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05:04:34

레일플러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음 카페의 카페명에 대한 내용은 레일플러스(철도 동호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교통카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티머니 티머니(팝티머니 · 신 한꿈이카드 · 기후동행카드 · 와우패스) · 유패스 · 구 한꿈이카드 · 탑티머니
이동의즐거움 이즐H(이베스트카드 · eB 티머니 · eB 유패스 · 티모아) · 한페이H · 하나로카드 · 마이비
한국철도공사 레일플러스H
iM유페이 원패스(탑패스) · 대경교통카드
기타 payOn · R · 하이패스H · 김해그린카드 · 센스패스(탑캐시) · A-Cash · K-Cash
H 선불하이패스 겸용 / R 레일플러스 기반 / † 단종 / ‡ 단종 및 통용중지 }}}}}}}}}

<colcolor=#ffffff> 레일플러스
Rail+
파일:레일플러스교통카드.png
<colbgcolor=#005bac> 사업자 <colbgcolor=#ffffff,#1f2023>한국철도공사
서비스 개시 2014년 10월 25일
규격 국토교통부 전국호환교통카드 규격
사용 지역 대한민국 전역
(영양군 제외)
지불 방식 선불식, 후불식
레일플러스 공식 홈페이지

1. 개요2. 종류
2.1. 일반 레일플러스 카드2.2. 한정판 카드2.3. 레일플러스 모바일 교통카드2.4. 대중교통 안심카드2.5. 레일플러스 하이패스 카드2.6. 나마네 레일플러스 포토카드2.7. 카카오프렌즈 레일플러스2.8. CU 레일플러스2.9. 증정용
3. 충전4. 사용5. 이용이 불가능한 지역6. 여담


레일플러스 홈페이지
레일플러스 고객센터: 1544-7788, 1588-7788(내선 5번)
레일플러스 고객센터(모바일 전용): 카카오톡채널 레일플러스 고객센터

1. 개요

한국철도공사가 판매하는 선불교통카드. 제작 및 정산은 코레일네트웍스가 위탁받아 전담한다.

전국호환교통카드 정책이 시행되면서 신규 출시된 카드로, 국토교통부의 전국호환 인증을 받고 2014년 10월 25일에 정식으로 출시했다. 그 이전에는 1,200매 한정 발매된 수도권 전철 40주년 기념 교통카드전국호환교통카드 체험단원에게 지급된 체험판 카드 등을 통해 비공식적으로 이용이 가능했으며, 공식 출시 후에도 정식 카드로 사용이 가능하다.

플라스틱 카드 형태의 교통카드는 스토리웨이한국철도공사 관할 철도역 매표창구 또는 여행센터에서 장당 2,500원에 판매하는 일반형 레일플러스와, 수도권 전철 역사 내 1회용 발매 · 교통카드 충전기에서 장당 2,000원에 판매하는 대중교통안심카드를 구매할 수 있다.

HCE 기반의 모바일 교통카드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레일플러스 모바일 교통카드를 설치하여 발급이 가능하다.

청소년, 어린이 할인을 받으려면 카드 구입 시 청소년용, 어린이용으로 구입해야 하며, 최초 충전 후 10일 이내 홈페이지에서 할인 등록을 해야 된다. 최근의 티머니캐시비처럼 통합권종이 아니므로, 일반용 등 할인받으려는 권종과 다른 권종은 할인 등록을 할 수 없다. 전술한 청소년증 겸용은 자동으로 청소년용으로 발급되며,[1] 대중교통안심카드와 CU 레일플러스 카드는 통합권종으로 나왔다.

2. 종류

2.1. 일반 레일플러스 카드

파일:railplus_.gif
레일플러스 카드 도안

2014년 11월 기준으로 일부 스토리웨이한국철도공사 관할 철도역에서 1장당 2,500원에 판매하고 있으며[2], 전국 호환이 개시되는 12월부터 본격적으로 물량을 풀었다.

출시 이후 일반형 도안이 거의 추가, 갱신되지 않았다. 그나마 앞면에 "Welcome to KOREA+"라고 적힌 카드가 있다. 그 외에는 대중교통 안심카드, 하이패스 카드, CU 레일플러스 정도만이 통상 판매된 레일플러스로, 이들을 제외한 레일플러스는 100% 한정판이거나 한정판에 상당하는 희귀성을 가진 레어템이라고 보면 된다. 이 일반 레일플러스도 지방에서는 보기가 어렵다.

2.2. 한정판 카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일플러스/한정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티머니이즐팝카드처럼 한정판에 공을 들이는 모습을 보인다. 2014년 10월경에 수도권 전철 개통 40주년 기념 교통카드를 1,200매 한정으로 발매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등 지정된 역에서 판매하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수도권 소재 철도역이다. 그러나 한정판을 구입하기 위한 행렬로 줄을 잇고, 또한 초기 시범적으로 판매하다 보니, 영등포역은 100매가 할당되었는데, 별다른 제한이 없다 보니 1명이서 91장을 구입해 가는 일도 나타났다. 마치 한국철도공사내일로를 팔면서 패스의 효용성을 깨달았듯이, 한정판에 대해서도 효용성을 깨달아서 한정판을 꾸준히 출시하고 있다.

2.3. 레일플러스 모바일 교통카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텔큐온에서 출시한 HCE기반 교통카드 앱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레일플러스 모바일 교통카드
파일:railplus_mobile_tcard_logo.png
개발사 한국철도공사
분류 라이프스타일, 교통
서비스 시작일 2017년 8월 8일
플랫폼 안드로이드, iOS[3]
2017년 8월 8일부터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레일플러스 모바일 교통카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레일플러스 모바일 교통카드의 발급이 가능하다. #

대한민국 최초의 HCE 기반 모바일 교통카드로, 안드로이드 기반에 한해 구글 넥서스, 소니 엑스페리아, 블랙베리[4], 화웨이, 샤오미, 레노버 등의 외산 스마트폰과 금융 기능이 없는 USIM에서도 문제 없이 사용이 가능하나, HCE 방식의 특성상 사용 시에는 반드시 화면을 켠 상태로 태그해야 한다. 잠긴 상태거나 앱을 닫은 상태에서도 화면만 켜면 사용할 수 있지만 앱을 실행하고 태그하자.[5] 단, FeliCa의 기능을 부분적으로 지원하는지 FeliCa 기반 오사이후케타이[6]가 탑재된 일본 내수용 기기일 경우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도 모바일 레일플러스 사용이 가능한 경우도 있고 일부 개찰구[7]와 충돌을 일으켜 찍히지 않고 앱이 죽어버리는 오류가 있으니 주의하자. e-amusement pass 카드 리더에서도 인식을 시도하다가 에러를 뱉어낸다. HCE-F 지원 앱을 사용 중인 경우에는 기기의 탭앤페이 설정에 들어가서 HCE-F 기반 서비스를 비활성화하고 레일플러스 서비스만 활성화시켜서 이용해야 한다.

선불형후불형이 있으며, 후불형은 신용카드[8]를 등록하고 사용대금을 결제하는 방식이다. 등록한 신용카드를 변경하거나 후불형을 선불형으로 변경하는 메뉴 등도 지원한다.

도시철도, 버스 외에 코레일톡에서도 결제할 수 있다.

이용내역에서는 20건의 이용 기록을 최근 이용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월별, 기간별 이용내역도 확인할 수 있다. 월별, 기간별 이용내역 조회는 사용 후 며칠이 지나야 내용이 뜨며 월별 이용내역에 뜨는 항목이라도 기간별 내역엔 뜨지 않는 등 사용 내역이 정리되는데 시간이 걸린다. 월별 이용내역도 지하철, 버스, 택시 등에서 결제한 금액만 알려주며 노선이나 승하차 시각도 확인할 수 없어[9] 조회 기능이 조금은 허술한 편이다.

또한 선물하기를 통해 최소 잔액 5,000원을 제외한 금액만 1,000원 단위로 선물할 수 있다. 토스, 신한카드, 제로페이 계좌이체[10] 충전 시 수수료가 면제지만 레일플러스 모바일 앱을 통해 신용카드, 체크카드, 휴대폰 소액결제, 페이코, 계좌이체를 통한 충전 시 PG사 등에 지불하는 대행 수수료는 사용자 부담이다.

신한카드 신한플레이 앱과 NH농협은행의 올원뱅크와 지역농축협의 NH콕뱅크 앱[지원중단]에서도 레일플러스를 발급받을 수 있는데, 전자는 레일플러스 모바일 앱과 양립이 불가능해 모바일 레일플러스 앱을 해지해야 사용할 수 있다.

교통카드나 휴대폰을 개찰구에 태그하지 않아도 게이트 통과만으로 자동결제[12]되는 서비스인 스피드게이트 서비스가 2018년 11월 구로역에서 시범 실시될 예정이었다. 모바일 레일플러스 앱을 설치 후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하여 게이트를 통과하면 되며, 구로역에서 시범 운영을 거쳐 2019년 상반기부터 경의중앙선 일부 역을 시작으로 확대될 예정이었으나 고속도로처럼 레인을 구별하기 힘든 도시철도의 특성상 오히려 이동속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서 취소되었다. #

2019년 12월 17일, 앱 업데이트를 통해 제로페이 결제 서비스를 오픈하였다. # 계좌등록을 통해 잔액 충전, 그 외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이용 가능하다. 2020년 2월 14일에는 제로페이 이용자 확대를 목표로 캐시백 이벤트도 진행했었다.

제로페이 결제 서비스가 오픈되며 2월 5일 약관 변경 고시, 3월 1일부터 변경되어, 충전일 기준 7일 이후에는 환불 수수료 500원이 발생된다.[13]

2020년 6월 1일, iOS용 레일플러스가 출시되었다. 출시일 기준으로 계좌 이체를 통한 충전만 가능하며 일부 리셀러(사전 예약) 및 스토리웨이(즉시 구입 가능)에서 스티커 형태의 교통카드를 구입 후 기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14][지원중단]

모바일 레일플러스 앱을 지웠다 깔거나 사용하던 휴대폰을 업그레이드해서 다시 앱을 설치하면 기존에 선불 충전한 금액이 사라지는 현상이 플레이스토어 리뷰를 통해 보고 되고 있다. 반드시 앱을 제거하기 전에 사용중지를 해야 동일 계정으로 로그인 시 충전금액 자동 이전이 가능하다.[16] 아니면 고객센터에 요청을 해서 기존 충전금액을 쿠폰 선물 방식으로 다시 받을 수 있으므로 참고하자. 쿠폰 으로 환불을 받기 싫으면 본인인증한 날 기준으로 4일 기다리면 된다.

===# 레일플러스 보급형 교통카드(단종) #===
2017년 말에 소리없이 출시되어 2018년 4월 17일 대중교통안심카드를 출시하기 전까지 짧게 판매했다. 서울역, 용산역, 청량리역, 수원역 등 수도권의 일부 주요 철도역에 있는 1회용 교통카드 발매기에서 시범 판매했다. 카드 자체 가격은 1,000원이지만, 구입할 때 1,000원이 기본적으로 충전되도록 나와서 실제 구매시에는 최소 2,000원을 내야 했다. 여러모로 Suica같은 일본식 교통카드를 연상케 하는 방식이다.

두께는 다소 얇은 편이다. 한국철도공사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카드 발행장치를 1회권과 같은 기계를 사용하는데, 기존 카드의 두께로는 해당 기계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도 1회권과 비교하면 조금 더 두껍긴 하지만, 잘 휘기 때문에 취급시 주의해야 한다. 분홍색 도안만 나왔다.

2018년 4월 17일 대중교통안심카드의 출시 후 소리소문없이 단종됐으며, 1회용 교통카드 발매기에서도 보급형 레일플러스의 발매 버튼이 사라지고 대중교통안심카드 발매 버튼으로 변경됐다. 몇몇 카페 등지에서 들리는 말로는, 대중교통안심카드를 출시한 날에 한국철도공사에서 재고 전량을 회수처리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한정판이 아님에도, 사실상 레어템으로 남게 됐다.

2.4. 대중교통 안심카드

2018년 4월 17일에 출시했다. 이 역시 수도권 주요 광역전철 역사 내 1회용 교통카드 발매기에서 1,000원에 판매하며, 상기의 보급형처럼 두께가 얇다. 보급형처럼 구입시 최소 1,000원 이상[17] 충전하도록 되어 있어서 실제 구매시에는 최소 2,000원을 내야 한다. 대중교통안심카드 출시 후 상기의 보급형 카드는 단종 수순을 밟았다. 발매 방법부터 1회용 교통카드와 비슷하기 때문에 뉴욕 메트로카드마냥 승차권인줄 알고 샀다가 사용이 끝난 후 나중에 다시 탈때 새로 하나 더 산다든지, 버리거나 환급기에 넣어버리는 불상사가 없도록 주의하자.

환불은 토, 일, 공휴일을 제외한 영업일 기준으로 처리되며, 18시 이전 환불신청 시 D+4일, 18시 이후 환불신청시 D+5일이 소요되며, 분실된 카드는 카드 재등록 및 사용이 불가능하다.

보급형 레일플러스와 마찬가지로 카드 발행장치를 1회권과 같은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카드 두께가 얇다. 모 역 수도권 전철 담당 역무원의 말에 의하면 보급형의 업그레이드판이라고 하지만, 재질부터 시작해서 몇 가지 특성으로 볼 때 실상은 다운그레이드판이다.

레일플러스 최초의 통합권종형이며, 파란색과 노란색 2가지 도안이 있으나 발매기에서 나오는 도안은 복불복이다. 포스트 등지에서 언급되는 바에 의하면, 노란색이 주로 많이 걸리는 듯.[18] 다만 서울 용산역같은 경우는 파란색이랑 노란색 카드가 나오는 판매 기계를 따로 분리해 놓고 있는 모양이다.

다른 안심카드와는 다르게[19] 전국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분실접수 및 잔액 환불을 받으려면 레일플러스 홈페이지에 반드시 카드 정보를 등록해야 하고, 사용 중 카드잔액 환불을 했을 때 수수료 500원 떼고 받는 규정도 그대로 적용된다. 티머니, 캐시비, 원패스 대중교통안심카드처럼 스토리웨이같은 곳에서는 당연히 결제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 한 술 더 떠서 스토리웨이이마트24에서도 충전이 안 된다. 택시와 철도역 매표창구에서도 사용할 수 없다.[20] 물론 기존처럼 수도권 전철역 교통카드 충전기(제약이 있는 구간(9호선 개화~신논현 등)은 제외), 레일머니 앱, NH농협은행/우리은행 ATM 및 롯데ATM에서 충전은 가능하고 레일플러스 호환 지역에서도 카드가 인식되긴 하지만, 스토리웨이이마트24에서 충전이 안 되는 등[21] 일반형 카드에 비해 충전에 많이 제약이 있어서 수도권 외 지역에서 쓰기에는 영 좋지 않다. 장점이라면 티머니의 대중교통안심카드처럼 수도권에서는 구하기가 쉽다는 것 정도.[22]

2024년 현재 거의 모든 역이 대중교통 안심카드 발매가 불가하지만, 일부 역은 여전히 발매가 가능하다.

2024년 9월 기준 카드대금이 2,000원으로 올랐으며, 초기 도안과 다른 것으로 보아 재출시일 가능성이 있다. 카드값이 두 배로 올랐지만 여전히 타 카드에 비해 굉장히 저렴하다. 이때부터 코레일 모든 역에서 구매가 다시 가능하다.

2.5. 레일플러스 하이패스 카드

2019년 1월 17일에 발매했다. 형태는 후불형 없이 선불형만 존재한다. 가격은 5,000원이며 한국철도공사의 각 철도역 여행센터에서만 판매 중이다.

캐시비 하이패스 카드 이후 모처럼 발매된 하이패스 겸용 선불교통카드이며, 이 역시 카드 잔액을 공용한다.

2022년 기준 추가 생산은 이루어지지 않고, 재고 수량만 판매하고 있다. 수도권은 서울역, 용산역 여행센터에서 구매가 가능하다.

충전은 기존 레일플러스 카드 충전소를 동일하게 공유한다.

2.6. 나마네 레일플러스 포토카드

2019년 2월 15일 서비스를 시작했다. 나마네 카드 키오스크 자판기나 주문 제작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사진으로 교통카드를 출력 할 수 있다. 장당 7,000원[23]으로 나마네 카드 홈페이지나 앱에서 자판기가 있는 곳을 검색할 수 있다. 공항철도 홍대입구역DMC역은 티머니로 발급된다.[24]

2.7. 카카오프렌즈 레일플러스

카카오프렌즈와 제휴하여 출시한 교통카드로, 홍대 카카오프렌즈 플래그십 스토어 3층에서 구매 가능하다. 이후 서울역, 용산역, 수원역, 부산역에서도 구매 가능하다. 위의 나마네 카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해서 자판기에서 카드 도안 여러개[25] 중 하나를 선택하면 즉석으로 카드를 인쇄해 준다. 내일로 카카오프렌즈 한정판 카드와 다르게 수량 제한은 없으며 가격은 6,000원이다. 초기에는 BC 기프트 카드 겸용 카드로 발매하다가, 언제부터인가 일반 레일플러스 카드로 발매하고 있다. 즉석 인쇄 방식이기 때문에 이전에 발매된 카카오프렌즈 한정판보다 이미지 품질은 조금 떨어진다. 최근 홍대 카카오프렌즈 플래그십 스토어 자판기는 캐시비로 변경되었다가 2021년 5월, 3층 라이언 카페 리모델링 공사를 앞두고 철수하였다. 이후 역사 내 자판기는 다른 도안으로 교체되면서 더 이상 구매할 수 없다.

2.8. CU 레일플러스

파일:CU레일플러스.png
CU 레일플러스 카드 도안

2021년 6월 1일[발행일]에 발매되는 제휴 교통카드로, 디자인은 옛 철도청 시절 로고와 함께 2004년 4월 1일 KTX 개통 당시의 철도청 KTX 서울부산승차권 양식을 본떠서 만들어져 있다. 전국 CU에서 구매가 가능하며, 통합권종이다. 또한 한국철도공사BGF리테일과 제휴하여 2021년 6월 1일[발행일]부터 CU에서 간편하게 상품을 결제하고[28] 선불카드 금액 충전과 환불을 받을 수 있다. 다른 레일플러스 카드에 비해 생산량이 적은지 구하기가 어렵다. 구하고 싶다면 포켓CU 앱의 재고조회 기능을 사용해서 재고가 있는 점포를 확인하고 방문하는 것이 좋다.
파일:railplus_cu.png

2.9. 증정용

3. 충전


「레일플러스 서비스 이용 약관」 제13조(이용 제한) ②항 4조에 따라 비정상적인 거래행위[39]와 목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카드 이용이 제한될 수 있다.

2014년 12월 25일부터 NH농협은행[40] ATM에서 레일플러스의 충전을 지원하며, 2014년 12월 29일부터 우리은행 ATM에서 충전 및 환불을 지원한다.

스토리웨이를 제외한 다른 편의점에서는 이마트24와 CU에서 충전할 수 있으며, 전철역에서 충전이 가능한 수도권 외에는 충전소가 철도역, 이마트24, CU, 스토리웨이, NH농협은행, 우리은행에 한정되어 있다는 게 큰 단점이다. 그래도 2015년 3월 23일 레일머니 어플의 출시로 모바일 충전이 지원되어서 충전소 문제는 조금씩 줄어들고 있었으나, 이후 레일머니 앱은 지원이 종료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41]

2015년 12월 17일부터 이마트 산하 편의점이마트24에서 레일플러스의 충전을 지원한다.[42]

2016년 6월 16일부터 롯데ATM에서 레일플러스의 충전을 지원한다. 물론 롯데ATM 자체가 1만 원/5만 원짜리 지폐만 받기 때문에 예외 없이 1만 원 단위로 현금충전이 가능하다.

2020년 4월 9일에는 BGF리테일과 업무 협약을 체결했으며, 2021년 6월부터 CU에서 판매와 충전, 환불, 결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제휴 기념으로 옛 철도청 로고의 CU 레일플러스 교통카드를 출시했다.

4. 사용


대중교통 안심카드는 버스 및 지하철에서만 이용 가능함.

참고로 모바일 레일플러스의 경우 상기된 지역이라도 인식이 전혀 안되는 경우가 있으니 유의하자.

5. 이용이 불가능한 지역


이외에도 메이저 교통카드와의 미묘한 규격 차이로 인해 인식 불량이 일어나는 단말기가 상당히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중소도시 경전철이나 시내버스 등지에서 레일플러스 인식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청송군, 완도군, 봉화군, 진도군, 영암군은 버스 요금이 무료이므로 교통카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6. 여담



[1] 요즘은 캐시비로 주지만, 신청서에 레일플러스라고 작성하면 레일플러스로 준다.[2] 당장 사용이 불가능한 지역이라도 보급은 추진한다고 한다. 특히 일반철도 역사의 경우 충전 후 승차권 구입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개조나 기기 교체 비용이 모자란 건지 티켓자판기에서는 레일플러스의 이용이 불가능하며, 매표 창구에서만 결제가 가능하다.[3] 지원 중단[4] 안드로이드 기반의 프리브, 키원, 키투만 된다. 참고로 키원에서는 안드로이드 버전을 8로 업데이트 후 사용이 불가능 해지고, 키투의 경우 기기에 따라 되는 기기가 있고 아닌 기기가 있다.[5] AOD는 안 된다. 간혹 잠긴 상태에서는 태그가 안되거나 장기간 미태그 시 중단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한 번 실행해 주고 태그하는 것이 좋다.[6] 'おサイフケータイ' NTT 도코모 주도로 개발된 일본 표준 비접촉 결제 시스템이다. eSE, SIM SE를 사용한다.[7] 예를 들어 서울 지하철 9호선 구형 개찰, 신분당선 신형 개찰 등.[8] 신한카드, 우리카드만 가능[9] 승하차 시간은 최근 이용내역에서만 볼 수 있고 역명은 나오지 않는다.[10] 제로페이 서비스로 등록해야지 면제된다.[지원중단] 삨을 운영하는 텔큐온과 제휴해서 서비스했었지만 텔큐온이 한국철도공사에 교통카드 결제 대금을 지급하지 못해서 서비스가 중지되었다. #[12] 하이패스처럼 무정차 통과해도 결제되는 서비스와 비슷한 개념. 2016년 일본의 JR 동일본에서 시범 도입되었던 RF 패스와 비슷하다. 2020년 도쿄 올림픽 시즌에 맞춰 도쿄의 주요 역에 설치할 예정이라고 한다.[13] 기존에는 수수료 없이 계좌 환불이 가능했었다.[14] 삨과 같은 솔루션을 이용하는 것으로 보이나, 삨의 이름이 아닌 코레일 레일플러스의 이름으로 출시하였다.[지원중단] [16] 앱 내 사용 안내에 나와있는 내용이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는 모르는 내용이다.[17] 기본적으로는 2,000원이 충전되게 되어 있으나, 1,000원으로 변경 가능하다.[18] 거의 사진들을 보면 죄다 노란색이다.[19] 티머니 안심카드는 수도권 전철과 버스에서만 사용가능하고, 캐시비 안심카드(비토큰)은 수도권 전철과 버스 및 지방의 주 사용지역에서만 사용 가능하다.[20] 매표창구에서는 대중교통안심카드의 충전만 가능하다.[21] 편의점 충전은 CU에서만 된다.[22] 여담으로 티머니의 대중교통안심카드는 서울 지하철 1~4호선 교통카드 판매/충전기, 5~8호선 아이센터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으나, 캐시비의 대중교통안심카드는 정말 구하기가 어렵다. 부산 서면역캐시비 서비스센터에서 팔고 있기는 한다.[23] 다이소 자판기는 5천원이다.[24] 가격은 6,000원이고 신용카드 결제만 가능하다.[25] 해당 캐릭터와 프렌즈 전체 별로 종류가 다양하다.[발행일] 발행일은 2021년 5월 1일로 표기되어 있다.[발행일] [28] 아래 홍보 포스터에 나와있듯 멤버십과 결합하면 CU 포인트가 자동 적립된다.[29] 증정용인지 확인 불가[30] 하이패스 겸용 카드는 점주가 해당 기능을 신청하지 않으면 충전이 불가능하다고 한다.[31] 이마트24가 없는 농어촌이나 제주도는 CU나 NH농협은행 ATM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혹시 보유하고 있는 카드가 안심카드인데 근처에 CU밖에 없으면 근처에 있는 이마트24 편의점이나 역, 우리은행, NH농협은행에 가야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생긴다. 하지만 이마저도 없으면 모바일로 수수료를 내서 충전하는 상황이 생겨 버린다![32] CU의 경우 일부 특수 점포에서 충전이 불가능하다. 특수 점포는 휴게소 및 리조트 해수욕장, 호텔, 항공 등이 있다.[33] 일부 지역농축협 계좌에서 충전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으므로 유의. '일부'라고 적혀있는 것을 보면 알겠지만 일반적으로는 문제 없이 충전된다.[34] 현금입금을 통한 충전은 안 된다. NH농협은행 계좌에서 충전 자금이 출금되는 형식으로만 가능.[35] 롯데ATM이 없는 일부 세븐일레븐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는 충전이 가능하며 어떤곳은 롯데ATM이 있으나 잔액조회만 되는 경우가 있다.[36] 마이신한 포인트 및 캐시백 적립이 된다.(!) 직가맹으로 승인이 뜨는 것으로 보아 일반가맹점으로 제휴를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37] 만 원 기준으로 체크카드는 202원, 신용카드는 206원부터 수수료가 나간다.[38] 참고로 컬처랜드 계정 비밀번호에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시스템오류"라고 충전이 안된다(...) 그러므로 부득이하게 이용해야한다면 비밀번호에 특수문자가 없나 확인하고 있으면 특수문자 없이 바꿔야 한다.[39] 교통카드 요금 지불이나 가맹점에서의 물품 구매가 아닌 상품권 현금화 등이 이에 해당된다.[40] 농협중앙회의 직영 지점을 말하는 것으로, 지역농축삼협의 본점과 지점에서는 불가능 하다.[41] 흔히 쓰이는 스마터치 앱도 티머니, 이즐, 한페이, 원패스만 지원한다. 타 교통카드 대비 상당히 적은 충전처 때문에 수도권이나 CU 등의 근처에 살지 않는 이상 안 쓰는 게 정신건강에 이롭다. 지방 도시철도에서도 동해선이나 대경선 외에는 충전이 안 된다는 문제가 있다.[42] 이는 스토리웨이를 제외한 편의점 중에서 최초다. 물론 대중교통안심카드는 이마트24에서도 충전할 수 없다.[일부지역제외] 문단 참고[44] 김해시 제외[45] 서울, 대전, 동대구, 경주, 부산, 창원, 마산, 여수EXPO 등 41개역[일부지역제외] [A] 티머니, 캐시비만 충전 가능[A] [A] [A] [A] [A] [53] 원패스만 충전 가능[54] 티머니만 충전 가능[55] 캐시비, 한페이만 충전 가능[56] 주로 대구, 경북 지역[57] 레일플러스가 유독 이게 심한 것이, NFC 국제표준 리더기에서 다른 One Card All Pass 카드의 Value 값을 정상적으로 인식할 때 레일플러스 혼자만 비표준 애플릿인 건지 아예 Value 값이 없다.[58] 소프트웨어 문제인지는 알 수 없으나 9호선 환승 게이트 인식 시간이 오래 걸리는 편이라고 한다.[59] 환승 하차 시 하차태그가 되지 않으면, 추가요금이 부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