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1 02:11:32

부산 버스 139/논란

1. 개요2. 송정~ 남포동 시절3. 운촌 ~ 남포동 구간 철수4. 청강리 단축 이후

1. 개요

부산 버스 139 노선이 2012년 청강리공영차고지 입주로 인하여 노선 변경되면서 일어났던 논란과 수습과정을 다룬 문서이다.

2. 송정~ 남포동 시절

송정~충무동으로 운행할 당시엔 중복 노선이 많았지만 남포동에서 해운대역 인근까지 유일하게 운행했던 노선이었으며 해운대와 중구 도심권을 잇는 노선 중의 하나로 해운대구, 수영구 주민들이 이 쪽으로 출.퇴근하기 위해 매일 아침, 저녁이면 가축수송이 벌어질 정도였다. 굳이 아침, 저녁이 아니더라도 해운대 쪽으로 놀러가려는 외지인도 덩달아 타기 때문에 기종점 부근이 아닌 이상 어지간해서는 착석이 힘들었다. 직선화가 잘된 노선이었지만 급행은 말할 것도 없고 같은 염가판 노선인 40번보다도 배차간격이 길었다. 당시의 노선의 성격을 한 마디로 설명하자면 1001번, 1003번의 염가판이었다. 상술한 40번, 1001번, 1003번이 경유하지 못하는 수요처를 이 노선이 이어주고 있어[1] 이용자 입장에서는 주요지를 다 지나가는 이 노선은 매우 매력적인 선형을 가지고 있었다.

현재는 1003번의 경우 해운대해수욕장 정류장에 하차하여 구남로를 완주하면 해운대역으로 갈 수 있지만 센텀시티나 벡스코는 해강중고교에 내려도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에 힘들다. 1003번을 타고 벡스코로 가려면 수영교차로에서 내려서 해운대나 재송동 방면으로 가는 버스를 타면 된다. 단, 54번, 210번은 수영강을 넘어가지 않으므로 타면 안된다. 남포동에서 벡스코로 간다면 아예 처음부터 5-1번을 타고 가는 것이 좋다. 그리고 남포동에서 영도로 들어가는 아무 노선버스나 잡아타고 영선2동주민센터나 한진중공업에서 1006번 혹은 1011번을 타면 벡스코와 해운대역으로 갈 수 있다.

3. 운촌 ~ 남포동 구간 철수

2012년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개편 논란
36 139 180

4. 청강리 단축 이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5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5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40번은 우1동 안동네 수요 위주로 운행하여 해운대도시철도역을 경유하지 못하며 남포동으로 가지 않고 국제시장보수동 책방골목으로 우회한다. 1001번은 부산터널을 통해 부산역 및 동쪽 구간에서 대영로낙동대로를 잇는 역할이기 때문에 중앙동, 남포동을 가지 못한다. 또한 1003번은 남좌동을 통해 해운대해변로를 경유하여 센텀시티해운대도시철도역을 경유하지 못한다.[2] 구.1005번(기장~반여1동~서면)은 진짜로 공영차고지 땅을 밟아보지도 못하고 폐선되었다.[3] 여담으로 27번하고 39번을 합치면 용호동구간을 제외하면 1기 노선과 90% 일치한다.[4] 이후 36번도 반여1동(무정리길)을 경유하게 되면서 수요가 꽤나 늘었으나 2020년 12월 31일에 일광신도시를 들어갔다 나오게된 이후 수요가 다시 감소했다. 180번은... 10년 넘게 아무런 변화도 없었다.[5] 신해운대역 위치 자체가 상당히 애매한 위치여서 예전 해운대역보다 접근성이 상당히 떨어진다. 복선화의 취지는 상당히 좋으나 너무 사각진 곳으로 역사를 옮겨놓는 바람에 동해선 철도를 이용하려는 부산 시민이나 부산으로 관광오는 외지인들에게는 불편이 크게 가중되었다.[6] 조금 걸어가서 횡단보도 하나만 건너면 바로 도착한다. 벡스코역에서 걸어가는 것보다 상당히 가깝다.[7] 11대 운행 시절에도 버스노선현황 문서엔 10대로 적혀 있었다.[8] 중2동주민센터를 지나 장산역으로 향하는 구간 자체가 워낙 헤어핀이 심한 구간이라 저상버스가 다니기가 어렵다. 내려가는 건 어찌하겠는데 문제는 올라가는 건 거의 불가능. 그렇다보니 전 차량 저상버스였던 이 노선에는 내려오는 방향인 청강리행만 경유한다. 141번 심야 노선은 양방향 경유하는데, 헤어핀 때문에 중앙선을 침범한 다음 중2동주민센터로 간다.[9]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역 연장개통 이전에는 40번도 이 곳으로 지나다녔다. 2호선 연장 개통 이후 센텀시티역이 있는 센텀남대로를 경유하는 쪽으로 노선이 조정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10] 다만 운행소요시간은 5-1번이 222분, 138번이 202분으로 더 길다.[11] 이 노선과 동일하게 기장군해운대구로만 운행하는 181번도 51km로 이 노선보단 짧았으나 일광신도시 경유 및 신세계센텀시티앞 유턴을 하게되면서 63km까지 늘어났다. 소요시간 역시 이 노선보다 오래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