 개발 중인 게임4.2. 라이브 본부로 이관된 게임4.3. 개발 중단 게임4.4. 서비스 종료 게임
5. 여담6. 주요 인물

[clearfix]

1. 개요

넥슨코리아의 개발 법인으로, 넥슨코리아의 지분율은 55.54%이다. 대표작은 마비노기, 마비노기 영웅전 등이다. 2020년 넥슨과 원더홀딩스의 합작을 통하여 주식회사 데브캣으로 분사하였다.[2]

2. 명칭

명칭의 유래는 개발자(developer)와 창조성(Creativity)과 진보된 기술(Advanced Technology)을 합친 것으로, 진보된 기술을 바탕으로 창조적인 제품을 만드는 개발자 집단을 의미한다. 이에 걸맞게 주식회사 데브캣은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차별화되는 게임을 만드는 것과 소속 분야인 게임 외에도 엔터테인먼트, IP 사업, 그리고 기타 제휴 가능한 분야로 확장할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3. 역사

파일:attachment/devcat.png 파일:데브캣 스튜디오 로고.svg
<rowcolor=#ffffff> 초기 ~ 2014[3] 2014 ~ 현재

처음엔 소수의 인원으로 구성된 팀으로 시작했지만, 첫번째 작품인 마비노기가 대박을 내며[4] 인원을 점차 보충해가면서 스튜디오로 승격하게 되었다.

오랜시간 기대를 모았던 '프로젝트 뫼비우스'가 도중에 소리소문 없이 파탄나는 일을 겪기도 했지만, 그 아픔을 이겨내고 마비노기 영웅전을 개발해냈다. 2013년에는 김동건 본부장 주도의 마비노기 2와 이은석 디렉터 주도의 프로젝트 K가 개발중이었다. 그러나 마비노기 2는 빛도 보지 못한 채 개발이 중단되었고, 프로젝트 K는 야생의 땅: 듀랑고라는 이름으로 2018년 출시되었다.

넥슨 산하 스튜디오였을 땐 본부장은 나크라고도 불리는 김동건. 아마추어 시절에는 85되었수다 등의 공개게임을 제작했으며, 개발전선에 뛰어들어 게임 개발을 했지만, 현재는 본부장으로 승격되어 데브캣 스튜디오 내에서 제작중인 각 프로젝트들을 프로듀싱하는 쪽으로 일을 하고 있다.[5]

2009년 말경 마비노기를 넥슨 라이브 본부에서 담당하게 되어 데브캣은 신작 개발 전담 팀으로 변경되었다. 후속작인 마비노기 영웅전도 서비스가 안정화되고 라이브 본부로 이관되었다. 쉽게 말하자면, 마비노기와 마비노기 영웅전은 데브캣의 손을 떠났다는 말. 원래는 PC 온라인 전문 스튜디오였으나, 마비노기 2: 아레나가 엎어진 후에는 마비노기 모바일, MARVEL 배틀라인 등의 모바일 게임을 제작 중이다.

한때 넥슨이 엔씨소프트와 긴밀한 관계일 때 N스퀘어라는 넥슨-엔씨 협력 본부가 세워졌었는데, 알려져 있는 N스퀘어에 있는 두 팀이 모두 데브캣이었다. 하지만 마비노기 2가 파탄나고 엔씨와의 관계도 험악해지면서 이 협력 본부도 소리소문없이 사라진 듯하다.

여담으로 마비노기가 서비스 기간이 길어질수록 공식 슬로건인 판타지 라이프와는 거리가 멀어져갔고 여타 다른 MMORPG와 같은 전투 위주로 흘러간다는 비판이 있었다. 그래서인지 아예 전투에 집중한 마비노기 영웅전과 전투 개념을 아예 넣지 않은 허스키 익스프레스가 나왔다. 마영전은 나름대로 성공하여 꾸준히 서비스되고 있지만 허스키는 2년만에 서비스 종료됐다.

오랜시간 별 소식없이 후속 프로젝트의 개발에 여념이 없었고, 마비노기의 경우 마비노기를 만들었던 스탭들이 나가거나, 대다수 후속 프로젝트에 동원되고 사실상 게임을 관리하는 유지보수 팀만 남는 등 여러가지 이유를 통틀어 별별 루머나 악평을 듣기도 했다.[6] 이 때문인지 2007년 지스타에서의 마비노기 영웅전 발표 당시 김동건 실장은 "3년동안 아무것도 안 한다고 말을 들어도 뭐라 말을 못하는 게 서러웠지만 이제는 당당하다."라고 감회를 밝힌 바가 있다.

2020년 6월 18일 김동건 등 데브캣 스튜디오의 핵심 개발자들이 넥슨에서 스튜디오 독립을 추진하고 있다는 기사가 나왔다.#

6월 23일, 넥슨과 원더홀딩스의 합작 법인 형태로 넥슨으로부터 독립한다는 것이 공식화 되었다. #

7월 31일, 신설법인 데브캣 원더홀딩스의 공동대표로 본부장 김동건과 원더피플 대표인 류제일이 내정됐다. #

4. 개발 게임

4.1. 개발 중인 게임

4.2. 라이브 본부로 이관된 게임

상술한대로 2009년 당시 데브캣 스튜디오가 신작 개발 전담으로 바뀌면서 마비노기가 라이브 전담 부서로 이관되었다. 마비노기 영웅전도 개발 완료 후 서비스가 안정화될 때까지는 데브캣 산하에 있었으나, 이후 계획대로 이관되었다.

4.3. 개발 중단 게임

4.4. 서비스 종료 게임

5. 여담

6. 주요 인물


[1] 넥슨코리아에서 주식회사 데브캣으로 분사[2] 비슷한 시기에 니트로 스튜디오도 독립 스튜디오 형태의 신규 개발법인으로 개편되었다.[3] 2014년 3월 16일까지 사용했다.[4] 시기적으로 운이 좀 따랐다고 봐야한다. 샤이닝로어가 망하고 나서 나온 게임인데 샤로 유저들이 비슷한 게임을 찾다가 발견했고 그래서 초반부터 입소문을 좀 탔다. 거의 수평이동 수준. 또한 라그나로크 온라인의 유저들도 대량으로 흡수했다.[5] 지금도 마비노기의 핵심 코어로 사용되고 있는 플레이오네 엔진이 그의 첫 작품이다. 그런데 본인은 이 첫 작품을 만들었다는 사실을 부끄러워 한다고 한다. 플레이오네 엔진의 한계를 생각하지 않고 쓸데없이 크기만 한 이리아를 도입한 2대 팀장(인플레임즈)에게도 그 책임이 있다.[6] 오픈베타 중반 이후 마나리, 아트D 등의 핵심 멤버가 바뀌었다는 루머가 돌았다.[7] 이관 이후에도 게임 시작시 데브캣 로고를 노출해왔으나, 2018년 10월 10일 어센던트 원 관련 사건으로 인해 데브캣 로고를 삭제했다.[8] 마비노기 이후의 후속작으로 개발했던 게임으로 본명은 건메이트이다. 마비노기 G2와 G3 사이쯤부터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입사 모집 안내에는 기존 게임의 상식을 뛰어넘는 비주얼, 콘솔 게임과 같은 쾌적한 환경 등을 내세웠지만, 개발에 진척이 없었던 것인지 김동건(나크)이 넥슨에 도입한 품질보증 시스템에 의해 고꾸라졌고, 아무런 소식 없이 시간만 질질끌다 06년 10월 25일자 게임샷과의 인터뷰에서 프로젝트가 취소되었음을 알렸다.[9] 엑스박스 360을 기반으로 콘솔 이식한 마비노기이다. 그러나 시장성의 의문과 마이크로소프트사와의 과금 및 서비스 정책을 도입하지 못해 결국 개발중단되었다.[10] 이 드립은 자사의 게임인 링토스 세계여행의 네임드 레벨인 레벨 230의 제목으로도 쓰여졌다. 맵을 클리어하면 맵의 칸막이들이 DEVCAT이라는 글자를 구성한다.[11] 그나마 아머 마스터리의 등장으로 천옷만 입는걸 강요받게 되진 않았다.[12] 아트디렉터(디자이너?!)로 시작 → 팀장으로 승진했다. 2002년 넥슨에 입사했고 한재호 디렉터와 입사 동기인 선배다. 그리고 데브캣에서 근무하던 개발자들 일부가 왓 스튜디오로 이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