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레고 비디오 게임 시리즈 일람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오리지널 시리즈 ] {{{#!wiki style="margin: -5px -1px" | <colcolor=#0f0f0f,#ddd>1990년대 레고 아일랜드(1997) · 레고 체스(1998) · 레고 크리에이터(1998) · 레고 로코(1998) · 레고 레이서(1999) · 레고 락 레이더(1999) · 레고랜드(1999) 2000년대 레고 크리에이터: 나이트 킹덤(2000) · 레고 스턴트 랠리(2000) · 레고 알파팀(2000) · 레고 아일랜드 2: 브릭스터의 복수(2001) · 레고 레이서 2(2001) · 레고 싸커 매니아(2002) · 레고 아일랜드 익스트림 스턴트(2002) · 드롬 레이서(2002) · 바이오니클 더 게임(2003) · 바이오니클 히어로즈(2006) 2010년대 레고 유니버스(2010) · 레고 시티 언더커버(2013) · 레고 키마의 전설 온라인(2013) · 레고 미니피규어 온라인(2014) · 레고 월드(2017) · 레고 브롤즈(2019) · 레고 빌더스 저니(2019) 2020년대 레고 레거시: 상자 속의 영웅들(2020) · 레고 브릭테일즈(2022) · 레고 2K 드라이브(2023) · 레고 보이저스(2025) · 레고 파티!(2025)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라이선스 시리즈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color=#0f0f0f,#ddd>스타워즈 시리즈 레고 스타워즈: 더 비디오 게임(2005) · 레고 스타워즈 2: 더 오리지널 트릴로지(2006) · 레고 스타워즈: 컴플리트 사가(2007) · 레고 스타워즈 3: 클론 전쟁(2011) · 레고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2016) · 레고 스타워즈: 스카이워커 사가(2022) DC 코믹스 레고 배트맨: 더 비디오 게임(2008) · 레고 배트맨 2: DC 슈퍼히어로즈(2012) · 레고 배트맨 3: 비욘드 고담(2014) · 레고 DC 슈퍼빌런(2018) · 레고 배트맨: 레거시 오브 더 다크 나이트(2026) 마블 코믹스 레고 마블 슈퍼히어로즈(2013) · 레고 어벤져스(2016) · 레고 마블 슈퍼히어로즈 2(2017) 해리 포터 시리즈 레고 크리에이터: 해리 포터(2001) · 크리에이터: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2002) · 레고 해리 포터: 이어스 1-4(2010) · 레고 해리 포터: 이어스 5-7(2011) · 레고 해리 포터 콜렉션(2016) |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 레고 인디아나 존스: 디 오리지널 어드벤처(2008) · 레고 인디아나 존스 2: 디 어드벤처 컨티뉴(2009) 디즈니/픽사 시리즈 레고 캐리비안의 해적: 더 비디오 게임(2011) · 레고 인크레더블(2018) 반지의 제왕 시리즈 레고 반지의 제왕(2012) · 레고 호빗(2014) 레고 무비 시리즈 레고 무비 비디오 게임(2013) · 레고 닌자고 무비 비디오 게임(2017) · 레고 무비 2 비디오 게임(2019) 레고 포트나이트 오디세이(2023) · 브릭 라이프(2024) · 탐험대(2025) 단일 게임들 갤리도어: 외부 차원의 수호자(2002) · 레고 쥬라기 월드(2015) · 레고 디멘션즈(2015) · 레고 호라이즌 어드벤처(2024) | }}}}}}}}}}}} |
| ||||||||||
비디오 게임 | → | 오리지널 트릴로지 | → | 컴플리트 사가 | → | 클론 전쟁 | → | 깨어난 포스 | → | 스카이워커 사가 |
'''{{{#ffffff 레고 스타워즈: 컴플리트 사가 LEGO Star Wars: The Complete Saga ''' | |
<nopad> | |
개발사 | Tt Games |
유통사 | LucasArts | Feral Interactive (Mac OS X) | Warner Bros. Interactive Entertainment (모바일) |
플랫폼 | Xbox 360[1] | PlayStation 2 | PlayStation 3| iOS | Android |
장르 | 액션 어드벤처 |
공식 레고 스타워즈: 컴플리트 사가 홈페이지 | |
발매일 | |
닌텐도DS, 플레이스테이션3, Wii, 엑스박스360 | 2007년 11월 6일 |
iOS Android | 2014년후반기 |
1. 개요2. 캐릭터 능력/역할군3. 플레이어블 캐릭터4. 스테이지
4.1. 에피소드 I: 보이지 않는 위험4.2. 에피소드 II: 클론의 습격4.3. 에피소드 III: 시스의 복수4.4. 에피소드 IV: 새로운 희망4.5. 에피소드 V: 제국의 역습4.6. 에피소드 VI: 제다이의 귀환
5. 전작들과의 차이점6. 여담1. 개요
2007년 11월 6일에 출시된 레고 게임. 닌텐도 DS, 플레이스테이션 3, Wii, 엑스박스 360으로 출시했다.
이후에 스마트폰[2]으로 이식되었다.
기본적으로 레고 스타워즈 시리즈 1편과 2편의 합본이며, 캐릭터 및 탈것이 추가되고 몇몇 스테이지 구성이 변경되었다.
2. 캐릭터 능력/역할군
- 제다이
- 광선검을 사용할 수 있어 이 시리즈의 근접전 전투를 담당하는 역할군이다.
- 지상 3단 콤보과, 1단 점프 공격, 그리고 2단 점프 낙공인 제다이 슬램이 있는데 제다이 슬램은 광역기 판정이며, 1단 점프 공격과 제다이 슬램 모두 상대방의 가드를 무시하는 판정을 가지고 있다.[3]
- 가드[4]로 지상 광선검 공격을 막아내거나 블래스터 탄환을 튕겨낼 수 있으며, 저스트 가드를 하면 블래스터 볼트를 쏜 사람을 향해 도로 반사시킬 수 있다.
- 지상 평타를 저스트 입력을 하면 3단 콤보의 마지막 일격이 가불기 판정을 가지게 되며 일반 잡몹을 상대로는 즉사 판정까지 가지게 된다.
- 포스 점프[5]가 가능해 일반 캐릭터 보다 높은 곳에 도달할 수 있다.[6]
- 반짝이는 효과가 나타나는 사물들을 포스로 이용해서 움직이거나 변형시킬 수 있다.
- 배틀 드로이드 계열 몹을 상대로는 포스를 이용해 밀어내는 공격을 할 수 있으며[7] 클론 트루퍼/스톰트루퍼계열 몹을 상대로 포스를 이용해 헬멧을 반대 방향으로 돌려버려 잠시 행동 불능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여타 잡몹을 상대로는 제다이 마인드 트릭으로 경직 상태로 만들 수 있다.
- 프로토콜 드로이드
- C-3PO와 TC-14이 속한 역할군으로 프로토콜 드로이드 패널을 조작할 수 있는게 유일한 기능이다. 이동속도도 느리고 점프도 불가능해 프로토콜 드로이드가 출연하는 스토리 모드 스테이지 퍼즐 기믹 중 상당수가 프로토콜 드로이드 파트너를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 아스트로맥 드로이드
- R2-D2, R4-P17, R2-Q5 가 속하는 역할군으로 아스트로맥 드로이드 패널을 조작할 수 있으며 발에 제트 엔진으로 잠시동안 공중 부유도 가능하다. 덤으로 패널을 조작하는 단자를 다른 드로이드들에게 스턴건처럼 사용해 경직을 먹일 수 있다.
- 하이점프 캐릭터
- 레고 스타워즈 2에서 삭제되었던 역할군이 프리퀄 삼부작으로 인해 돌아와 자자 빙크스, 그리버스 장군 그리고 그리버스 보디가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기에 건간족 전투원인 타팔스 장군이 신규 캐릭터로 추가되었다.
- 제다이의 포스 2단 점프로는 닿을 수 없는 높은 곳까지 점프가 가능하다, 덤으로 그리버스는 광선검 유저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포스 능력은 전무해 포스 관련 기믹이랑 일절 상호작용을 할 수 없다. [8]
- 블래스터 캐릭터
- 이 게임의 원거리 전투를 담당하는 역할군으로 블래스터 볼트로 멀리에 있는 적을 맞춰 피해를 입힌다.
- 와이어 그래플 건 지점을 사용해 고지로 이동하거나 낭떠러지를 건널 수 있다.
- 과녁을 맞춰 스테이지를 진행하는 기믹을 돌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 일부 주요 블래스터 캐릭터[9]에게 오토 타겟팅 기능과 자동 볼트 회피 기능이 있다.
- 블래스터 캐릭터를 포함한 일부 비(非)포스 능력자 캐릭터들에게 맨손 체술 능력[10]과 낙법 능력[11]이 있다.
- 낙법시전 후 3점사 공격으로 연계가 가능하다.
- 아동 체형 캐릭터
- 프리퀄 시리즈의 아나킨 스카이워커 (유년기)와 보바 펫 (유년기), 오리지널 시리즈의 자와, 어그노트, 이워크, 등이 속하는 역할군으로 소형 통로를 드나들 수 있다. [12]
- 자와와 어그노트는 아스트르로맥 드로이드가 사용하는 것과 동일 사양의 스턴건을 사용하며, 이워크는 독자적인 무기군인 슬링샷을 사용한다.
- 요다도 유일하게 제다이 중에서 아동 체형 캐릭터 기믹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 시스
- 제다이의 모든 능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제다이는 상호작용 불가능한 빨간색으로 반짝이는 다크 사이드 블록까지 포스로 조작이 가능하다.
- 다스 베이더는 포스 쵸크로, 두쿠 백작과 다스 시디어스는 포스 라이트닝으로 인간 및 기타 외계인 잡몹을 즉사시킬 수 있다.
- 덤으로 2편 제오노시스 파드메는 포스 쵸크 자체가 안 먹히는 버그(?)가 있다.
- 여담으로, 무려 루크 스카이워커 마저(!) 포스 초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오로지 가모리안 경호대에게만 사용할 수 있다. [13]
- 제국군
- 블래스터 캐릭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제국군 패널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 각종 스톰트루퍼 병력과 윌허프 타킨을 비롯한 제국군 장교들, 그리고 각종 제국군 비행 조종사들이 이 캐릭터군에 속한다.
- 스톰트루퍼가 이 게임에서 특히 개그캐 속성이 강조되어있어 낙법시 여타 블래스터 캐릭터 와는 다르게 낙법을 제대로 취하지 못하고 우스꽝스럽게 땅바닥에 철퍼덕하고 자빠진다.훈련상태가 개판이네. 근데 한편으로는 영화와는 달리 총은 또 귀신 같이 잘 쏜다는 게 함정
- 덤으로, 다스 베이더와 다스 시디어스도 제국군 패널과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 깨알 같은 원작 고증 복선으로, 프리퀄 삼부작의 각종 클론 트루퍼 병력도 제국군 패널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 반면에 희한하게도 제국 스파이는 제국군 패널과 상호작용할 수 없다.
- 바운티 헌터
- 블래스터 캐릭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바운티 헌터 패널과 상호작용 수 있다.
- 모두 공통적으로 수류탄 계열 무기인 서멀 데토네이터를 사용할 수 있어 은색 레고 사물을 파괴할 수 있다.
- 부자 장고 펫과 보바 펫은 2단 점프 대신 제트팩을 이용해 아스트로맥 드로이드처럼 체공할 수 있으며, 각각 아버지는 쌍권총, 아들은 한 발에 2점씩이나 깍이는 대구경 소총을 가지고 있어 둘 다 평타 딜링 또한 일반 블래스터 캐릭터의 2배이고, 상점에서 구매하면 제트펙에서 유도탄 로켓도 발사가 가능하다.
- IG-88과 4-LOM모두 추가적으로 아스트로맥 드로이드와 프로토콜 드로이드 패널과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드로이드 답지 않게 점프, 자동 타겟팅, 자동 회피가 가능하다. 거기에다 4-LOM은 보바 펫과 같은 대구경 소총을 사용한다.
- 포스의 영
- 제다이의 모든 능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완전무적이며 적들의 어그로를 끌지 않는 이 게임 최고의 사기 캐릭터들이다.
- 특이하게 아니킨의 포스의 영 형태는 스턴건으로부터 경직을 당한다.
- 공통 기능
- 레고 블록 조립: 땅바닥에 널부러져 있는 레고 블록을 조립하는 스테이지 기믹과 상호작용.
- 사물 밀기 기믹: 특정 격자 무늬 패턴 구간에서 레고 상자를 의도하는 위치로 옮기는 기믹.
- 변장 기믹: 헬멧 보급대에서 스톰트루퍼나 바운티 헌터의 헤멧을 착용해 해당 역할군의 특수 기믹[14] 을 시용할 수 있게 한다.
- 드로이드들은 위의 기믹과 상호작용이 불가능하다.
3. 플레이어블 캐릭터
3.1. 캐릭터
레고 스타워즈: 컴플리트 사가에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의 모록으로 스토리 모드 플레이를 통해 해금[15]하거나 상점에서 구매하여 해금[16]할 수 있다.
상점 구매 캐릭터는 ★표시
- 제다이
- 콰이곤 진
- 오비완 케노비[17]
- 아나킨 스카이워커[18]
- 메이스 윈두[19]
- 요다[20][21]
- 벤 케노비[22][23]
- 루크 스카이워커[24]
- 루미나라 운둘리★
- 키-아디-문디★
- 킷 피스토★
- 샤크 티★[25]
- 아일라 세큐라★
- 플로 쿤★ - 프로토콜 드로이드
- TC-14
- C-3PO - 하이점프 캐릭터
- 자자 빙크스
- 타팔스 장군★[26]
- 마그나가드★[27][28]
- 그리버스 장군★ - 블래스터 캐릭터
- 파나카 대장
- 파드메 아미달라[29]
- 츄바카[30]
- 레아 오르가나/레아 공주[31]
- 안틸레스 선장
- 반란군 동료[32]
- 루크 스카이워커[33][34]
- 한 솔로[35][36][37]
- 랜도 칼리시안[38][39]
- 나부 경호대★
- 지오노시안★[40][41]
- 우키★[42]
- 반란 연합군★[43]
- 터스켄 약탈자★
- 베스핀 경호원★
- 자바 왕궁 경호원★
- 스키프 경호원★
- 아크바 제독★ - 아스트로맥 드로이드
- R2-D2
- R4-P17
- R2-Q5★ - 아동 체형 캐릭터
- 아나킨 스카이워커(유년기)
- 보바 펫 (유년기)★
- 자와★[체력2칸][45]
- 어그노트★[체력2칸][47]
- 위켓[48]
- 이워크★[49] - 시스
- 다스 베이더[50][51]
- 다스 몰★[52]
- 두쿠 백작★[53][54]
- 다스 시디어스★[55] - 드로이드
- PK 드로이드★
- 핏 드로이드★
- GNK 드로이드★
- 배틀 드로이드★[56]
- 드로이데카★[57]
- 슈퍼 배틀 드로이드★[체력2칸] - 바운티 헌터
- 잼 웨셀★
- 장고 펫★[59][60][61]
- 보바 펫★[62][63][64]
- 그리도★
- 보스크★
- IG-88★[65]
- 덴가★
- 4-LOM★[66][67] - 클론 군단/제국군
- 커맨더 코디[체력2칸][69]
- 클론 트루퍼★[70]
- 스톰트루퍼★[71][72]
- 제국 장교★[체력2칸]
- 제국 왕복선 파일럿★[체력2칸]
- 죽음의 별 트루퍼★[체력2칸]
- 타이 파일럿★[체력2칸]
- 황실 친위대★[체력2칸][78][79] - 이외의 정예몹
- 제국 스파이★[80]
- 가모리안 경호대★[체력2칸][82][83] - 포스의 영
- 벤 케노비, 포스의 영★
- 아나킨 스카이워커, 포스의 영★
- 요다, 포스의 영★ - 기타 캐릭터
- 팰퍼틴 의장[84]
- 보스 나스★[85][86]
- 와토★[87]
- 덱스터 제스터★[88][89]
- 라마 수★[90][91]
- 타운 위★[92][93]
- 로봇(Lobot)★[94]
- 빕 포르투나★[95] - 특전 캐릭터
- 인디아나 존스★[96][97] - 커스텀 캐릭터[98][99]
- 커스텀 캐릭터 슬롯 1
- 커스텀 캐릭터 슬롯 2
3.2. 특정 스테이지 조작 가능 캐릭터
Extra의 EXTRA TOGGLE을 켜야 가능하다.
* AT-AT 운전병-에피 6: 3번째 스테이지
* 스카웃 트루퍼-에피 6: 3, 4번째 스테이지
* 랭커- 에피 1:미니킷 보너스
* MSE 드로이드-에피 4: 4, 5번째 스테이지 에피6: 5번째 스테이지
* 제국 건설 인부-MSE 드로이드와 동일.
* AT-AT 운전병-에피 6: 3번째 스테이지
* 스카웃 트루퍼-에피 6: 3, 4번째 스테이지
* 랭커- 에피 1:미니킷 보너스
* MSE 드로이드-에피 4: 4, 5번째 스테이지 에피6: 5번째 스테이지
* 제국 건설 인부-MSE 드로이드와 동일.
3.3. 조작 불능 캐릭터
3.4. 비행체
상점에서 구매 해금하는 비행체는 ★표시- 아나킨의 포드레이서
- 무장 없음 - 나부 스타파이터
- 레이저 무장
- 미사일 최대 3개 탑재
- 케이블 사용가능 - 아나킨의 스피더
- 레이저 무장
- 미사일 최대 3개 탑재 - 공화국 건쉽
- 레이저 무장
- 미사일 최대 3개 탑재
- 케이블 사용가능 - 제다이 스타파이터
- 레이저 무장
- 미사일 최대 3개 탑재 - X-wing:
- 레이저 무장
- 미사일 최대 3개 탑재 - Y-wing
- 레이저 무장
- 미사일 최대 5개 탑재 - 스노우스피더
- 레이저 무장
- 미사일 최대 3개 탑재
- 케이블 사용가능 - 밀레니엄 팔콘:
- 레이저 무장 (오토 타겟팅)
- 미사일 최대 3개 탑재 - 세불바의 포드레이서★
- 젬 웨셀의 에어스피더★
- 레이저 무장
- 미사일 최대 3개 탑재 - 트라이 파이터★
- 레이저 무장
- 미사일 최대 3개 탑재 - 벌쳐 드로이드★
- 레이저 무장
- 미사일 최대 3개 탑재 - 클론 아크파이터★
- 레이저 무장
- 미사일 최대 3개 탑재 - TIE 파이터★
- 레이저 무장
- 미사일 최대 3개 탑재 - TIE 인터셉터★
- 레이저 무장
- 미사일 최대 3개 탑재 - TIE 파이터 (다스 베이더)★
- 레이저 무장
- 미사일 최대 3개 탑재 - TIE 폭격기★
- 레이저 무장
- 미사일 최대 5개 탑재 - 제국 왕복선★
- 레이저 무장
- 미사일 최대 3개 탑재 - 슬레이브 I[102]
- 레이저 무장
- 미사일 최대 3개 탑재
- 무장 없음
4. 스테이지
4.1. 에피소드 I: 보이지 않는 위험
- Ch. 1 Negotiations
- 스토리 모드 캐릭터: 콰이공 진, 오비완 케노비 (파다완), TC-14
- 등장 적대 세력: 배틀 드로이드 (보안), 배틀 드로이드, 드로이데카
- 미니킷: 컨슐러급 순양함
- 파워블록: Super Gonk[103] - Ch. 2 Invasion of Naboo
- 스토리 모드 캐릭터: 콰이공 진, 오비완 케노비 (파다완), 자자 빙크스
- 등장 적대 세력: 배틀 드로이드
- 미니킷: 건간 봉고
- 파워블록: Poo Money[104] - Ch. 3 Escape from Naboo
- 스토리 모드 캐릭터: 파나카 대장, 아미달라 여왕, 콰이공 진, 오비완 케노비 (파다완)
- 등장 적대 세력: 배틀 드로이드
- 미니킷: 나부 로얄 스타쉽
- 파워블록: Walkie Talkie Disable[105] - Ch. 4 Mos Espa Podrace
- 스토리 모드 캐릭터: 아나킨의 포드레이서
- 등장 적대 세력: 세불바의 포드레이서
- 미니킷: 세불바의 포드레이서
- 파워블록: Power Brick Detector[106] - Ch. 5 Retake Theed Palace
- 스토리 모드 캐릭터: 콰이공 진, 오비완 케노비 (파다완), 파드메 (전투), 파나카 대장, 아나킨 스카이워커 (유년기), R2-D2
- 등장 적대 세력: 배틀 드로이드, 드로이데카
- 미니킷: 나부 스타파이터
- 파워블록: Super Slap[107] - Ch. 6 Darth Maul
- 스토리 모드 캐릭터: 콰이공 진, 오비완 케노비 (파다완)
- 등장 적대 세력: 다스 몰, 배틀 드로이드, 배틀 드로이드 (지휘관), 드로이데카
- 미니킷: 시스 인필트레이터(시미타)
- 파워블록: Force Grapple Leap[108]
4.2. 에피소드 II: 클론의 습격
- Ch. 1 Bounty Hunter Pursuit
- 스토리 모드 캐릭터: 아나킨의 스피더
- 등장 적대 세력: 젬 웨셀의 에어스피더
- 미니킷: 잼 웨셀의 에어스피더
- 파워블록: Stud Magnet[109] - Ch. 2 Discovery on Kamino
- 스토리 모드 캐릭터: 오비완 케노비 (마스터), R4-P17
- 등장 적대 세력: 장고 펫, 카미노 드론, 슬레이브 I
- 미니킷: 제다이 스타파이터
- 파워블록: Disarm Troopers[클론/스톰트루퍼들의] - Ch. 3 Droid Factory
- 스토리 모드 캐릭터: 아나킨 스카이워커 (파다완), 파드메 (지오노시스), C-3PO, R2-D2
- 등장 적대 세력: 지오노시안, 배틀 드로이드 (지오노시스), 드로이데카
- 미니킷: 드로이데카
- 파워블록: Character Studs[111] - Ch. 4 Jedi Battle
- 스토리 모드 캐릭터: 메이스 윈두 (Ep. II), R2-D2, 파드메 (할큄), 아나킨 스카이워커 (파다완)[녹색_광선검], 오비완 케노비 (마스터)
- 등장 적대 세력: 지오노시안, 배틀 드로이드 (지오노시스), 슈퍼 배틀 드로이드, 드로이데카
- 미니킷: 공화국 건쉽
- 파워블록: Perfect Deflect[113] - Ch. 5 Gunship Cavalry
- 스토리 모드 캐릭터: 공화국 건쉽
- 등장 적대 세력: 스파이더 드로이드, 헤일파이어 드로이드, 테크노 유니언 쉽, 터보레이저
- 미니킷: AT-TE
- 파워블록: Exploding Blaster Bolts[114] - Ch. 6 Count Dooku
- 스토리 모드 캐릭터: 오비완 케노비 (마스터), 아나킨 스카이워커 (파다완)[녹색_광선검], 요다
- 등장 적대 세력: 지오노시안, 배틀 드로이드 지오노시스, 두쿠 백작
- 미니킷: 솔라 세일러
- 파워블록: Force Pull[116]
4.3. 에피소드 III: 시스의 복수
- Ch. 1 Battle Over Coruscant
- 스토리 모드 캐릭터: 제다이 스타파이터 (옐로우), 제다이 스타파이터 (레드)
- 등장 적대 세력: 벌쳐 드로이드, 트라이 파이터, 버즈 드로이드, 터보레이저
- 미니킷: 드랍 쉽
- 파워블록: Vehicle Smart Bomb[117] - Ch. 2 Chancellor in Peril
- 스토리 모드 캐릭터: 오비완 케노비 (Ep. III), 아나킨 스카이워커 (제다이)
- 등장 적대 세력: 배틀 드로이드, 배틀 드로이드 (보안), 배틀 드로이드 (지휘관), 슈퍼 배틀 드로이드, 드로이데카, 마그나가드, 두쿠 백작
- 미니킷: f-143 긴급 소방선
- 파워블록: Super Astromech[118] - Ch. 3 General Grievous
- 스토리 모드 캐릭터: 오비완 케노비 (Ep. III), 커맨더 코디
- 등장 적대 세력: 그리버스 장군
- 미니킷: 제다이 스타파이터 Ep. III
- 파워블록: Super Jedi Slam[119] - Ch. 4 Defense of Kashyyyk
- 스토리 모드 캐릭터: 요다, 츄바카
- 등장 적대 세력: 배틀 드로이드, 배틀 드로이드 (지휘관), 클론 (Ep. III), 클론 (Ep. III, 파일럿), 클론 (Ep. III, 습지대), 클론 (Ep. III, 워커),커맨더 코디클론 지휘관
- 미니킷: 우키 카타마란
- 파워블록: Super Thermal Detonator[120] - Ch. 5 Ruin of the Jedi
- 스토리 모드 캐릭터: 요다, 오비완 케노비 (Ep. III)
- 등장 적대 세력: 클론 (제다이 분장), 클론 (Ep. III), 클론 지휘관, 훈련용 드론
- 미니킷: 아크파이터
- 파워블록: Deflect Blots[121] - Ch. 6 Darth Vader
- 스토리 모드 캐릭터: 오비완 케노비 (Ep. III), 아나킨 스카이워커 (제다이)
- 등장 적대 세력: 아나킨 스카이워커 (다크사이드)/오비완 케노비 (Ep. III)
- 미니킷: V-wing
- 파워블록: Dark Side[122]
4.4. 에피소드 IV: 새로운 희망
- Ch. 1 Secret Plans
- 스토리 모드 캐릭터: 레아 오르가나, 안틸레스 선장, C-3PO, R2-D2, 반란군 동료
- 등장 적대 세력: 스톰트루퍼, 비치트루퍼, 제국 왕복선 파일럿, 제국 장교, 다스 베이더
- 미니킷: 스타 디스트로이어
- 파워블록: Super Blasters[123] - Ch. 2 Through the Junland Wastes
- 스토리 모드 캐릭터: 루크 스카이워커 (타투인), 벤 케노비, R2-D2, C-3PO
- 등장 적대 세력: 터스킨 약탈자, 자와, 샌드트루퍼
- 미니킷: 샌드크롤러
- 파워블록: Fast Force[124] - Ch. 3 Mos Eisley Spaceport
- 스토리 모드 캐릭터: 루크 스카이워커 (타투인), 벤 케노비, R2-D2, C-3PO, 헌 솔로, 츄바카
- 등장 적대 세력: 샌드트루퍼, AT-ST, 제국 스파이
- 미니킷: 랜드스피더
- 파워블록: Super Lightsabers[125] - Ch. 4 Rescue the Princess
- 스토리 모드 캐릭터: 루크 스카이워커 (스톰트루퍼), 한 솔로 (스톰트루퍼), 벤 케노비, 츄바카, R2-D2, C-3PO
- 등장 적대 세력: 스톰트루퍼, 비치트루퍼, 제국 장교, 제국 왕복선 파일럿, 죽음의 별 트루퍼, TIE 파일럿
- 미니킷: 밀레니엄 팔콘
- 파워블록: Tractor Beam[탈것] - Ch. 5 Death Star Escape
- 스토리 모드 캐릭터: 루크 스카이워커 (스톰트루퍼), 한 솔로 (스톰트루퍼), 레아 오르가나, 츄바카, R2-D2, C-3PO
- 등장 적대 세력: 스톰트루퍼, 제국 장교, 제국 왕복선 파일럿, 죽음의 별 트루퍼, TIE 파일럿
- 미니킷: Y-wing
- 파워블록: Invincibility[127] - Ch. 6 Rebel Attack
- 스토리 모드 캐릭터: X-wing, Y-wing
- 등장 적대 세력: TIE 파이터, TIE 파이터 (다스 베이더), 터보레이저
- 미니킷: TIE 어드밴스드
- 파워블록: Scorex2[128]
4.5. 에피소드 V: 제국의 역습
- Ch. 1 Hoth Battle
- 스토리 모드 캐릭터: 스노우스피더
- 등장 적대 세력: 프로브 드로이드, AT-ST, AT-AT
- 미니킷: AT-AT
- 파워블록: Self Destruct[129] - Ch. 2 Escape from Echo Base
- 스토리 모드 캐릭터: 한 솔로 (호스), 레아 공주 (호스), R2-D2, C-3PO
- 등장 적대 세력: 스노우트루퍼
- 미니킷: 스노우스피더
- 파워블록: Fast Build[130] - Ch. 3 Falcon Flight
- 스토리 모드 캐릭터: 밀레니엄 팔콘, X-wing
- 등장 적대 세력: TIE 파이터, TIE 인터셉터, TIE 폭격기
- 미니킷: TIE 파이터
- 파워블록: Scorex4[131] - Ch. 4 Dagobah
- 스토리 모드 캐릭터: 루크 스카이워커 (파일럿), R2-D2, 요다, 루크 스카이워커 (대고바)
- 등장 적대 세력: 박쥐, 거대 뱀, 다스 베이더[환영]
- 미니킷: X-wing
- 파워블록: Regenerate Hearts[133] - Ch. 5 Cloud City Trap
- 스토리 모드 캐릭터: 루크 스카이워커 (베스핀), R2-D2
- 등장 적대 세력: 스톰트루퍼, 다스 베이더
- 미니킷: 클라우드 카
- 파워블록: Scorex6[134] - Ch. 6 Betrayal Over Bespin
- 스토리 모드 캐릭터: 레아 공주 (베스핀), 랜도 칼리시안, 츄바카, R2-D2, C-3PO
- 등장 적대 세력: 스톰트루퍼, 비치트루퍼, 제국 장교, 보바 펫
- 미니킷: 슬레이브 I
- 파워블록: Minikit Detector[135]
4.6. 에피소드 VI: 제다이의 귀환
- Ch. 1 Jabba's Palace
- 스토리 모드 캐릭터: 레아 공주 (부쉬), 츄바카, 루크 스카이워커 (제다이), R2-D2, C-3PO, 한 솔로 (스키프)
- 등장 적대 세력: 가모리안 경호대, TT-L8, 랭커
- 미니킷: 데저트 스키프
- 파워블록: Super Zapper[136] - Ch. 2 The Great Pit of Carkoon
- 스토리 모드 캐릭터: 루크 스카이워커 (제다이), 한 솔로 (스키프), 랜도 칼리시안 (왕궁 친위대 위장), 츄바카, R2-D2, C-3PO, 레아 공주 (노예)
- 등장 적대 세력: 스키프 경호원, 가모리안 경호대, 보바 펫
- 미니킷: 자바의 함선
- 파워블록: Bounty Hunter Rockets[137] - Ch. 3 Speeder Showdown
- 스토리 모드 캐릭터: 루크 스카이워커 (엔도), 레아 공주 (엔도)
- 등장 적대 세력: 스톰트루퍼, 스카웃트루퍼, 스피더 바이크, AT-ST, AT-AT
- 미니킷: TIE 폭격기
- 파워블록: Scorex8[138] - Ch. 4 The Battle of Endor
- 스토리 모드 캐릭터: 한 솔로 (엔도), 레아 공주 (엔도), 츄바카, R2-D2, C-3PO, 위켓
- 등장 적대 세력: 스톰트루퍼, 스카웃트루퍼, 제국 장교, AT-ST
- 미니킷: AT-ST
- 파워블록: Super Ewok Catapult[139] - Ch. 5 Jedi Destiny
- 스토리 모드 캐릭터: 루크 스카이워커 (제다이), 다스 베이더
- 등장 적대 세력: 황실 친위대, 다스 시디어스
- 미니킷: 제국 왕복선
- 파워블록: Scorex10[140][141] - Ch. 6 Into the Death Star
- 스토리 모드 캐릭터: 밀레니엄 팔콘, X-wing
- 등장 적대 세력: TIE 파이터, TIE 인터셉터, TIE 폭격기, 스타 디스트로이어
- 미니킷: TIE 인터셉터
- 파워블록: Infinite Torpedoes[142]
5. 전작들과의 차이점
1편과 2편의 합본이긴 하지만 차이점이 확실히 존재한다.- 칸티나 맵이 바뀌었다. 1편의 덱스터의 식당처럼 메인홀에서 작은 문을 타고 들어가야 스테이지 선택을 할 수 있는 방에 들어 갈 수 있고 2편에선 테이블위에 있던 컵들이 일부는 바닥에 널부러져있다.
- 보이지 않는 위험 4번째 미션인 포드 레이서는 제한시간안에 일정구간을 통과하는 미션에서 그냥 일반적인 레이싱 게임과 동일하게 바뀌었다.
- 클론의 습격 가장 첫 미션으로 현상금 사냥꾼 추격이 추가 되었다. 차량 미션으로, 1편에서 가장 첫 미션이던 장고 펫 추격은 두번째 미션으로 빠졌다.[143]
- 클론의 습격 5번째 미션인 리퍼블릭 건쉽 미션은 강제 스크롤 미션에서 자유롭게 선회 할 수 있는 미션으로 변경되었다.
- 시스의 복수 스테이지들의 음악이 시스의 복수 영화 본편에서 나오는 음악으로 변경되었다.
- 시스의 복수 첫 미션에서 오비완의 인터셉터 대신에 아나킨의 인터셉터를 조종한다.
- 제다이의 귀환 5번째 미션 제다이의 운명의 미니킷중 하나가 얻는 방식이 2편과 다르다.
- 요다는 프리퀄 게임에선 검을 들면 빠른속도로 공중제비를 하며 돌아다니고 평소엔 호버링하는 의자를 타고 빠르게 돌아다니지만 오리지널 트릴로지에서는 지팡이를 짚으며 매우 느리게 이동하다 광검을 들면 빠르게 지팡이를 짚으며 돌아다닌다. 컴플릿 사가에선 후자의 방식을 택했다.
- 일부 캐릭터들의 해금 가격이 조정되었다.[144]
6. 여담
- 원작에 비해 가벼운 분위기로 진행하다 보니 개그씬도 꽤 있는 편이다. 스타워즈 팬들 중 어린 축에 속하는 사람들 중에서는 이 게임을 통해 팬이 된 경우가 꽤 있다.
- 한 에피소드 당 6개의 챕터로 구성 돼 있는 게임 특성 상 영화 주요 장면도 시놉시스 자막처리 하거나 대충 넘어간 부분[145]이 많다. 스토리를 제대로 즐기려면 넘기지 않고 읽는 것이 좋다.
- 레고 게임이 캐릭터별 특성들을 이용해 나가는 퍼즐 게임이다보니 게임에 맞게 각색-
원작파괴-된 장면이 많다.[146]
- 후속작인 레고 인디아나 존스 또한 스타워즈 와 마찬가지로 해리슨 포드 출연작이다 보니 소소한 배우개그가 두 게임 내에 숨어있다.[147]
- 다스 베이더를 조작할 때, 모든 캐릭터들에게 포스 초크를 시전할 수 있다. 단, 파드메를 제외하고. -
트라우마 발동-
- 놀랍게도 라이트세이버 검식이 구현 돼 있다! 일부 캐릭터[148]만 부분으로[149] 구현해놓았지만 -
블래스터 소총들은 확성기로, 피스톨은 리볼버로 떼어놓은걸 감안하면- 그래도 놀라운 부분.
- 게임 내 상점에서 구입하거나 미니키트를 완료, True jedi 등 특정 조건을 달성하면 골드브릭을 준다. 골드브릭을 160개(최대치)까지 모았을 때 광장에서 160개의 골드브릭을 조립하면 All extras unlocked이라는 붉은 문구가 뜨면서 이상하게 생긴 기계가 완성된다. 이 기계는 지속적으로 스터드를 뿌리는데 이 스터드는 대부분 가까이 가지 않아도 먹어진다. 3:55부터
- PS3 및 X360 한정으로 온라인 멀티를 지원하지만 PS3는 상위 콘솔이 하위호환을 지원하지 않고 온라인 서비스도 종료되었기에 지금은 온라인 멀티를 즐길순 없으나 X360은 상위 콘솔이 하위호환을 지원하기에 현재까지도 상위 콘솔에서 온라인 플레이가 가능하다. 한편 DS와 Wii의 경우 공통적으로 로컬 멀티플레이와 마찬가지로 상위 콘솔이 하위호환을 지원하며 차이점이라면 DS는 DS만의 독자적인 미니게임이 수록되었고 Wii는 Wii 리모컨에 최적화된 모션 조작을 지원한다.
- 게임 내 캐릭터들의 죽을 때 나오는 소리는 영화에서 적절하게 가져왔다.Death Noise
[1] Xbox One, Xbox Series X 하위호환 가능[2] 안드로이드, iOS. 한때 앱이 내려갔던 적이 있었으나 다시 복구되었다.[3] 드로이데카 쉴드의 경우 제다이 슬램 한방에 제거할 수 있다.[4] 공격 버튼 홀드.[5] 2단 점프.[6] 깨알같은 디테일로 거의 모든 제다이는 2단 점프시 공중제비를 한 번 밖에 안 도는 반면, 아나킨 혼자서 미디클로리언 수치가 제일 높다고 2단 점프시 공중제비를 여러번이나 돈다. 그 외에도 요다를 제외하면 지상, 공중 검술 모션이 제다이 중에 가장 화려하다.[7] 밀려나는 드로이드에 공격 판정이 생겨 주변 다른 드로이드에게도 데미지를 줄 수 있다.[8] 추가적으로 특이하게 모든 제다이는 백덤블링이 2단 점프 높이인 반면, 그리버스는 지면에 그대로 붙은체 백덤블링을 해서 살작 조작감이 아쉽다.[9] 루크, 레이아, 솔로, 란도, 장고 펫, 보바 펫, 등등[10] 파드메와 레이아는 빰을 때리는 모션이다.[11] 제다이 2단 점프와는 달리 위로 점프하지 않고 앞으로 다이빙을 한 후 땅에 착지하면서 앞구르기로 연계하는 특이한 2단 점프를 한다.[12] 아이러니하게 당시 레고사에서 1편 완구를 출시할 당시 아동형 미니 피규어 다리가 없던 시절로 1편 아나킨은 성인 미니 피규어 체형을 갖고 있다. 그 외에 아동형 캐릭터들은 모두 정상적으로 아동형 체형을 가지고 있다.[13] 영화 6편에서 자바 더 헛의 저택에 침입해 들어오는 루크의 첫 등장신에 대한 오마주로 보인다.[14] 제국군/바운티 헌터 패널, 서멀 데토네이터[15] 주인공, 아군 측[16] 적군 측, 민간인 측 또는 컷신 한정 캐릭터[17] 파다완, 제다이 마스터, Ep. III[18] 파다완, 제다이, 다크사이드(모바일 버젼 한정)★[19] Ep. II, Ep. III★[20] 원작과 달리 Ep. V 에서도 라이트 세이버가 있다.[21] 그런데 특이하게도 1편 문서에서 서술되었듯 요다가 죽을 때 나오는 비명소리가 선풍적인 밈을 세워나갔다. 이른바 yoda death sound. 참고로 이 소리는 자신의 제자(파다완)인 두쿠와 대결할 때 나오는 기합소리이다.[22] 스토리상 오비완이랑 완전히 동일인물이기는 하나, 나이듦을 반영해서인지 공격 모션이 많이 달라져 전투 조작감이 전혀 딴판이라 시스템적으로는 완전 다른 캐릭터이다. 아나킨 스카이워커하고 다스 베이더가 게임 시스템상 전혀 다른 두 캐릭터로 분류되는 것과 비슷한 이치다.[23] 공격 모션이 개편되는 바람에 가불기 콤보의 저스트 입력 타이밍도 다르다.[24] 대고바, 베스핀, 제다이, 엔도[25] 제다이들 중 유일하게 오더 66에서 죽는 모습이 나온다. 여기서는 흑화 아나킨에게 베여 죽는데, 머리, 몸, 다리가 3동강 난다.[26] 창과 방패 무장. 방패로 제다이 광선검과 동일하게 가드로 광선검 평타와 블래스터 볼트를 튕겨낼 수 있다.[27] Ep. III Ch. 2 에서 상대하는 정예몹으로 상대하기에 난이도가 좀 있다. 광선검 공격을 방어할 수 있으며 체력이 머리까지 포함해서 남은 팔의 갯수로 표현된다. 체력이 1칸만 남으면 머리가 날라가고 가드 능력이 저하된다. 체력을 2로 회복하면 떨어져 나간 머리가 그냥 붙는다.[28] 무장인 일렉트로 스태프로 제다이 광선검과 동일하게 가드로 광선검 평타와 블래스터 볼트를 튕겨낼 수 있다. 스태프 소음이 상당히 귀아프고 정신사납다.[29] 아미달라 여왕, 파드메(전투), 파드메 (지오노시스), 파드메 (할큄), 파드메(노멀)[30] 클론/스톰트루퍼를 상대로 체술이 양쪽 팔을 잡아당겨 뜯어버리는 상당히 고어한 즉사기다.[31] 호스, 베스핀, 프리즌너, 보우쉬, 노예, 엔도[32] Rebel Friend라는 참 귀여운 명칭으로 표기되어 있다.[33] 타투인, 스톰트루퍼, 호스★, 파일럿[34] 체술이 원투 펀치로 대게 원투쓰리 펀치인 다른 캐릭터의 체술보다 성능이 떨어진다.[35] Ep. IV, Ep.V, 베스핀/데저트 스키프, 엔도, 호스★.[36] Ep. IV 버전은 레고 인디아나 존스 게임에 특전 캐릭터로 출연한다.[37] 다른 캐릭터들 보다 블라스터 연사력이 눈에 띄게 빠르고 체술 스피드도 상당히 빠르다. 덕분에 블래스터 캐릭터 한정으로는 가장 고성능 캐릭터이다.[38] 시장, 자바 왕궁 친위대 위장[39] 레이아를 상대로 체술을 사용하면 공격을 안하고 손에다 대고 입마춤을 한다.[40] 걷는 속도가 매우 느린 대신 점프 버튼 대체로 비행이 가능하고 비행중엔 이속이 상당히 빠르다. 근데 아스트로맥과 펫 부자의 제트팩과는 성질이 다른 비행인지 낭떠러지를 건너지는 못한다.[41] 랜덤으로 일반 적색 블래스터나 녹색의 슬라임 블래스터를 소지한 상태로 스폰할 수 있다.[42] 클론/스톰트루퍼를 상대로 체술이 양쪽 팔을 잡아당겨 뜯어버리는 상당히 고어한 즉사기다.[43] 해병★, 호스 지상병★, 파일럿★[체력2칸] [45] 스턴건 무장[체력2칸] [47] 스턴건 무장[48] 슬링샷 무장[49] 슬링샷 무장[50] 스타워즈 시리즈 전체를 관통하는 메인 캐릭터에 인기 캐릭터임에도 불구하고 펠퍼틴이나 다스 몰 같은 메인 악역 캐릭터들과는 다르게 고유 사망 음성이 없고 클론 트루퍼 같은 엑스트라 캐릭터들과 사망 음성을 공유한다! 왜인지는 불명. 다만 이 문제는 다른 메인 캐릭터인 한 솔로와 루크도 동일.[51] 포스 쵸크로 캐릭터를 들어올려 움직이거나 몹의 경우 한 방에 즉사시킬 수 있다.[52] 시스중 유일하게 잡몹 즉사기가 없다.[53] 원작과 달리 아나킨에게 손이 한 개만 절단된다. 참수당하는 장면은 나오지 않고 라이트세이버에 후려쳐져서 죽는거 처럼 보인다. 그래도 원작보다 더 잔인한 것이, 다스 시디어스의 명령, 'do it'(쳐라)를 듣는 다음에 잠시 망설인 반면에 이 게임에선 망설임도 없이 그냥 죽여버린다.[54] 포스 라이트닝으로 캐릭터를 들어올려 움직이거나 잡몹의 경우 한 방에 즉사시킬 수 있다.[55] 포스 라이트닝으로 캐릭터를 들어올려 움직이거나 잡몹의 경우 한 방에 즉사시킬 수 있다.[56] 일반병★, 보안용★, 지휘관★, 지오노시스 특수 도장★.[57] Ep. I Ch. 1 부터 등장하는 작중 첫 정예몹으로 상대하는 요령을 모르면 고전을 면치 못한다. 이동속도가 상당히 빠르며 정지시 자동으로 쉴드를 생성해 무려 6번의 공격을 막아낼 수 있다. 본체도 체력이 3칸이라 작중 몹 중에서 가장 맷집이 탄탄하다. 공략법은 제다이 2단 점프 낙공으로 한 방에 쉴드를 제거한 후 3단 콤보를 먹이는 거다. R2-D2와 이외 소형 캐릭터들의 스턴건으로도 한 방에 쉴드 제가가 가능하다.[체력2칸] [59] 총을 쏘면 한개를 쏜 후 바로 다른 한 개를 쏜다. 공중에선 두 개를 동시에 쏜다. 죽을 때 내는 신음 소리가 매우 이상한지라('야 잇!'이나 '나아 니잇!'으로 들린다.) 꽤나 인기가 많다.[60] 제트팩 비행가능.[61] 엑스트라 구매후 로켓 런쳐 사용가능.[62] 한 발에 2점씩이나 깍이는 대구경 소총을 가지고 있어 데미지가 월등하나, 연사력이 약간 느리고 반동이 심하다.[63] 제트팩 비행가능.[64] 엑스트라 구매후 로켓 런쳐 사용가능.[65] 프로토콜 드로이드와 아스트로멕 드로이드, 바우티 헌터 패널을 모두 열 수 있어서 잠긴 문이 많은 곳에 데려가면 요긴하게 쓰인다.[66] IG-88과 마찬가지로 프로토콜 드로이드와 아스트로멕 드로이드, 바우티 헌터 패널을 모두 열 수 있다. 보바 펫과 쓰는 총이 같다.[67] 그리도, 보바 펫, 보스크, 덴가, IG-88, 4-LOM을 사면 자바 더 헛이 그려진 문이 열리고 거기서 주인공 일행과 반란연합 주요인물들을 잡는 미션 10가지를 할 수 있다.[체력2칸] [69] 원작과 달리 오더 66 전에 그리버스에 의해 죽는다. 이후 카쉬크 맵과 제다이 사원에서 체력이 많은 적으로 소수가 등장한다.[70] 에피2★, 에피3 일반병★, 에피3 파일럿★, 에피3 늪지대★, 에피3 워커 드라이버★, 제다이 변장★.[71] 일반형★, 샌드 트루퍼★, 비치트루퍼★(헬멧이랑 수영복 착용. 탄티브/데스스타 목욕탕방, 스톰 트루퍼 웨이브에서 적으로도 나온다.), 스노우트루퍼★.[72] 대량으로 나오는 잡몹들 답게 적으로 나오면 한방에 죽는데, 이로인해 방어구가 더 허술한 죽음의 별 트루퍼나 장교, 셔틀 파일럿, 타이 파일럿은 2방에 죽는지라 스톰트루퍼가 이들보다 더 방어력이 약한 진풍경이 벌어진다. 한마디로 몬스터 신사론이 플레이어에게 적용된것.[체력2칸] [체력2칸] [체력2칸] [체력2칸] [체력2칸] [78] Ep. VI, Ch. 5 다스 시디어스 보스전에서 상대하는 정예몹으로 상당히 상대하기가 귀찮다. 광선검 공격을 막을 수 있으며, 항상 두 명이 짝지어서 스폰되기 때문에 다스 베이더의 포스 쵸크로 상대하기도 어렵다.[79] 창 무장으로 제다이 광선검과 동일하게 가드로 광선검 평타와 블래스터 볼트를 튕겨낼 수 있다.[80] 무신기 사용[체력2칸] [82] 도끼 무장으로 제다이 광선검과 동일하게 가드로 광선검 평타와 블래스터 볼트를 튕겨낼 수 있다. 유일하게 무기를 집어 넣을 수 없는 캐릭터다. 무기를 집어넣는 키를 누르면 도끼를 안집어 넣고 도끼를 기타처럼 연주하는듯한 포즈를 취한다. 이는 자바의 왕궁/함선에서 라디오를 만들어서 음악을 재생시킬시 적으로 등장하는 가모리언이 취하는 모션이다.[83] 루크 스카이워커가 포스 쵸크로 즉사시킬 수 있다.[84] 공격 모션 없음.[85] 공격 모션 없음.[86] 특수기를 누르면 1편에서 보여준 침을 튀기면 얼굴을 흔드는 모션을 취한다.[87] 지오노시언과 동일한 비행 능력이 있으며, 자와와 동일한 사양의 스턴건을 소지하고 있다.[88] 공격 모션 없음.[89] 베살리스크족뱃살리스크. 레고 스타워즈(비디오 게임)에서 상점 주인으로 등장한 캐릭터이며 스타워즈: 클론의 습격에서 오비완의 친구 겸 정보원으로 나온다.[90] 공격 모션 없음.[91] 특수기 버튼을 누르면 디스코 춤 모션을 취한다.[92] 공격 모션 없음.[93] 특수기 버튼을 누르면 디스코 춤 모션을 취한다.[94] 맨손 체술만 사용 가능.[95] 맨손 체술만 사용 가능.[96] 후속작 홍보 차원에서 등장. 다음작 홍보 영상을 시청하면 해금되어 있다. 근접공격을 채찍으로 한다. 모바일 버전에선 미등장.[97] 사실 인디아나 존스처럼 입고 인디아나 존스 능력을 쓰는 한 솔로다. 인겜에선 얼굴 브릭이 한 솔로랑 동일하다. 그러나 캐릭터 포트레이트나 선택창엔 인디아나 존스 얼굴로 나온다.[98] 직접 몇몇 해금한 캐릭터의 파츠를 붙혀서 만들 수 있다. 다쏘미리언, 이쏘리언, 아쿠아리쉬 등 특정 종족들은 이 시스템으로만 플레이어블로 만들 수 있다.[99] 100% 클리어시 게임내에 모든 캐릭터의 능력을 한꺼번에 쓸 수 있다.[100] 그 우람한 덩치(...) 때문에 챕터도 챕터지만 모스 아이슬리 칸티나 내에서도 움직이기 힘들었을 듯[101] 해금 가능한 지오노시스인은 회색이다. 탄색은 일반적인 블래스터를 발사하고, 회색은 녹색 블래스터를 발사한다.[102] 미니킷 전부 획득시 해금.[103] GNK 드로이드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고 점프 기능까지 부여한다.[104] 동물 탈것이 돈을 배출하게 만든다.[105] 무신기를 사용하는 캐릭터들이 무전기 사용시 주변의 모든 배틀 드로이드들을 작동 중지하게 만든다.[106] 파워블록 위치 추적기.[107] 파드메와 레이아의 체술을 즉사기로 만든다.[108] 블래스터 캐릭터들이 사용하는 와이어 그래플 지점을 제다이 캐릭터들이 사용할 수 있게한다.[109] 플레이어의 돈을 줍는 판정의 사거리가 커진다.[클론/스톰트루퍼들의] 블래스터를 당근으로 바꿔치기 한다.[111] 몹을 처리할 시 돈이 쏟아지게 끔 한다.[녹색_광선검] [113] 저스트 가드 없이도 블라스터 볼트를 완벽하게 반사해서 쏜 사람에게 돌려보낼 수 있게한다.[114] 블라스터 볼트에 폭팔력이 생긴다.[녹색_광선검] [116] 포스로 드로이드를 밀어내는 능력을 끌어당기는 능력으로 바꾼다.[117] 탈것 스테이지에서 운전하는 기체 주변의 적기들을 즉석으로 폭파시켜준다.[118] 아스트로맥 드로이드의 스턴건이 연쇠적으로 주위에 있는 모든 타깃을 맞추게 끔 한다.[119] 제다이들의 2단 점프 낙공의 피격 면적을 늘린다.[120] 바운티 헌터들의 서멀 데토네이터의 폭파 반경을 늘린다.[121] 플레이어에게 상시 블라스터 볼트 반사 판정을 부여한다.[122] 제다이들도 다크사이드 물질을 조조종할 수 있게끔 한다. 게임의 모든 광선검을 빨간색으로 대체한다.[123] 블라스터의 피해량을 두 배로 늘린다.[124] 제다이의 포스 능력을 떠 빠르게 만든다.[125] 광선검의 피해량을 두 배로 늘리며 광선검의 색갈을 보라색으로 통일한다.[탈것] 스테이지에서 자신의 기체 주변의 적 기체들을 자력빔으로 끌어당겨 무력화시키는 효과를 낸다.[127] 플레이어 캐릭터가 낙사 외에는 전혀 피해를 입지 않는 상태가 된다.[128] 얻는 돈의 양이 두 배가 된다. 다른 스코어 증가 엑스트라와 곱연산이 된다.[129] 모든 드로이드들에게 자폭 기능을 추가한다.[130] 레고 조립 기믹을 완성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한다.[131] 얻는 돈의 양이 네 배가 된다. 다른 스코어 증가 엑스트라와 곱연산이 된다.[환영] [133] 피해를 입으면 몇 초 마다 자동으로 1점씩 회복된다.[134] 얻는 돈의 양이 여섯 배가 된다. 다른 스코어 증가 엑스트라와 곱연산이 된다.[135] 미니킷 위치 추적 장치.[136] 스턴건이 드로이드들에게 피해를 입히게 만들고, 드로이드가 아닌 모든 캐릭터에게 경직을 주게 만든다.[137] 장고 펫과 보바 펫으로 하여금 제트팩에 있는 로켓 런처를 쓸 수 있게 만든다.[138] 얻는 돈의 양이 여덟 배가 된다. 다른 스코어 증가 엑스트라와 곱연산이 된다.[139] 이워크의 슬링샷에 서멀 데토네이터 속성을 부여한다. 이때 날아가는 투사체가 1x1 갈색 레고 플레이트에서 비행체들이 비행 레벨에서 사용하는 분홍색 구형 미사일로 바뀐다.[140] 얻는 돈의 양이 열 배가 된다. 다른 스코어 증가 엑스트라와 곱연산이 된다.[141] 모든 스코어 증가 엑스트라를 곱연산 한 스코어 증가량의 최대 계수는 3,840배이다.[142] 비행 레벨에서 플레이어 비행체가 미사일을 무한 생성할 수 있게 된다.[143] 1편에선 클론의 습격만 스테이지가 5개다.[144] 그리버스: 20만→7만, 팰퍼틴: 15만→27만[145] 아나킨 흑화과정, 다스 시디어스 vs 제다이 사천왕, 다스 시디어스 vs 요다, 오더66와 제다이의 몰락, ep5초반 루크 구출 등[146] 오비완 vs 그리버스, 오비완 vs 아나킨, 루크 vs 다스베이더, 루크&아나킨 vs 다스 시디어스[147] 각각 인디아나 존스/한 솔로 캐릭터를 해금시킬 수 있다.[148] 아나킨, 요다, 윈두, 루크, 시스로드들.[149] 대부분은 디폴트값(오비완)에 외형만 바꿔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