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17:27:42

별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고유명사 애스터리스크에 대한 내용은 애스터리스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별다각형 2. 별표 *
2.1. 명칭2.2. 용도
2.2.1. 언어2.2.2. 수학2.2.3. 천문학2.2.4. 프로그래밍2.2.5. 검색 와일드 카드 문자2.2.6. 야구2.2.7. 이외 스포츠에서2.2.8. 나무위키 문법2.2.9. 기타
2.3. * 키
3. 별표(別表)

1. 별다각형

모양의 다각형이며 평면도형이다.

나무위키에서는 로그인 유저가 각 문서 상단의 별표를 눌러 내 문서함에 문서를 등록시킬 수 있다.

다각형 모양의 유니코드도 존재하며 오각성의 경우 무색/흑색 버전으로 2가지로 존재한다. 오각성 (☆, ★), 육각성(✡) 같은 것이 있다. 표창 모양의 사각성도 빈도는 낮지만 조금 쓰이는 편(✦/✧)이다. 그외 다양한 별 모양 기호가 유니코드에 등록되어 있는데, 영어 위키백과 참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기하학적 의미에 대한 내용은 별(도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별표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666><#000> QWERTY 키보드 글쇠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PC를 통한 열람 권장)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Esc F1 F2 F3 F4 F5 F6 F7 F8 F9 F10 F11 F12 PrtSc
SysRq
ScrLk Pause
Break
~
`
!
1

2
#
3
$
4
%
5
^
6
&
7
*
8
(
9
)
0
_
-
+
=
← Backspace
(Delete)
Ins Home PgUp
⇆ Tab Q W E R T Y U I O P {
[
}
]
[[\\|]]
\
Del End PgDn
⇪ Caps Lock A S D F G H J K L :
;
"
'
Enter ↲
(Return)
Num
⇧ Shift Z X C V B N M <
,
>
.
?
/
⇧ Shift
Ctrl
(fn)
Fn
(^)
파일:Windows_11_Icon_(print).svg파일:Windows_11_Icon_(dark).svg
()
Alt
()
Space Alt
()
파일:Windows_11_Icon_(print).svg파일:Windows_11_Icon_(dark).svg
()
Menu Ctrl
}}}}}}}}}

특수문자 중 하나이다. 코드는 아스키 코드 42, 유니코드 U+002A이다.

일반적인 컴퓨터 환경에서는 꼭지가 5개 달린 모양으로 표시된다. 한편 손글씨로는 획 3개로 쓰기 편한 꼭지 6개 모양으로 쓸 때가 많다. '*', '∗', '⁕', '✳', '✴︎' 등처럼 꼭지 개수가 다른 게 있는데 이 모두 애스테리스크이다. *는 산세리프 글꼴에서, ∗는 세리프 글꼴에서 사용하는 자형이다.

2.1. 명칭

영어로는 asterisk(애스터리스크)라고 한다. 라틴어로 별을 뜻한다. 그리스어로 'ἀστερίσκος(asteriskos)', 이것의 후기 라틴어 표기가 'asteriscus'로 이를 영어화한 것이다. 형용사형으로 'asterisked(아스테리스크트)'라는 말도 있다.

중국어로는 성호(星号)나 성인(星印) 내지 미자(米字)[1]라고 하는 게 보통이고, 가끔 음역하여 아사특리사극(阿斯特里斯克)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존재한다. 일본어로는 アステリスク라고 한다.

2.2. 용도

2.2.1. 언어


영어권에선 오타를 정정하거나 문법을 지적할 때도 사용된다. 정정하고자 하는 단어의 올바른 철자 뒤에 *를 붙이면 된다.

언어학에서는 단어, 잘못된 문장, 옛말 등의 앞에 붙인다. 비문까진 아니고 약간 어색할 때는 ?를 쓴다. 보통 위첨자로 붙이는 편이다.

첨자로 사용할 때는 목록을 의미하기도 한다. 주로 목록이 2~4개일 때 사용한다. *, , , §, ‖, 순서로 사용한다. 이보다 긴 목록의 경우 알파벳을, 더 길어질 경우 숫자를 사용한다.

2.2.2. 수학

컴퓨터 자판에서 나타내기 복잡한 × 대신 곱셈의 기호로 쓰인다. 과거에 곱셈 기호 ×와 로마자 X의 모양이 유사해서 혼동을 피하기 위해 컴퓨터에서 곱셈 기호를 이것으로 썼고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진 것이다. 현 컴퓨터 입력 환경에는 '×'가 있고 ㄷ+한자 키+7번으로 입력 가능하지만 여전히 *가 간편하기에 많이 쓰인다. 엑셀이나 웹상의 계산기에서는 아예 공식 곱셈 기호로 적용된다.

호지 쌍대미분형식의 기호 중 하나로도 사용한다.

주로 수리물리학에서 켤레복소수(Complex Conjugate)를 표기할 때 윗첨자(Superscript)로서 붙이기도 한다. 예컨대 [math(z=a+bi)]의 켤레복소수를 [math(z^{\ast}=a-bi)]로 쓰는 식. 수학에서는 전치(Transpose)까지 취한 수반 연산자(Adjoint Operator)의 의미로 쓰인다.[2]

2.2.3. 천문학

은하의 중심이 되는 블랙홀의 명칭에 별표가 들어간다. 2019년에 최초로 관측된 M87*, 우리 은하의 중심인 Sgr A* 등에 별표를 볼 수 있다.

2.2.4. 프로그래밍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곱셈 연산자로 사용한다. 포트란, 자바스크립트[3], 파이썬 등 언어에서는 별 2개를 붙여서(a**b) 거듭제곱 연산자로 사용한다.

C, C++에서는 포인터를 선언할 때 또는 포인터 변수를 indirect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다.

어셈블리 프로그램 작성 시에 피연산자 필드에서 사용하는 특수 문자. *를 사용하면 자기 주소를 나타내며 여기에 +, -를 덧붙여 자기 상대 주소를 표시할 수 있다.

코볼에서는 편집 부호. DATA DIVISION에서 사용하면 유효 숫자는 그대로 인쇄되고 남은 무효 숫자의 자리에는 *가 인쇄된다. 또 코볼 코딩 용지의 제7칼럼에 사용하는 특수 문자이다. * 표시를 하면 그 행은 참고란으로 취급된다.

Java, Python, DOS, SQL 등에서는 '모든 것'을 뜻하는 일종의 와일드카드다. 어떤 디렉토리 하위에 있는 특정 대상을 불러올 때는 그 특정 대상의 이름을 쓰는 반면, 모든 것을 불러올 때는 특정 대상의 이름 자리에 *를 사용하는 식으로 사용된다. Java를 예로 들면, import java.util.*로 선언해서 java.util 패키지 내의 모든 클래스들을 import하겠다는 의미로 쓰인다.

APL에서 *는 거듭제곱 함수[4]이다. 곱셈은 수학에서 쓰는 곱셈 기호인 ×로 쓰니 주의.

2.2.5. 검색 와일드 카드 문자

전자 사전 또는 모바일 사전 어플에서 *를 입력하면 * 안에 들어가는 모든 단어를 검색해준다. ?와 더불어 만능 문자 또는 와일드 카드 문자(wild card character)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영어 사전에서 'a*d'라고 검색하면 a와 d 사이에 있는 모든 영어 단어들을 검색해준다. 찾는 단어의 철자가 잘 생각나지 않을 때 활용하면 유용하다. 한국어의 예를 들자면 '사*형'이라고 검색하면 사각형, 사동형, 사형 등 사와 형 사이에 있는 모든 단어들이 검색된다.

반대로 단 하나의 문자만을 검색하고 싶으면 ?를 쓰면 된다. 예를 들어 사전에 '가?'라고 검색하면 가나, 가다 등 2음절로만 검색되고 가자미, 가나다순 같이 설정된 문자 수를 초과한 단어는 검색되지 않는다.

구글 등 인터넷 검색 엔진에서도 사용된다.

2.2.6. 야구

논란의 여지가 있는 기록의 뒤에 *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표기는 아니며 팬이나 호사가들이 조롱의 의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존 야구에서의 *의 사용은 특이사항 기입을 위한 각주를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볼 레퍼런스의 * 사용이 그 예인데, 아롤디스 채프먼의 문서를 예로 들면 루키 스테이터스, FA, 에이전트 등에 대한 부가설명을 위해 *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MLB에서 로저 매리스가 1961년 61홈런을 치며 베이브 루스의 기존 1시즌 최다홈런 기록인 1927년 60홈런 기록을 깨자, 1961시즌의 경기수(162경기)가 1927시즌의 경기수(154경기)보다 8경기 더 많았으므로, 커미셔너가 공식 기록에 그의 61홈런 기록에 *를 달아 각주로 그에 대해 부연설명을 달 것이라는 루머가 퍼졌다. 실제로 매리스의 기록에 별표가 붙는 일은 없었다고 지금은 얼버무리지만, 당시의 기네스 북이나 거의 모든 기록책에는 분명히 별표가 있었다. 법적으로 없었다고 우기더라도 본인을 포함해 모든 사람들이 다 그렇게 인식하고 있었으니, 있었다고 보아도 틀리지 않다. 1994년 당시 커미셔너인 페이 빈센트가 공식적으로 매리스의 기록에서 별표를 '제거' 한 후에야 별표가 없는 것으로 인식되게 되었다. 그 이후 '논란이 되는 기록에 *을 단다'는 내용 자체는 널리 퍼졌고 여타 야구에서 온 표현들 (caught off base, throw a curve ball 등...) 처럼 실제 언어생활에도 영향을 미쳤다.

'(come) with an asterisk'는 '(각주를 달고 설명해야 할 만한) 특이사항 혹 논란거리가 있다'는 정도의 의미를 가진 관용어구로 쓰인다. 예를 들어, 스즈키 이치로가 2016년 6월 15일 NPB+MLB 통산 4,257안타를 치며 피트 로즈MLB 통산 4,256안타 기록을 넘은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을 때, 뉴욕 타임즈는 기사 제목을 Ichiro Suzuki Moves Past Pete Rose, With an Asterisk로 뽑았다. 이런 용법은 비단 MLB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NBA에서도 이런 표현을 곧잘 찾아볼 수 있다. ###

스테로이드 시대 이후에는 야구팬들이 약물 복용 혐의를 받은 선수들을 조롱하는 의미에서 별표를 쓰는 경우가 크게 늘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배리 본즈. 약물 의혹이 표면화된 이후 그의 원정길엔 항상 눈물 모양의 별표가 따라다녔다.

파일:external/onmilwaukee.com/scorecard072107_story1.jpg

2007년 배리 본즈를 조롱하는 밀워키 브루어스의 홈팬들

배리 본즈가 행크 아론의 기존 개인 통산홈런 기록 755개를 깨는 756호 홈런을 때렸을 때, Marc Ecko라는 사업가는 그 756호 홈런볼을 구매해 인터넷 팬투표로 의견을 수렴하고, 그에 따라 별표를 새긴 채 명예의 전당에 기부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Barry_Bonds_756_Ball.png

나무위키에서도 몇몇 야구팬들이 약쟁이들에게 *를 붙여 문서를 작성하곤 하는데 편집자들 사이에서 이에 대한 합의는 없다. 잘 모르는 사람에게 혼동을 줄 수 있으니 비고 혹은 기타 란에 도핑 전력이 있음 정도를 표기하는 것이 좋다. 드문 경우로 진짜로 도핑이나 기타 불미스러운 일로 수상이 취소되는 경우도 있지만, 나무위키에서는 이런 선수들에게는 * 대신 취소선을 사용한다.

2.2.7. 이외 스포츠에서

파일:양궁_점수표_별표.jpg

양궁 경기중에 임시로 이 별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점수 확인이 필요함이라는 의미이다. 화살이 과녁에 걸쳤는지 아닌지 원거리에서는 확인이 안될 경우, 일단 낮은 점수로 표기하고 별표를 달아 둔다. 예를 들어 9* 는 10점 라인에 닿았는지 안닿았는지 확인이 안되는 9점이란 의미이다. 각 라운드가 끝나면 심판이 과녁을 확인하여 최종 점수로 확정하는데 닿지 않았으면 그대로 9점이 되고, 선에 닿았으면 10점으로 정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별표는 삭제된다. 경기중 임시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최종 점수표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2.2.8. 나무위키 문법

[*로 열고 ]로 닫아서 각주 처리를 할 때 쓰인다. 각주 번호는 따로 입력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문서 윗쪽 순서대로 붙는다.

한 칸 스페이스를 띄우고 별표를 쓰면( *) 리스트를 만들 수 있다.

2.2.9. 기타

2.3. * 키

한글, 영문자 공히 키보드 Shift 키 + 8. 키패드에는 대체로 9 키 위에 * 키가 있어 Shift 키 없이 *을 입력할 수 있다.[6] 키패드의 숫자 키와는 달리 Num Lock 키를 눌러도 입력 기능이 작동한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전화에는 0~9 숫자에 #과 *가 있다. 주로 4행 3열 숫자 패드에서 4번째 행에 0이 가운데 열에 있고 왼쪽에 #, 오른쪽에 *가 있는 식이다.

3. 별표(別表)

따로 붙인 표시나 도표. '따로 붙인 표'로 순화.

법령이나 조례에서는 조, 항, 호, 목 4단계의 조문 형식으로 작성하기 곤란한 내용을 적는다.
따라서 별표에서는 1. 가. (1), (가), 1) 등의 순으로 여러 단계로 내용을 작성할 수 있으며, 여러 줄과 여러 칸으로 내용을 알기 쉽게 작성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공직선거법의 별표로 규정된다. 따라서 별표임에도 게리맨더링이나 평등권 침해 등을 이유로 별표에 대한 위헌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1] 자와 닮은 기호라는 뜻이다. 한편 일본에서 "쌀표", 즉 米印(こめじるし)라고 부르는 것은 (당구장 표시)이다.[2] 수리물리학에서는 별표 대신 칼표([math(\dag)], Dagger)를 쓴다.[3] 구 버전에서는 Math.pow로 해야 한다. Node.js에서는 6.5.0 실험실에 추가되었고, 7.0.0부터 정식 지원한다.[4] APL에서는 인자로 직접 자료를 받는 것은 모두 함수라고 부른다.[5] 한숨이라는 뜻. 한국어로 치면 "에휴" 또는 (한숨) 정도 된다.[6] 일반적인 키패드 키 구성에서 번호 외에 입력 가능한 문자는 /, *, -, +, .(점) 5개이다. 소수점 표기나 사칙연산 연산자 표기에 쓰이는 문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