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ccc><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입석 · 간선 | ||
좌석 | |||
지선 | |||
출근 맞춤 | |||
셔틀 버스 |
454번 ||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좌석버스 454번 | |||||
기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매동(시지 종점) | 종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매동(시지 종점)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22:30 | 막차 | - | ||
평일배차 | ??분 | 주말배차 | ??분 | ||
운수사명 | 공동배차 | 인가대수 | 13대[A] | ||
노선 | 시지지구 - 신매초교 - 수성알파시티역 - 담티역 → 국립대구박물관 → 황금네거리 → 중동교 → 영대병원역 → 서부정류장 → 제일여상 → 두류역(달성고교) → 신평리네거리 → 북부정류장 → 팔달시장 → 북구청 → 침산네거리 → 경북도청(현. 대구광역시청 산격동 청사) → 경북대북문 → 영진전문대후문 → 동구청 → 대구일마이스터고교 → 효목네거리 → 동부중교 → 무열대 → 담티역 - 이후 역순 |
대구광역시 좌석버스 454-1번 | |||||
기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매동(시지 종점) | 종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매동(시지 종점)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22:30 | 막차 | - | ||
평일배차 | ??분 | 주말배차 | ??분 | ||
운수사명 | 공동배차 | 인가대수 | 13대[A] | ||
노선 | 시지지구 - 신매초교 - 수성알파시티역 - 담티역 → 무열대 → 동부중교 → 효목네거리 → 대구일마이스터고교 → 동구청 → 영진전문대후문 → 경북대북문 → 경북도청(현. 대구광역시청 산격동 청사) → 침산네거리 → 북구청 → 팔달시장 → 북부정류장 → 신평리네거리 → 두류역(달성고교) → 제일여상 → 서부정류장 → 영대병원역 → 중동교 → 황금네거리 → 국립대구박물관 → 담티역 - 이후 역순 |
2. 개요
3. 역사
- 1998년 개편 전에는 345번 좌석버스였다. 당시에는 순환형 노선이 아닌 '만촌동(대륜중고교)~반야월'을 크고 아름다운 ㄷ자를 그리면서 오가던 장거리 노선이었다.
- 1998년 개편 때 반야월 구간이 폐지되고 만촌동을 기점으로 하는 순환형 노선으로 변경되고, 일부 경유지가 변경되었다. 당시 경북도청(현 대구광역시청 산격동 청사)에서 경대교~파티마병원~큰고개오거리를 거쳐 반야월로 갔으나, 파티마병원 구간이 폐지되고 경대북문과 복현오거리로 올라가서 3차순환로를 따라 만촌동까지 갔다.
- 일자 미상으로 큰고개오거리 고가도로를 경유하지 않고 동구청과 효동초교를 거쳐서 효목네거리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와 함께 도로 구조 문제 때문에 454번은 효목네거리에서 바로 좌회전하지 못하고 동부중학교를 경유해서 무열대로로 들어왔다.
- 2004년(?)에 기점이 만촌동에서 시지지구까지 연장되었다.
- 2006년 2월 개편 때 폐선되었으며, 3차순환도로 구간은 순환3번이, 동부중교-큰고개오거리 구간과 복현오거리-CBS방송국 구간[3], 북구청-만평네거리 구간은 323(-1)번이, 복현오거리-대구시청산격동청사 구간[2015년_개편_이후]과 CBS방송국-북구청 구간은 300번, 시지지구-남부정류장 구간은 724번이 맡고 있다.
4. 특징
- 345번 시절에는 배차간격도 제법 짧았고 1998년 개편 이후에도 배차간격이 짧은 편이었으나, 조금씩 변하는 도시 구조, IMF 이후 좌석버스 기피 현상과 맞물려서 점점 승객이 줄어들었고,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차가 되었다.
- 한때는 신천대로를 잠깐이나마 경유하는 노선이었다. 봉덕시장에서 중동교로 갈 때 봉덕로를 끝까지 타서 신천대로로 진입한 뒤 중동교에서 좌회전했고 반대편으로는 중동교에서 신천대로로 우회전해서 희망교에서 U턴한 뒤 봉덕로로 진입했다. 454(-1)로 바뀐 뒤에도 신천대로 구간이 유지되었으나 일자 미상으로 신천대로 구간을 버리고 405번처럼 왕복2차선 대봉로 경유로 변경되었다.
- 고등학교를 많이 경유했던 노선이었다. 시지고, 덕원고, 대구자연과학고[5], 대륜중고교, 경북고, 정화여고, 대구고, 대구제일여상, 원화여고, 경화여고, 상서여상[6], 서부공고[7], 달성고, 영진고, 대구정보관광고[8], 동부공고[9]까지 무려 16개나 된다. 그렇지만 당시에는 성인 기준으로도 좌석버스 요금이 일반버스 요금의 2배에 달했고, 좌석버스 학생 요금이 인하된 게 2002년이므로 그 전에는 좌석버스를 이용할 때 학생도 성인 요금을 이용해야 해서 요금 부담이 컸다. 그래서 일부 장거리를 이동하거나 학교까지 가는 버스가 좌석버스밖에 없는 경우가 아니면 대다수의 학생 승객들은 이 노선을 외면했다.
- 이 노선이 일반버스로 형간전환했으면 위에 열거한 학교들의 학생 수요도 챙길 수 있고, 여기저기서 구간수요가 생길 만한 노선이었는데 폐선될 때까지 좌석버스로 다녔고, 말년이 그리 좋지 않았다.
- 중간경유지 번호가 본래대로라면 북구권역 3번이거나 동구권역 1번이 였음에도 불구한데, 이미 동일한 일반버스 노선 번호 414(-1), 434(-1)가 있었고 성서권역에 해당되는 감삼네거리, 동본리네거리를 경유해서인지 5번으로 정해진 듯하다.[10][11]
5. 연계 철도역
폐선일 기준.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영대병원역, 현충로역, 안지랑역, 대명역, 성당못역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신매역, 고산역, 수성알파시티역, 연호역, 담티역, 만촌역, 감삼역, 두류역
*
*
6. 관련 문서
[A] 2000년대 초반에는 17대였으나 이후 감차되어 2004년에는 13대였는데, 이후에 더 감차됐는지는 불명.[A] [3] 2015년 8월 1일 개편 이후 323(-1)번이 산격종합시장을 경유함에 따라 복현오거리-대구시청산격동청하 구간은 300번이 맡고 있다.[2015년_개편_이후] 2015년 8월 1일 개편 이후부터[5] 2018년에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로 교명 변경[6] 이후 상서고등학교로 교명 변경[7] 이후 대구과학기술고등학교로 교명 변경[8] 이후 대구관광고로 교명 변경[9] 이후 대구일마이스터고로 교명 변경[10] 이와 비슷한 유형으로 2006년 개편때 신설되었다가 2015년도 폐선된 400(-1)번도 있었다. 중간경유지가 남구인 0번인데도 성서 권역에 해당되는 5번 경유지로 간 것[11] 그 당시 5번 권역인 죽전네거리로 가야했었지만 당시 대구 2호선 공사로 좌회전 금지 때문인지라 감삼네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제일여상으로 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