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벨벳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인디 밴드에 대한 내용은 레드벨벳(밴드) 문서, 케이크에 대한 내용은 레드 벨벳 케이크 문서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 한국 음반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 [ 일본 음반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width=25%><nopad> 파일:JP 1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 [ 참여 음반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f604c"{{{#!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c00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d9664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9e4f8"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8ebdb"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cebe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d9664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92C2A"파일:Our Beloved BoA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9807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04c"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bcfc"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cf7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d8868b"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dd3d5"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d1c9c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0788C"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892EC"
<colbgcolor=#FEA38B><colcolor=#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EA38B><tablebgcolor=#FEA38B> | Red Velvet 레드벨벳 · レッドベルベット | }}} | ||
데뷔일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2014년 8월 1일[1] (데뷔일로부터 [dday(2014-08-01)]일, [age(2014-08-01)]주년)[2]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2018년 7월 4일 (데뷔일로부터 [dday(2018-07-04)]일, [age(2018-07-04)]주년) | ||||
데뷔 음반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유닛 | 레드벨벳-아이린&슬기 | ||||
장르 | 댄스, R&B, 발라드 | ||||
리더 | 아이린 | ||||
소속사 | SM엔터테인먼트 | ||||
레이블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Avex Trax | |||
유통사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에이벡스 엔터테인먼트 |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 | ||||
팬덤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공식 색 | Pastel Coral (파스텔 코랄) [3] | ||||
응원봉 | 김만봉 | ||||
링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https://www.smentertainment.com/artist/|]][4]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 |
[clearfix]
1. 개요
<nopad> |
2. 멤버
아이린 | 슬기 | 웬디 | 조이 | 예리 |
1991. 03. 29. ([age(1991-03-29)]세)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리더 센터 메인래퍼 리드댄서 서브보컬 | 1994. 02. 10. ([age(1994-02-10)]세)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메인댄서 리드보컬 | 1994. 02. 21. ([age(1994-02-21)]세)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메인보컬 | 1996. 09. 03. ([age(1996-09-03)]세)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리드래퍼 서브보컬 | 1999. 03. 05. ([age(1999-03-05)]세)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서브래퍼 서브보컬 |
2.1. 멤버 간 케미
자세한 내용은 Red Velvet/멤버 간 케미 문서 참고하십시오.3. 특징
SM엔터테인먼트에서는 Red Velvet이 소녀시대와 f(x)의 중간, 즉 두 선배 그룹의 아이덴티티를 융화한 컨셉을 추구한다고 밝혔다. 즉, f(x)의 독특함과 엉뚱한 컨셉트를 이어받으면서 소녀시대의 친근하고 대중적인 이미지도 계승하며 다양한 매력을 만든다는 뜻이다.요약하면 친근하고 대중적인 소녀시대의 ‘정(正)’, 개성 강하고 독특한 f(x)의 ‘반(反)’, 장점을 섞은 ‘합(合)’이 바로 Red Velvet이다.[8] 실제 Red Velvet 데뷔 발표 기사를 보면 소녀시대와 f(x)의 중간이라고 소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실질적인 음악 스타일은 f(x)와 조금 더 비슷한 것으로 여겨진다. 실험적인 사운드의 곡들은 주로 f(x), 대중성을 저격하는 곡들은 소녀시대 같다는 의견이 많으며, 짙은 R&B나 발라드 등 보컬이 중심이 되는 곡들은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느낌도 난다고 평가한다. 게다가 일부 리스너들은 S.E.S.와 유사한 컬러의 음악을 선보인다고 말하는 것을 보아, Red Velvet은 어느 한 그룹만의 이미지를 계승한다기보다 SM 걸그룹들의 음악적 기조를 다양한 방면에서 이어간다고 보면 될 듯하다.
시간이 흘러 멤버들의 약점이 보완되며 전반적인 실력이 향상되고 개성과 강점이 특화된 시점에서 Red Velvet의 특징을 정리하자면, f(x)의 뛰어난 퍼포먼스, 도전적인 음악 기조에 소녀시대의 친근한 대중성, 다양한 캐릭터성을 시기와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이를 위해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의 상향평준화된 멤버들의 음악적 능력과 S.E.S.의 양과 질에 모두 차별화된 프로듀싱을 보여준다. 과거 K-POP의 다양성이 충분치 않았던 시대에 SHINee와 f(x)가 처음 시도하여 호불호가 크게 갈렸던 새로운 음악과 컨셉을 Red Velvet이 이어가면서도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M.I.L.K. 등 과거 매니지먼트를 하며 배운 시행착오로부터 SM엔터테인먼트가 얻은 지식들을 바탕으로 대중들이 겪는 거부감을 줄이는데 각별히 신경을 쓴다고 할 수 있다. 또한 Red Velvet은 가장 뛰어난 음악성을 지녔다고 평가받는 그룹 중 하나로 그동안 Red Velvet이 발매한 수많은 타이틀곡 뿐만 아니라 수록곡들의 수준 높은 퀄리티로 《Ice Cream Cake》, 《The Red》, 《The Red Summer》, 《Perfect Velvet》, 《'The ReVe Festival' Finale》, 《'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 등이 많은 K-POP 팬들 사이에서 ‘명반’이라고 언급되며, 2024년에는 발매 이후 약 6년만에 정규 2집 《Perfect Velvet》이 멜론 선정 명반에 정식으로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2024년을 기준으로 현재 국내 정식 활동 앨범 개수만 20장이 됨으로써 선배 그룹인 소녀시대를 넘어 SM엔터테인먼트 역대 사상 가장 많은 음반을 발매한 걸그룹이 되었다.
3.1. 한 그룹 두 콘셉트
<rowcolor=#fff> 역대 앨범 콘셉트 | ||
Red | Velvet | Red + Velvet |
행복 (Happiness) | Be Natural | Ice Cream Cake[9] |
The Red | The Velvet | Russian Roulette[10] |
Rookie | Perfect Velvet | Queendom |
The Red Summer | The Perfect Red Velvet | '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 |
#Cookie Jar | RBB | 'The ReVe Festival 2022 - Birthday' |
Summer Magic | Bloom | Chill Kill[11] |
SAPPY | 'The ReVe Festival' Finale | Cosmic |
'The ReVe Festival' Day 1 | ||
'The ReVe Festival' Day 2 |
레드벨벳(Red Velvet)은 그룹명 자체가 팀의 콘셉트를 담고 있다. “강렬하고 매혹적인 컬러 레드와 클래식하고 부드러운 느낌의 벨벳”에서 연상되는 감각적인 이미지, 색깔 있고 세련된 음악과 퍼포먼스로 전세계를 매료시키겠다”라는 뜻이다. 지금까지의 활동은 크게 세 가지 콘셉트를 번갈아가며 선보였는데, 타이틀곡 기준으로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레드: 행복 (Happiness) - Ice Cream Cake - Dumb Dumb - Rookie - 빨간 맛 (Red Flavor) - #Cookie Jar - Power Up - SAPPY - 짐살라빔 (Zimzalabim) - 음파음파 (Umpah Umpah)
벨벳: Be Natural - Automatic - 7월 7일 (One Of These Nights) - 피카부 (Peek-A-Boo) - Bad Boy - RBB (Really Bad Boy) - Psycho - WILDSIDE
레드 + 벨벳[12]: 러시안 룰렛 (Russian Roulette) - Queendom - Feel My Rhythm - Birthday - Chill Kill - Cosmic - Sweet Dreams
7월 7일 (One Of These Nights) 활동까지는 레드와 벨벳이 확실히 양분된 모습을 보였으나, 미니 3집 《Russian Roulette》을 시작으로 레드 + 벨벳 콘셉트를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으며 미니 6집 《Queendom》 발매 이후부터는 타이틀곡을 극단적인 레드나 벨벳으로 치우치는 것이 아니라 두 컬러를 적절히 융합한 멜로디와 가사의 곡을 주로 선보이고 있다.
과거에는 댄스를 같이 선보이기 용이한 레드 콘셉트의 곡들을 타이틀곡으로 선정하는 경우가 더 많았는데, 이는 대중성과 중독성을 책임지는 행복 (Happiness), Ice Cream Cake, Dumb Dumb과 같은 강렬한 레드 콘셉트의 곡들에 비해 Be Natural, Automatic, 7월 7일 (One Of These Nights)과 같은 정적이고 매니악한 벨벳 콘셉트의 부진한 성적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13] 또한 레드 콘셉트 곡들에 비해 벨벳 콘셉트 곡들의 취급이 묘하게 차별적이기도 하였는데, 실제로 Be Natural은 제대로 된 프로모션 없이 활동을 진행했으며, Ice Cream Cake & Automatic 더블 타이틀곡 활동 당시 Automatic은 2절 없이 짧게 편곡되어 음악방송의 첫 주에만 무대를 선보였었다.
그렇게 연속 세 번을 모두 레드 계열의 타이틀곡[14]으로 활동한 뒤, 수많은 우여곡절 끝에 마침내 2017년 11월 정규 2집 《Perfect Velvet》을 발매하게 된다. 미니 2집 《The Velvet》과 같이 앨범명에 ‘Velvet’이 들어가지만 앨범 발매 기념 쇼케이스에서 앨범명 ‘Perfect Velvet’의 의미를 “레드와 벨벳을 합쳐 ‘퍼펙트 벨벳’을 찾은 것”이라고 밝혔는데, 해당 앨범 발매를 기점으로 그동안 방황 중이었던 벨벳 콘셉트에 완전히 새로운 방향성을 추가하며 대중들에게 새로워진 벨벳 콘셉트를 확실하게 각인시키게 된다. 실제로 본래 레드 콘셉트의 경우에는 역동성이 강조되는 강렬한 리듬과 다채로운 구성을 지닌 다양한 일렉트로닉 장르의 활용, 동화를 모티브로 하는 곡이나 앨범의 테마, 그리고 키치하고 엉뚱한 분위기가, 벨벳 콘셉트의 경우에는 감각적이고 그루비한 비트 중심의 R&B, 보컬 운용을 중점으로 두는 발라드곡과 매혹적이고 부드러운 분위기 등이 주된 특징이었는데, 러시안 룰렛 (Russian Roulette)과 피카부 (Peek-A-Boo) 이후로 어딘가 기괴하고 섬뜩한 잔혹동화의 느낌, 서늘한 사운드와 분위기 또한 벨벳 콘셉트의 주된 특징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레드 + 벨벳 콘셉트는 레드와 벨벳이라는 다소 이분법적인 틀에서 벗어나 두 콘셉트를 조화롭게 조합하여 Red Velvet의 음악적인 스펙트럼을 한 층 더 넓혀주는 역할을 한다. 레드와 벨벳 콘셉트 융합의 첫 시도였던 러시안 룰렛 (Russian Roulette)의 경우에는 밝고 통통 튀는 곡 자체의 장르적인 특성과 뮤직비디오의 어딘가 섬뜩한 비주얼적 요소가 적절히 어우러졌다는 점과 기존 레드 콘셉트와의 곡들과 차별화되는 랩 파트의 부재가 특징이다. 때문에 레드 + 벨벳 콘셉트 곡임에도 불구하고 레드 콘셉트에 조금 더 가깝다는 평가를 받으며, 반대로 Chill Kill의 경우에는 곡에 적용된 여러 가지 벨벳 콘셉트의 공식에 밝은 분위기로 전환되는 후렴구라는 반전을 조합하여 ‘밝은 비극’이라는 모순적인 요소를 만들어냄으로써 레드 + 벨벳 콘셉트이지만 벨벳 콘셉트에 더 가깝다는 평가를 받는다.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는 것 없이 레드와 벨벳이 가장 적절하게 융화된 곡으로 평가받는 곡은 Feel My Rhythm으로, 부드럽고 우아한 느낌을 주는 곡의 섬세한 사운드적 특징과 비주얼적 콘셉트, 그리고 클래식 음악을 샘플링하였다는 점은 벨벳 컨셉의 일부로 볼 수 있으며, ‘시공간을 넘나드는 자유로운 상상 여행’이라는 곡의 테마와 강렬한 트랩 비트를 기반으로 하는 곡의 특징은 레드 컨셉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듯 데뷔 10년차가 된 이후 Red Velvet의 완전한 콘셉트가 맞춰졌으며, 멤버들의 뛰어난 콘셉트 소화력과 처음부터 레드와 벨벳으로 콘셉트를 영리하게 나눈 덕분에 Red Velvet은 콘셉트 스펙트럼이 가장 넓은 그룹 중 하나가 되었다.
3.2. 세계관
자세한 내용은 Red Velvet/세계관 문서 참고하십시오.3.3. 음악
레드와 벨벳 컨셉을 가릴 것 없이 Red Velvet의 음악이 갖고 있는 기조는 흑인 음악을 기반으로 한다. 곡 다수가 90년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느낌을 따라가는데 Ice Cream Cake 앨범과 The Red 앨범은 대체적으로 신스 사운드, 90년대 팝 R&B 느낌이 많이 들어갔고, The Velvet 역시 90년대 R&B, 네오소울을 기반으로 하였다. [15] 또한 벨벳 컨셉 곡들은 대선배인 S.E.S. 느낌이 난다는 반응이 많다. 디지털 싱글 2집부터가 S.E.S.의 노래인 'Be Natural'이었고 'Automatic' 역시 90년대 R&B 소울을 기반으로 한 곡으로 S.E.S.나 자넷 잭슨 등을 떠올리게 한다는 반응이 많았다. 미국 빌보드에서도 Automatic이 자넷 잭슨 류의 R&B 잼을 연상케 한다며 극찬한 바 있다. 그리고 정통 R&B에 가까운 'Bad Boy'는 현시점에서 비주류인 장르를 현대적으로 잘 재해석해 많은 호평을 받았다.보컬 측면에서는 곡들이 모두 듣기에 편하지만 직접 부르기엔 상당히 음이 높은가 하면, 고난도의 테크닉을 요구하는 곡들로, 이는 여러 장르를 다양하게 소화할 수 있는 웬디를 비롯한 보컬이 탄탄한 멤버들이 다수라는 장점을 갖고 있는 Red Velvet이기에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웬디, 슬기, 조이의 눈에 띄는 역할 때문에 모르는 이가 많지만 아이린의 보컬도 뛰어나다고 평가된다. 아이린의 보컬은 상당히 섬세한데, 타고난 성량이 부족하다는 단점을 제외하면 음색이 좋고 특히 벨벳에서 듣기 좋은 보컬이다. 아이린도 웬디처럼 곡에 맞춰 가장 눈에 띄게 톤 조절을 적절히 잘 하는 멤버다.[16] 예리 역시 연차가 찰 수록 실력이 올라가고 있으며, 통통 튀는 음색으로 레드벨벳의 노래에 재기발랄함을 더해주고 있다. 또한 Red Velvet은 화음을 굉장히 조밀하고 다양하게 쌓는 편으로 시간이 남는다면 아이스크림 케이크 더 레드 더 벨벳 백보컬들을 차례로 들어보기를 권장한다. 레드 컨셉은 상큼한 여성 보컬로 모던하고 경쾌, 비비드하고 비트있는 팝 느낌을 내지만 사실 레드 컨셉의 곡들 역시 EDM 기반(Huff n Puff, Red Dress)의 최신 트렌드 힙합이나 R&B 팝(Oh Boy, Campfire, Lady's Room) 등 변칙적인 흑인 음악 장르의 곡들을 다수 쓰고 있고 벨벳은 조곤조곤한 R&B, 재즈, 소울 음악 등 조금 더 정통적이고 고전적인 흑인 음악의 느낌을 내고 있다. SM 그룹들은 그룹이 추구하는 음악과 가창의 중심이 되는 메인보컬의 특화 장르가 일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를 보면 R&B, 소울 음악, 힙합 등 흑인 음악 내에서 장르를 가리지 않고 걸출한 실력을 가진 웬디가 왜 Red Velvet의 메인보컬이 되었는지 알 수 있다. 이는 백보컬(화음 추출)을 들어봐도 확연히 느낄 수 있다. 보컬 2인자인 슬기 역시 곧잘 소화해낸다.
굳이 목소리의 특징을 짚어보자면, 웬디의 목소리는 조금 굵직하고 시원한 고음 위주이고 슬기는 웬디에 비해 가늘고 따뜻한 느낌의 목소리다. 보컬능력자 웬디의 라이브로 묻혀서 그렇지, 슬기도 매우 훌륭한 수준이다. 첫소절부터 성량과 음색으로 씹어드시는 슬기 레전드 라이브 음색이 가는 것에 비해서 라이브가 매우 안정적이며 연습생 때 성대결절이 온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목소리가 매우 매끄러우며 기복 없는 노래 실력을 갖추고 있다. 전형적인 메인보컬의 느낌을 가진 웬디와, 독특한 음색의 조이 사이에서 그 중간 느낌 정도로 중심을 잡아주고 있는 멤버이기도 하다. [17] 조이의 경우 아이돌판에서 음색이 예쁘기로 유명한 보컬로, 음색 담당 아이돌을 얘기하면 늘 언급되는 멤버이다. Red Velvet 의 노래를 조이의 목소리로 구분 가능하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독특하고 귀에 확 들어오는 음색을 가졌으며 이로 인해 타이틀곡의 킬링파트들을 주로 담당한다. Red Velvet의 곡들을 자주 맡아 작곡했던 모노트리의 황현이 sm 아이돌 중 가장 예쁜 음색을 가진 아이돌로 꼽을 정도.
다만, 여태의 벨벳 컨셉은 대중적인 레드보다는 매니아층에게 찬양을 받는 편이다. Automatic 뮤직비디오가 공개됐을 때, 한국대중음악상 심사위원 중 한명인 대중문화평론가 김윤하와 버벌진트가 작품성에 대해 언급한 트윗을 수차례 올렸으며 이후에도 여러 음악인에게 많이 언급되었다. 말했듯이 재즈나 R&B, 소울 음악 요소가 많이 들어가 보컬으로도 퍼포먼스로도 소화하기 어려운 장르인지라 이를 아는 동료 음악인들에게 더 어필이 되는 듯하다. 게다가 대중들에게 반응이 미지근했던 Be Natural과 7월 7일 활동 당시에는 오히려 코어 팬층을 쌓는 계기가 되며 팬덤이 자리를 잡았다. 이후 레드 컨셉에 벨벳 컨셉을 결합한 'Russian Roulette'을 내고,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벨벳 컨셉인 '피카부 (Peek-A-Boo)'도 레드 컨셉을 더한 댄스곡으로 나왔는데, 매니악한 벨벳 컨셉이 나아갈 길을 찾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앨범 전체의 반응이 좋은 아이돌 그룹이다. SM에서 타이틀곡의 흥행에만 치중하지 않고 앨범 수록곡이 가지는 음악적 가치까지도 고려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이수만 프로듀서가 가사 하나하나까지 세심하게 신경쓴다는 언급과, 작곡 풀 구성만 봐도 알 수 있다. 팬이 아닌 사람들이 아이돌 음반의 수록곡을 듣는 건 흔치 않은데 Red Velvet의 음반은 전체 재생한다는 사람들이 꽤 있다. 게다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평이 좋은 편이다. 위에 언급했다시피 버벌진트와 김윤하를 비롯해 The Red의 발매 후 래퍼 제리케이, 비스메이저크루 VMC[18], 아트디렉터 로디가[19], 프로듀서 로보토미, 프로듀서 싸이코반, 가수 베이비나인, 작곡가 브라더수, 힙합에이전시 스톤쉽 대표 똘배, IZE 기자 황효진 등 많은 예술계 인물들 사이에서 핫이슈였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2015년 발매한 Ice Cream Cake와 The Red가 모두 아이돌로지 "'올해의 음반 TOP 10"'에 선정되었으며(The Red 2위, Ice Cream Cake 10위) 링크 "필자들이 꼽은 올해의 트랙"에도 여러 평론가들에게 다수의 곡이 총 다섯 번 선정되었다 (Automatic, Cool World, Ice Cream Cake). 링크 또한, Ice Cream Cake EP는 미국 빌보드에서 호평을 받았고, Dumb Dumb은 유일한 아시안 아티스트로써 미국 롤링 스톤지 2015 베스트 뮤직비디오 TOP 10에 들기도 했다(9위).링크 결국 음악 전문 웹진 weiv에서 2017년 올해의 앨범으로 정규 2집인 Perfect Velvet을 1위로 선정하였다. Feel My Rhythm 앨범으로 피치포크 74점을 받았다. 이는 3세대 남녀통합 제일 높은 점수이다.
Crush도 가장 함께 작업해 보고 싶은 아이돌로 Red Velvet을 뽑았다. 조이가 그의 곡 '자나깨나'를 피처링하여 그 소원을 이루게 되었다. METEOR로 큰 인기를 얻은 래퍼 창모도 함께 작업해보고 싶은 아이돌과 가장 좋아하는 아이돌로 Red Velvet을 뽑았다. AOMG의 후디 또한 어느 날은 날 잡고 하루종일 Red Velvet의 음반만 돌려듣는다고 인터뷰에서 밝히기도 하였다. 장재인은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SM 곡은 뮤지션들이 들어도 좋다. Red Velvet의 피카부를 즐겨 듣는다."라는 말과 함께 예리에 대한 팬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XXX의 FRNK 또한 Red Velvet의 음악성을 호평하였다.
2019년 이후로는 레게, 보사노바, 60년대 댄스, 펑크, 시티팝, 재즈 밴드등 다양한 장르를 시도하고 있다. Red Velvet의 음악을 좋아하는 분들을 위해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해야한다는 사명감을 느낀다는 인터뷰도 했으며, 그해 말 Psycho를 타이틀로 발매된 'The ReVe Festival' Finale 앨범으로 음악적 퀄리티의 정점을 찍었다.
2020년에는 레드벨벳-아이린&슬기 유닛 활동으로 Monster로 정통 SMP를 소화해냈고, 케이팝 역사상 유일무이하게 보깅과 텃팅을 주로 활용한 고난이도 안무의 놀이(Naugthy)를 후속곡으로 아이린(Red Velvet)과 슬기(Red Velvet)의 실력을 대중들에게 확실하게 입증함과 동시에 레드벨벳 앨범의 뛰어난 작품성을 다시 한 번 각인시켰다.
그 후 2022년 Feel My Rhythm으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G선상의 아리아'라는 클래식 곡을 샘플링하여 2022년 클래식 샘플링 유행을 이끌었으며, 이후 Birthday에서도 조지 거슈윈의 'Rhapsody In Blue'를 샘플링한 타이틀곡을 발매하였다.
Chill Kill에서는 레드벨벳의 컨셉을 이용해 후렴은 레드 그외는 벨벳으로 의도하고 만든곡이다.
컨셉을 우선으로 두고 작업한 곡이 특이한점으로 그만큼 다양한 음악을 시도하는 레드벨벳과 KENZIE 작곡가이다.
3.4. 실력
SM엔터테인먼트 출신답게 모든 멤버들의 보컬, 춤, 랩의 실력이 준수하고, 3세대 아이돌은 물론이고 전체 세대 걸그룹들을 통틀어도 실력이 상당히 출중하고 뛰어난 그룹 중 한팀으로 평가받는다. 데뷔 활동인 행복 때, 첫 두 무대를 제외하고 후렴까지 라이브를 했다. 행복뿐만 아니라 현 앨범 활동까지의 라이브와 MR 제거를 들어봐도 실력이 수준급으로 뛰어남을 알 수 있다. 팬미팅에서 부른 Psycho 라이브.슬기가 7년, 아이린과 예리가 5년씩, 조이가 2년, 웬디가 1년 6개월간 연습생 생활을 했으므로 데뷔 이전까지 기본 실력을 탄탄히 할 준비 기간이 길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Rookie 활동 중 슬기의 마이크 송출 문제로 인한 방송사고로 의도치 않게 라이브 실력이 집중받기도 했으며, 방송사고급의 음향으로 강제 MR 제거 공연이 된 2015 경주 드림콘서트에서 살아남은 몇 안 되는 아이돌 중 하나다. 엇박을 쪼개 들어간 어려운 안무와 고음이 많은 곡, 안무를 하면서 애드립을 해야 하는 삼중고에도 불구하고 걸그룹 중에선 씨스타와 함께 AR과 흡사한 라이브로 칭찬받았다. 이 와중에 마이크가 빠졌음에도 의연하게 무대를 끝낸 예리 또한 호평을 받았다. 거기다가 예능감 역시 좋은 편이다. 아는 형님의 레드벨벳 편을 통해 폐지 직전이던 아는 형님을 다시 살렸을 정도. 실제로 이수만은 소속 아이돌들의 예능감을 무척 중시한다고 하며 그 덕분에 확실히 3대 기획사 출신 아이돌 중에서는 SM 계열이 예능에서 가장 많은 활약을 한다는 평가가 많다.
3.4.1. 보컬
▲ 킬링보이스 |
웬디, 슬기가 보컬 면에서 안정적으로 팀을 이끈다. 웬디가 곡의 메인을 깨끗한 목소리와 발음으로 탄탄하게 이끌어가면 슬기는 후렴 파트나 백 코러스를 안정감 있게, 조이는 슬기와 함께 백 코러스나 버스 부분을 부드럽게 소화해 Red Velvet의 보컬을 이끌어 간다.
아이린과 예리가 가창력 측면에서 보컬라인의 주류가 아닌 것은 사실이나, 라이브 실력만큼은 안정적이기 때문에 이들은 각자 맡은 랩 파트[20]에 보컬 파트까지 꽤 안정적으로 소화한다. 예리의 음색은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편인데 독특하면서도 맑고 마음이 편해지는 특성이 있다는 의견과 비음이 너무 많이 섞여 있어 듣기 불편하다는 평으로 갈린다.[21] 그러나 호불호를 떠나서 예리는 후렴구 보컬합에서 두드러지는 역량을 보여준다.
국내 기획사 중 SM이 처음으로 A&R 전담 팀을 꾸렸다는 것을 보면, SM이 레드벨벳에게 요구하는 보컬의 가장 큰 특징은 목소리의 조화라고 볼 수 있다. 멤버들이 종종 무반주로 노래하는 것을 보면 습관적으로 화음을 쌓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역시 혹독한 트레이닝의 결과인 듯하다. 특히, Feel My Rhythm 영상실 영상을 팬이 따로 편집한 영상에서 레드벨벳의 보컬과 백보컬, 화음을 쌓는 과정을 생생하게 들을 수 있다. Feel My Rhythm 레코딩 버전 (화음, 백보컬 강조) Recording Ver.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레드벨벳의 곡들은 각자의 독특한 음색과 안정성을 바탕으로 조화로운 보컬을 쌓아올린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더불어, 폭넓은 음역대와 다양한 목소리, 풍부한 성량 등을 바탕으로 솔로 활동 뿐만 아니라 최근 뮤지컬에서 성공적으로 데뷔한 웬디, 데뷔 이후로 꾸준히 안정적으로 라이브를 소화하고 리드보컬이라는 포지션 이상의 능력치를 가진 슬기, 서브보컬임에도 불구하고 보컬이 나날이 발전하여 음색뿐만 아니라 안정성 또한 크게 향상된 조이, 데뷔 이후로 꾸준히 성장하며 안정적으로 보컬을 뒷받침해주는 아이린과 예리라는 멤버들의 실력을 통하여 보컬로서 그 어느 그룹에도 뒤지지 않고, 독특하면서 매력있는 보컬색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2019년에 참여한 대학 축제에서 걸그룹 최초로 무반주로 안무를 포함하여 라이브 앵콜을 한 적이 있다. 앵콜 이전의 다수의 본무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앵콜에서 무반주로 안무를 포함하여 앵콜을 하여 레드벨벳의 라이브 실력을 입증하게 되었다.
3.4.2. 댄스
▲ 'Feel My Rhythm' Dance Practice |
곡이 두 가지 컨셉으로 나뉘는 것처럼 안무도 크게 두 가지 느낌으로 나뉘는데, 댄스 브레이크를 포함한 안무의 전체적인 흐름을 메인댄서 슬기와 리드댄서 아이린이 이끌어 간다. 단단한 안무는 슬기, 부드럽고 유연한 안무는 아이린이 두각을 나타내는데, 두 사람 모두 춤선의 날카로움을 이용하여 파워풀한 안무를 잘 소화하나, 스타일이나 테크닉은 다르다. 슬기는 춤선이 단단하며 하늘하늘하고 팔다리가 길어 군더더기 없이 간결하게 춘다면, 아이린은 비교적 부드럽고 유연하고, 작은 신장을 커버하며 동작 하나하나가 꽉 찬 느낌이다.[22] 특히 퍼포먼스 부문에서는 슬기와 아이린의 정반대되는 춤 스타일이 베이스가 되는 듯하다. 레드의 파워풀하고 절도있는 안무는 슬기가 이끌고 벨벳의 그루비하고 섬세한 안무는 아이린이 이끈다. 왜 팀에 두 명의 눈에 띄게 다른 스타일의 댄서들을 영입시킨 건지 한눈에 알 수 있는 부분. 귀신같은 스엠. 다만 Red Velvet이 선보이는 안무들을 보면, 기존의 SM식 칼군무보다는 노래에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타입의 댄스가 많다. 물론 <Dumb Dumb> 같은 곡들은 박자에 딱딱 맞춰서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칼군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최근의 안무들은 현란하기보다 노래의 느낌에 더 치중하는 듯하다.
..그런듯 하였으나 2020년 7월 현재 레드벨벳-아이린&슬기가 데뷔한 이후 업로드되는 앨범 에피소드1 'Naughty(놀이)'의 안무 영상에서 K-POP에서 극악의 난이도로 인해 좀처럼 시도하지 않았던 보깅과 왁킹, 터팅[23]를 듀엣으로 소화하는 것을 보여주며 충격을 안겨주었다. 동작이 복잡하고 정교하기에, 한 동작만 틀려도 티가 많이 나는 춤을 전문 댄서도 아닌 가수로서 완벽하게 춘다는 것은 탁월한 재능과 피나는 연습이 모두 필요하다.[24] 실제로 아이린과 슬기는 7년의 연습생 시절과 6년의 데뷔 후 활동을 하고도 이 춤을 추기위해 기초부터 장장 5개월간의 연습을 했다고 한다. 그러나 5개월간 준비하는 기회비용을 따질때 활동의 수지가 매우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앞으로 이 정도의 난이도와 완성도에 필적하는 안무를 향후 레드벨벳과 다른 아이돌의 무대에서 구경하기는 정말 쉽지 않을 것이다.
3.4.3. 랩
랩은 담당 멤버가 정해져 있다. 메인래퍼 아이린, 서브래퍼는 예리. 리드래퍼인 조이도 랩을 맡으나 The Velvet부터 조이의 보컬 실력이 향상 되면서 보컬 비중이 부쩍 늘어났다. 이로인해 랩의 비중이 많이 줄었다. 다만 Rookie에서는 오랜만에 그만의 찰진 랩을 보여주기도 했다. 사실 조이가 래퍼 포지션으로 분량을 챙기던 Dumb Dumb과 Rookie 사이에 나왔던 7월 7일과 Russian Roulette에는 랩이 없다. 또한 아이린이 빠진 4인 체제 무대에서는 메인보컬인 웬디가 랩을 맡기도 했기 때문에 웬디의 랩을 기대하는 사람들도 있다.사실 웬디는 랩핑도 꽤 잘한다. 여담으로 The Red Summer의 수록곡 여름빛에서는 멤버 전원이 랩 파트를 받기도 하였다.피카부 예리 랩 파트가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들 조합으로 돼있어서 켄지 작사가가 무엇을 의도한건지는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많다.[25] 그러나 Bad Boy 로는 나름 괜찮은 랩으로 호평받은뒤 이후 RBB - 짐살라빔 - 음파음파 - Psycho - Queendom - Feel My Rhythm - Birthday로 이어지며 꾸준히 랩 또는 싱잉랩을 보여주고 있다. 보통 예리가 단독으로 부르거나, 아이린과 같이 부른다.
정규3집 타이틀 Chill Kill에서는 원래 랩을 주로 담당하던 예리 아이린이 보컬을 담당하고 조이 웬디가 랩을 하는등 레드벨벳이 올라운더로 구성된 그룹이라는걸 인증한다.
3.5. 비주얼
▲ 2017년 8월 첫 단독 콘서트 <Red Room> 무대 후 촬영한 사진. |
Red Velvet의 데뷔 이전에도 원래부터 대중들이 'SM 소속 아이돌들'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점은 바로 비주얼이다. 그만큼 SM은 노래나 댄스 이외에도 비주얼을 중요한 지표로 삼기에 레드벨벳 역시 비주얼 조합이 좋은 편에 속하여 리더인 아이린을 비롯한 모든 멤버들이 전부 대체로 예쁜 외모들로 평가받는다.
4. 평가 및 인기
|
그룹의 이름이 내건 양면적 정체성을 차근차근 실험하며 성장해온 레드벨벳은 이 곡을 통해 그 개성을 적절히 유지하면서도 그간의 히트곡에서 보인 선율과 훅의 활용 전략을 더욱 치밀하게 업그레이드했다. |
데뷔 후부터 다양한 컨셉[27]과 뛰어난 실력을 바탕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가운데 2017년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팝에 대중적으로도 히트한 '빨간 맛'이 선정됐고, Perfect Velvet으로 weiv 및 아이돌로지 '올해의 앨범'에 등극한 뒤 2018년 엔 Bad Boy, Power Up, 2019년 말엔 Psycho가 큰 대박을 치게 됨으로 특출난 음악성과 상당히 높은 대중적 인지도를 모두 잡아 국내는 물론 해외 여러나라 에서도 아주 큰 인기와 사랑을 얻고 있는 걸그룹이 되었다. 원래부터 SM이 제시하는 아이돌 성공모델의 형태는 미래 아이돌의 프로토타입으로서 줄곧 작용해왔던 경향이 있다. 2024년 이후 레드벨벳 은 드디어 마침내 데뷔 10주년을 맞이하게 됨으로 현역으로 활동하는 여성 아이돌 그룹들 가운데 최고참 걸그룹 중 한팀으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브아걸 이후 마마무 와 더불어 탈퇴 맴버가 단 한명도 없이, 10주년을 맞이한 최초의 걸그룹이 되었다.[28]
또한 2018년에 낸 Bad Boy는 오늘날 케이팝그룹 해외성적의 근거로 작용되는 글로벌 스포티파이 183위 / 미국 스포티파이 167위로 처음으로 미국 스포티파이 순위권에 오른 케이팝 걸그룹 노래로 레드벨벳이 해외시장에 큰 영향을 준 그룹이라고 볼 수 있다.
데뷔 9년차인 2022년에는 곡 Feel My Rhythm으로 당해 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 중 가장 좋은 음원 성적을 기록했으며, 레드벨벳 내에서는 Psycho(2019) 아래로 두 번째로 높은 음원 연간차트 순위를 보였다.[29] 또한 음반 성적에서도 앨범 Birthday로 자체 커리어하이를 달성했을뿐만 아니라, 발매 다음 달인 12월달 기준으로 100만장 이상을 판 밀리언셀러가 되었다. 또한 코로나이후 4년만의 대학 축제로 고려대학교에 초청되었는데, 대학 축제에서 빼놓고 볼 수 없는 싸이를 제치고 축제의 하이라이트인 맨 마지막 순서를 배정받아 여전한 인기를 자랑했다.
레드벨벳은 2010년대 초반까지의 대중가요 시장의 흐름, 엄밀히 말해 별다른 변화없이 유지되던 걸그룹 생태계에서의 막바지 시점에 등장했다. 변별력이 없고 과열된 시장의 경쟁속에서 갈수록 섹시, 노출만 격화되고, 때마침 겹치는 서바이벌 오디션의 쇠퇴기, 강남스타일의 메가히트에 의한 KPOP에 대한 관심 급증과 블루오션이던 서구권 해외 시장의 개척, 때마침 고도화되어가는 아이돌 트레이닝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흐름에 의해 재래적인 방식이던 2세대 아이돌로부터의 유의미한 분화가 일어나기 직전이던 시점이었다.[30] 같은 회사 소속 그룹인 엑소가 으르렁, 중독과 같은 히트곡으로 음악과 안무 프로듀싱의 질적 향상, 카메라연출, 아트워크 및 세계관과 같은 3세대 아이돌의 개념을 제시한것에 이어 레드벨벳은 초기 투트랙 노선을 포함해 다양한 파격을 통한 넓은 스펙트럼 확보를 통해 현역 걸그룹도 대중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음악적인 호평을 받을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레드벨벳이 한국의 아이돌 시장에 불러온 변화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좋은 음악이 K-POP 인기의 근원이라는 것을 다시 확인해주었다.
평단의 호평과 대중성을 두루 갖춘 대표적인 아이돌 그룹 중 하나로, SM 소속 소녀시대의 대중성과 f(x)의 예술성을 매우 성공적으로 혼합한 결과물로 평가받는다. 레드벨벳의 인기에는 다른 다양한 요인의 영향도 무시할수 없지만, 레드벨벳이 그간 선보인 컨텐츠적인 다양성은 거의 전적으로 음악적인 자신감과 도전에 기반하고 있으며 음악을 아이돌 활동의 수단만이 아닌 궁극적인 목적으로서 대한다. '아이돌이 진정한 의미의 가수인가?'에 의문을 가지는 이들에게 레드벨벳은 아이돌도 대중성을 유지하면서도 성적에만 목매 메시지나 완성도를 내버리지 않는 진지한 아티스트가 될수 있음을 보여준다.[31] 3세대 아이돌중 가장 먼저 데뷔하여 정상의 시간에 가장 오래 머무르고 있다.
- 둘째, 걸그룹 자체가 그룹의 음악의 중심이 되고, 걸그룹이기에 가능한 음악이 무엇인지를 보여주었다.
한국 아이돌의 문제점 문서에도 나와있지만, 2세대 아이돌까지의 성공모델 내에서 기존의 댄스음악의 틀을 벗어나 차별된 음악성을 아이돌으로부터 기대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기존의 kpop 시스템에서 한 음악을 위해 여럿이 모인 아이돌 그룹이 필요한 이유는 역할분담을 통해 주어진 시간 안에 완성도를 올리기 위함이었고[32], 각자의 재능이 모여서 시너지를 낸다는 것도 결국 완성되지 않은 각각의 능력을 모아 전방위적인 예술활동을 하는 기성가수들의 높은 음악적 능력을 따라가기 위함이었다.[33][34] 레드벨벳도 초기에는 역할이 분절되어 있었으나 개개인의 역량이 높은 덕분에 메인보컬의 단독적인 음악적 역량에 이끌려가던 그룹은 아니었고, SM의 매스 프로덕션과 시너지를 내어 기존의 걸그룹 음악의 틀에서 벗어난 음악을 많이 시도했다. 특히나 병풍취급하던 수록곡의 가치를 대폭 끌어올려 타이틀곡뿐만 아니라 아이돌 앨범 전체를 듣는 것을 가치있게 만든것은 굉장한 성과다. 물론 어린 세대가 이해하기에는 깊고 어려운 벨벳컨셉의 음악이 초창기 인기몰이에 별 도움이 되지 않은 것은 사실이나 이러한 곡들이 밑거름이 되어 레드벨벳의 음악적 다양성과 파격적인 도전을 이어지게 만들었다. 시간이 흘러 경력이 쌓이면서 레드벨벳의 파트분배는 주 포지션이 아닌 멤버의 음악적 능력을 상황에 따라 선택해가며 활용할수 있을정도의 상황이 되었는데 이에 따라 레드벨벳은 시도할수 있는 조합의 가짓수가 늘어남에 따라 기성가수들과 단순히 비교할수 없는 '보컬 그룹'으로서의 음악적 가치가 증명되었다.[35] 따라서 음악 외의 많은 재능을 요구받는 현역 걸그룹도 회사의 매니지먼트 능력에 따라 음악적으로 충분히 유의미한 결과물을 낼수 있음을 직접 보여준 사례가 되었다.
- 셋째, 차세대 아이돌의 미래를 제시하는 파격적인 행보를 항상 보여주었다.
레드벨벳의 뛰어난 외모, 적절한 예능감과 높은 무대 능력덕에 기존의 아이돌 성공 문법만 따라간다면 그다지 어렵지 않게 그들이 많은 인기를 얻을 수 있을것이라 모두가 예상했지만 레드벨벳과 SM이 택한 길은 역시나 평범하지 않았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레드벨벳이 대중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안전한 선택만 했다면 단순히 좋은 걸그룹을 넘어 최고중 하나로 평가 받을 수는 없었을것이다. 데뷔곡인 행복조차도 당시의 사운드 디자인이나 프로듀싱 스타일과는 궤를 달리했고 이어진 레드 컨셉과 벨벳 컨셉의 분리도 평범한 음악을 한다는 인식을 깨버리기에 충분했다. 뒤이어 사랑을 차지하기 위해 기상천외한 방식으로 서로를 죽이거나 피자배달부를 납치하는 뮤직비디오같은 것은 예사고 팬이고 나발이고 전부 멘탈을 터트리는 이상한 노래를 가장 최고의 영광을 누릴때에 낸다던지, 엄청난 난이도의 댄스를 5개월간 준비해서 라이브로 보여주는등, 까딱 잘못하면 잃을게 너무 많은 그룹이 시도한적도 없고 해서도 안될 리스크를 수도 없이 받아들였다. 그 결과 SM의 대표 걸그룹으로서 모두가 좋은 흥행성적을 낼거라는 예상을 박살낼만큼 큰 호불호를 컴백때마다 돌파하는 모험을 하게 되었다. [36] 뛰어난 실력과 인기를 가진 레드벨벳이 그런 가시밭길 노선을 연이어 택함으로서 평단에서는 호평을 받았지만 보장된 흥행공식을 따라간 경쟁자들에 비해 대중들의 평가는 박했다.[37][38] 하지만 역설적으로 그런 레드벨벳의 도전은 최고의 자리에서도 같은 것을 반복하지 않는다는 일관성을 바탕으로 '레드벨벳다움'을 정립하여 평론과 동료 음악가들의 찬사를 받고 그룹이 가진 레퍼토리의 장르적 다양성과 적응력을 기반으로 더 많은 작업 기회를 얻으며 괴짜 이미지를 아이덴티티 삼아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는데 성공했다. 그 결과 업계 동료 걸그룹과 기획사들도 진취적인 음악적 변화의 필요성을 깨달았고 케이팝 이 다음 세대로 넘어간 2022년 이후에도 롤모델로 레드벨벳을 꼽는 후배들이 많아졌다.
2017년에 한국갤럽조사연구소 2017년 아이돌 선호도 걸그룹 1위[39]를 달성한데 이어, 2018년 문체부장관상을 수상 하였고, 지상파 3사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했으며 Psycho 활동 당시에는 음방 출연 없이 9관왕과 지상파 트리플 크라운을 받았다. 총 음악방송 1위 횟수는 84회로, 이는 역대 걸그룹 5위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또한 2019년에도 한국갤럽 선정 올해를 빛낸 가수 8위에 올라서며 투표 성과 역시 꾸준히 준수한 성적을 보여주었다.
또한 빨간맛은 한국갤럽조사연구소 설문조사에 따라 올해의노래 17년 전체5위, 18년 10대 3위, 19년 10대 5위로 랭크돼 무려 3년 연속 올해의노래로 언급된 메가히트곡이다.
미국을 제외한 빌보드 마이너 차트인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1위를 한적이 있으며, 2018년 2월 빌보드지에서 주목을 받은바 있었다. 음원 강자로서 역대 걸그룹 2위 기록에 해당하는 기록으로 멜론 20만 이상 하트 2곡을 보유중이다[40]
남북 평화 협력 기원 공연에 참석하여 아이돌로서는 젝키, 핑클, 신화, 베이비복스에 이어 5번째로 참가하였다. 2003년 이후 15년만에 아이돌공연으로 당시 레드벨벳을 모든 한국언론이 조명하고 북한에서 빨간맛무대를 하며 당시 대통령인 문재인, 김정은과 같이 사진을 찍는등 대한민국의 아주 큰 화제거리가 되었다.
또한 5명의 그룹 멤버들이 각자 다양한 영역에서도 크게 활약 중인데, 5명의 멤버중 웬디, 슬기, 조이, 아이린이 솔로데뷔를 해 각자 음반을 가지고 있으며 웬디[41]와 슬기[42]가 라디오 DJ, 조이와 예리, 아이린이 연기, 웬디[43]가 뮤지컬 배우, 조이[44]와 웬디[45]가 예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 중이다. 조이는 3세대 여자아이돌 중 처음으로 지상파 주연을 했다. 예리는 23년도에 청담국제고등학교라는 작품으로 연기 호평을 받았다.
2023년 R to V 콘서트로 체조경기장 무대에 올랐다. [46]
2024년 데뷔 10주년을 6주 정도 앞두고 미니앨범 Cosmic을 발매 하였다. 이 앨범으로 레드벨벳은 처음으로 빌보드 메인차트 빌보드 200에 145위로 진입했다.
5. 음반
자세한 내용은 Red Velvet/음반 문서 참고하십시오.5.1. 뮤직비디오
||<-6><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EA38B><tablebgcolor=#ffffff,#1c1d1f> 뮤직비디오 YouTube 조회수
2024년 10월 08일 기준 (KST)
||
}}}}}}}}} ||
2024년 10월 08일 기준 (KST)
||
Red Velvet (레드벨벳) 실시간 뮤직비디오 조회수 추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순위 | 곡명 | 조회수 / 게시일 | 링크 | |||||
1 | Bad Boy | 413,000,424회 2018. 01. 29. | |||||||
2 | Psycho | 400,190,309회 2019. 12. 23. | |||||||
3 | Russian Roulette | 268,936,857회 2016. 09. 07. | |||||||
4 | Peek-A-Boo | 248,326,092회 2017. 11. 17. | |||||||
5 | 빨간 맛 (Red Flavor) | 206,360,189회 2017. 07. 09. | |||||||
6 | Dumb Dumb | 154,105,259회 2015. 09. 08. | |||||||
7 | Ice Cream Cake | 138,194,773회 2015. 03. 16. | |||||||
8 | Queendom | 127,841,126회 2021. 08. 16. | |||||||
9 | Power Up | 125,484,749회 2018. 08. 06. | |||||||
10 | 행복 (Happiness) | 115,098,962회 2014. 08. 03. | |||||||
11 | 짐살라빔 (Zimzalabim) | 105,849,243회 2019. 06. 19. | |||||||
12 | Feel My Rhythm | 80,690,951회 2022. 03. 21. | |||||||
13 | RBB (Really Bad Boy) | 78,034,227회 2018. 11. 30. | |||||||
14 | Rookie | 75,658,807회 2017. 02. 01. | |||||||
15 | 음파음파 (Umpah Umpah) | 51,323,869회 2019. 08. 20. | |||||||
16 | #Cookie Jar | 40,846,226회 2018. 06. 21. | |||||||
17 | Birthday | 35,833,476회 2022. 11. 28. | |||||||
18 | Be Natural | 33,122,440회 2014. 10. 09. | |||||||
19 | 7월 7일 (One of These Nights) | 29,720,043회 2016. 03. 17. | |||||||
20 | Cosmic | 28,757,576회 2024. 06. 24. | |||||||
21 | Automatic | 28,282,679회 2015. 03. 14. | |||||||
22 | Chill Kill | 25,920,093회 2023. 11. 13. | |||||||
23 | SAPPY | 21,590,478회 2019. 01. 06. | |||||||
24 | WILDSIDE | 18,060,069회 2022. 03. 28. | |||||||
25 | Would U | 14,678,299회 2017. 03. 31. | |||||||
26 | 환생 ((Rebirth) | 8,989,898회 2017. 08. 18. | |||||||
27 | I Just | 7,305,087회 2018. 02. 28. | |||||||
※정식 음반이 아닌 곡 및 기존 곡의 리믹스 뮤직비디오 조회수는 순위에 기재하지 않음. |
6. 활동
자세한 내용은 Red Velvet/활동 문서 참고하십시오.6.1. 방송
자세한 내용은 Red Velvet/방송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6.2. 공연 및 행사
Red Velvet 단독 공연 목록
- [ 콘서트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33.33%><bgcolor=#DE2015><nopad> ||<width=33.33%><nopad> ||<width=33.33%><bgcolor=#050406><nopad> ||
- [ 팬미팅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33.33%><bgcolor=#D5E0E3><nopad> ||<bgcolor=#776793><width=33.33%><nopad> ||<bgcolor=#FFD9EB><width=33.33%><nopad> ||
[[inteRView vol.5|inteRView vol.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5847D; font-size: 0.75em"
2019. 07. 27.]][[inteRView vol.7 : Queendom|inteRView vol.7 : Queendom
{{{#!wiki style="word-break: keep-all; 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CCA; background: #776793; font-size: 0.75em"
2021. 08. 16.]][[HAPPINESS : My Dear, ReVe1uv|HAPPINESS : My Dear, ReVe1uv
{{{#!wiki style="word-break: keep-all; 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DFDFA; font-size: 0.75em"
2024. 08. 02. ~ 09. 29.]]
자세한 내용은 Red Velvet/공연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
6.3. 영화
<rowcolor=#fff> 개봉일 | 제목 | 출연 멤버 | 비고 |
2025년 | |||
2월 5일 | 레드벨벳 해피니스 다이어리 : 마이 디어, 레베럽 인 시네마 | 전원 | [47] |
6.4. 광고
<rowcolor=#fff,#000> 연도 | 브랜드명 | 멤버 | 비고 |
2014년 | 아이비클럽 | 아이린 | with EXO |
빼빼로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 ||
2015년 | 배스킨라빈스 | with 류덕환 | |
with SHINee, f(x), EXO | |||
블랙마틴싯봉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
2016년 | 또래오래 | ||
더샘 | with SHINee | ||
맥스웰하우스 콜롬비아나 | 아이린 | with 이현재, 2017년 이후 단독 | |
2017년 | 스케쳐스 스윗트몬스터 |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아이린은 누오보 모델이므로 제외 |
ABC마트 누오보 | 아이린 | ||
반지: 에이지 오브 링 | |||
현대자동차 | with 강기영 | ||
프로야구 H2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
신라면세점 | |||
2018년 | 헤지스 액세서리 | 아이린 | |
에뛰드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
쿠퍼비전 | 아이린 | ||
이터널 라이트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
레모나 | 아이린 | ||
피츠 수퍼 클리어 | 조이 | with 육성재 | |
아이더 | 아이린 | with 박보검 | |
컨버스 | 슬기 | ||
피구왕 통키 : 불꽃슛의 전설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
동원 양반죽 | 아이린, 웬디 | ||
하이트진로 참이슬 | 아이린 | ||
2019년 | 다미아니 (DAMIANI) | ||
LG V50 ThinQ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48] | |
에스쁘아 | 조이 | ||
어그 (UGG) | #UGGLIFE 캠페인, with 정혁, 김희정 | ||
G마켓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
2020년 | 코카콜라 | 슬기 | Little Big Moments 캠페인, with 박보검 |
록시땅 | with 차인철, 김세동 | ||
아베다 | 조이 | ||
콜레트 | 예리 | ||
크리니크 | 아이린 | ||
에이프릴스킨 | 예리 | ||
2021년 | 폭스바겐 티록 | 슬기 | with 비와이 |
폰즈 | 웬디 | ||
어뮤즈 | 슬기 | ||
2022년 | 이스트쿤스트 | ||
아라치 치킨 | 조이 | ||
종근당 락토핏 | |||
아떼 (비건 코스메틱) | |||
2023년 | BARREL | ||
Fresh | |||
그루브라임 | 웬디 | ||
Azarine Cosmetic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
Adobe | 슬기 | ||
2aN | 아이린 | ||
2024년 | 판도라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6.5. 화보
<rowcolor=#fff,#000> 날짜 | 제목 | 출연 |
2014년 | ||
2월 | THE CELEBRITY | 아이린, 슬기 (sm루키즈) |
Oh Boy! | ||
7월 | MAPS | 아이린, 슬기, 웬디 |
9월 | THE CELEBRITY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
10월 | BAZAAR | 아이린, 슬기 |
12월 | THE CELEBRITY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
ize Vol.8 | ||
2015년 | ||
5월 | CeCi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NYLON | ||
THE CELEBRITY | ||
BAZAAR | ||
K WAVE | ||
6월 | HIGH CUT Vol.150 | |
HIGH CUT Vol.151 | 아이린, 조이, 예리 | |
10월 | VOGUE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11월 | ELLE | |
12월 | NYLON | |
2016년 | ||
1월 | SURE | 슬기 |
2월 | Ceci | 아이린 with 세훈 |
3월 | InStyle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THE CELEBRITY | 아이린, 슬기, 예리 | |
Allure | 슬기 | |
W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
4월 | Marie Claire | |
GQ | 아이린 with 태민 | |
HIGH CUT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
5월 | CeCi | 조이, 예리 |
로피시엘 이탈리아 | 아이린, 슬기 | |
6월 | GQ | 아이린 |
10월 | THE CELEBRITY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ELLE | ||
Oh Boy! | ||
The Star | ||
11월 | Ceci | |
HIGH CUT Vol.184 | 아이린, 조이 | |
12월 | VOGUE | 슬기, 웬디 |
2017년 | ||
겨울호 | THE CELEBRITY | 슬기 |
2월 | Ceci | 아이린, 조이 |
VOGUE | 아이린, 슬기, 웬디 | |
봄호 | THE CELEBRITY | 아이린, 슬기, 웬디, 예리 |
5월 | Singles | 슬기 |
6월 | HIGH CUT Vol.199 | 아이린, 슬기 |
여름호 | THE CELEBRITY | 슬기, 웬디 |
7월 | COSMOPOLITAN | 슬기 with 아드공 |
가을호 | THE CELEBRITY | 슬기 with 루미 |
12월 | Singles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VOGUE | 조이 | |
2018년 | ||
2월 | HIGH CUT Vol.214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Ceci |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
4월 | Ceci | 예리 |
7월 | VOGUE GIRL JAPAN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8월 | NYLON | 조이 |
9월 | GRAZIA | 아이린 |
CHICTEEN Magazine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
10월 | GQ | 슬기 |
12월 | VOGUE | 슬기, 웬디 |
2019년 | ||
4월 | VOGUE | 아이린 |
BEAUTY+ | 슬기 | |
5월 | Ray(レイ)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GRAZIA | 예리 | |
DAZED | 조이 | |
6월 | non-no(ノンノ)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NYLON | 웬디 | |
7월 | Allure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8월 | Esquire | 슬기 |
9월 | Marie Claire | 아이린 |
COSMOPOLITAN | 조이 | |
BEAUTY+ | 슬기, 예리 | |
10월 | Marie Claire | 슬기, 웬디 |
11월 | lonely planet KOREA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12월 | HIGH CUT Vol.253 | 예리 |
2020년 | ||
3월 | Marie Claire | 예리 |
ELLE | 조이 | |
4월 | GQ | |
5월 | NYLON | 아이린, 슬기 |
BEAUTY+ | 조이 | |
DAZED | 예리 | |
6월 | ELLE | 슬기 |
7월 | DAZED | |
8월 | Singles | 조이 |
9월 | Allure | 슬기 |
COSMOPOLITAN | 조이 | |
10월 | Arena Homme+ | |
Marie Claire | ||
DAZED | 예리 | |
BEAUTY+ | 웬디 | |
ELLE | 슬기 | |
11월 | Esquire | |
Arena Homme+ | 조이 | |
FEMALE Singapore | ||
Allure | 예리 | |
Noblesse Men | ||
2021년 | ||
1월 | Harper's BAZAAR | 웬디 |
Allure | 조이 | |
3월 | ELLE | |
Harper's BAZAAR | 슬기 | |
Marie Claire | 웬디 | |
Arena Homme+ | 예리 | |
4월 | DAZED | |
W | 조이 | |
5월 | 앳스타일 | 슬기 with 비와이 |
6월 | W | 예리 |
VOGUE | ||
7월 | Singles | 조이 |
9월 | ELLE | 예리 |
VOGUE | 조이 | |
10월 | Marie Claire | 슬기 |
12월 | BEAUTY+ | 예리 |
2022년 | ||
1월 | Esquire | 아이린 |
2월 | Allure | 웬디 |
COSMOPOLITAN | 조이 | |
4월 | W | |
8월 | VOGUE | 슬기 |
9월 | ELLE | |
Allure | 조이 with 추영우 | |
11월 | DAZED | 예리 |
Marie Claire | 조이 | |
2023년 | ||
1월 | Allure | 예리 |
2월 | Singles | 웬디 |
3월 | Marie Claire | 조이, 예리 |
3.5월 | DAZED | 웬디 |
5월 | BEAUTY+ | |
7월 | COSMOPOLITAN | 예리 |
8월 | Theatre+ | 웬디 |
2024년 | ||
1월 | WAVES | 아이린 |
4월 | WWD | 슬기 |
12월 | GRAZIA | 아이린 |
12월 | WAVES | 웬디 |
6.6. 홍보대사
<rowcolor=#fff,#000> 날짜 | 홍보대사명 | 참여 |
2016년 | ||
1월 | 대한적십자사 RCY 홍보대사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4월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코리아브랜드 & 한류상품박람회 (KBEE 2016) 홍보대사 | |
5월 | 한국공정무역단체협의회 2016 공정 무역 홍보대사 | 웬디 |
9월 | 제18회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홍보대사 | 슬기 |
2017년 | ||
10월 | 세종학당 홍보대사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2018년 | ||
2월 | 경기도교육청 홍보대사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2019년 | ||
4월 | M클린 홍보대사 | 슬기, 웬디 |
5월 | 스위스정부관광청 홍보대사 '스위스 프렌즈'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2020년 | ||
8월 | 푸른 하늘을 위한 국제 맑은 공기의 날 홍보대사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9월 | 2020 한국문화축제 글로벌 한류 홍보대사 | |
2023년 | ||
4월 | AZARINE brand ambassador |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
6.7. V LIVE
자세한 내용은 Red Velvet/V LIVE 문서 참고하십시오.7. 유닛
7.1. 레드벨벳-아이린&슬기
자세한 내용은 레드벨벳-아이린&슬기 문서 참고하십시오.- [ 음반 목록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fff><width=25%> ||<width=25%> ||<width=25%> ||<width=25%> ||
[[Monster(레드벨벳-아이린&슬기)| Monster]]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c1d1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color: #000,#fff"[[놀이 (Naughty)| 놀이 (Naughty)]]{{{#!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c1d1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color: #000,#fff"
- [ 참여 음반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fff><width=1000> ||<width=25%> ||<width=25%> ||<width=25%> ||
[[iScreaM 프로젝트#s-2.3| 놀이 (Naughty) Remix]]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c1d1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129AC; color: #000,#fff"
8. 수상
자세한 내용은 Red Velvet/수상 문서 참고하십시오.9. 빌보드
9.1. 빌보드 200
BILLBOARD 200 | |||||
<rowcolor=#fff> 순서 | 연도 | 앨범명 | 최고 순위 | 차트인 | 비고 |
1 | 2024 | 《Cosmic》 | 145위 | 1주 | [49] |
10. 팬덤
팬덤에 대한 내용은 ReVeluv 문서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10.1. 응원법
응원법에 대한 내용은 Red Velvet/응원법 문서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10.2. 음악 방송 직캠
자세한 내용은 Red Velvet/음악 방송 직캠 문서 참고하십시오.11. 논란 및 사건 사고
자세한 내용은 Red Velvet/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의 그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2. 노래방 수록 목록
자세한 내용은 Red Velvet/노래방 수록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13. 여담
- SM 걸그룹 중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소녀시대, f(x)나[50] aespa와 달리[51], 2008년 데뷔한 SHINee 이후 6년만에 멤버 전원이 한국 국적을 가진 그룹이다.[52][53]
- 멤버마다 각자의 이미지 컬러가 있다. 아이린은 분홍색, 슬기는 노란색, 웬디는 파란색, 조이는 초록색, 예리는 보라색.[54] 예리 합류 전엔 크롬 로고[55]와 먼지떨이[56], 킬라킬 사천왕과 이미지 컬러가 같아 관련 드립이 있었다.
- MBTI는 멤버 전원이 I(내향형)이다. 대부분의 그룹에 I(내향적)와 E(외향적) 성향이 섞여있지만 이 팀은 드물게 멤버 전원이 I성향이다.[57] 이 얘기가 멤버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면 "우리 I들끼리 모여서 연예인은 어떻게 하고 있는 거야"라는 농담(?)이 나오기도 한다.[58]실제로, 멤버들은 내성적인 성격 탓에 연습생일 때부터 "너네 연예인 어떻게 하려 그러니?"라는 말을 자주 들었다고. #
- 외동, 남동생이 있는 멤버가 없다.[59]
- 단체 숙소생활을 했을 당시, 밤늦게 자기 전에 멤버들끼리 그간의 이야기를 서로 주고받으면서 수다를 떠는 "5분 토크"라는 것을 한다고 하는데, 정작 시작하면 5분이 아니라 몇 시간 동안 대화를 할때도 있다고 한다. 슬기 왈, 다음 날 지장이 없게 일주일에 1번만 한다고 한다.
- 아이린이나 웬디는 연습생이 되자마자 함께 합숙을 시작했고, 멤버들이 모두 모여 산 것은 데뷔 전부터 이미 총 1년 반이라고 한다.
- 멤버들은 좋아하는 노래가 생기면 웬디한테 그 노래를 불러달라 한다고 한다.
- 서로가 서로의 팬이라고 밝히고 다니는 그룹. 아이린, 슬기, 예리는 웬디의 팬인듯 싶으나 웬디는 당당히 조이의 팬이라고 외치고 다녔으나, 2016년 1월 현재 슬기로 갈아탄 듯. 조이는 Red Velvet 전체의 팬. 또한 슬기는 금사빠답게 자주 갈아타면서도 웬디에 대한 관심도는 꾸준하다. 사실상 누구 하나 빠짐없이 서로를 아끼고 좋아하는 게 보이는 그룹이다.
- 육군에서 실시한 '육군 오빠들의 마음을 흔든 걸그룹은?' 설문 조사에서 3위를 기록했다.
- 데뷔곡 행복의 공동 작곡가 중 한 명이 채드 휴고. Pharrell Williams의 절친으로 함께 The Neptunes, N*E*R*D로 활동하던 그 채드 휴고 맞다. 이 때문에 미국 대중음악계에서 그들의 위상을 아는 사람들에게는 소소하게 화제거리가 되었다. 이걸로 충분히 언론플레이를 해볼 수 있을 텐데 SM이 언플을 안하다니 신기하다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 다만 과거 소녀시대가 The Boys 작곡가 테디 라일리의 명성을 빌려 언플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기에 유명 작곡가 마케팅을 포기한 것 같다는 의견이 있다.
- Dumb Dumb의 포인트 안무 중 하나인 팔찌 춤에서, 멤버들이 차고 나오는 슬랩팔찌의 인기가 상당했었다. Dumb Dumb이 신곡이었을 당시, SM 코엑스 아티움에서는 물량이 들어오는 즉시 팔려나갈 정도였다고. 아마도 이런 사태를 미리 예상한 SM에서 굿즈 판매를 목적으로 포인트 안무를 기획한 것으로 보인다. 멤버들의 슬랩팔찌는 위에서 서술한대로 각자의 이미지 컬러를 본떠 만들어졌다. 서울 코엑스 SM아티움에서의 팔찌 판매가는 무려 개 당 9800원! 참으로 어마무시한 가격이다.
다른 SM 굿즈 가격을 생각해보면 이 정도는 나름 혜자급이다.팔찌는 세 가지 버전이 존재하는데, 실제로 멤버들이 착용하는 슬랩팔찌, SMTOWN 스튜디오 댄스 클래스에서 증정했었던 슬랩팔찌, SM 코엑스 아티움 판매용 굿즈 슬랩팔찌가 그것들이다. 세 제품 모두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인기를 증명하듯 구매를 위해 직접 SM 아티움을 찾아가도 품절 상태일때가 많다.
- 태양의 후예 마지막 회에서 군 위문공연을 온 VIP로 카메오 출연하였다.관련 영상 사전 예고가 없었던 갑작스러운 출연이라 시청자들도, 팬들도 많이 놀랐다. 아무래도 출연진 중에서 같은 SM 소속 선배인 온유와의 인연으로 카메오 출연이 성사된 것으로 추측된다. 일각에서는 '드라마의 흐름을 깬 것 같다.'는 의견도 있었다.
환호하는 군 장병들의 모습이 드라마에서 가장 리얼리티를 살린 장면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 생일 서포트가 어려운 그룹 중 하나이다. 9월이 생일인 조이를 제외한 네 명의 생일이 다 조밀하게 붙어 있다. 게다가 조이도 데뷔 날짜와 생일이 가깝다. 컴백이 3월, 9월 정도로 잡히면
개강벨벳컴백 서포트, 생일 서포트, 데뷔일 서포트 등 팬들의 통장이 터져 나가는 광경을 볼 수 있다.
- 같은 소속사의 선배 걸그룹처럼 멤버들 간에 나이 차가 꽤 많이 난다. 최연장자인 아이린과 막내인 예리의 나이 차는 무려 8살. 그래도 멤버들이 자주 서로를 디스하는 모습과 장난끼 넘치는 가족 같은 분위기를 보이는 것을 보면 서열 개념은 희박한 듯하다.[61]
- 아육대 메달은 딱 두 개 있는데, 2016 설날 아육대 양궁 은메달과 2018 추석 아육대에서 얻은 은메달이 그것. 아이린, 예리, 슬기가 나선 첫 양궁 출전에 여자친구를 광탈시키고 준결승에서 디펜딩 챔피언 마마무까지 이기며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EXID에게 7점 차로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1년 후 출전한 2017 설날 아육대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였던 예리가 초반부터 세트 직격을 저지른 데다가 슬기 대신 양궁에 나선 웬디마저 크게 부진하는 바람에, 이 날 컨디션이 좋은 편이 아니었던 러블리즈에게 7점 차로 패하며 예선 광탈의 아쉬움을 겪었다. 2018 설날 아육대 양궁에서도 부진하여 TWICE에게 패해 예선에서 아쉽게 탈락했다. 2018 추석 아육대에서 은메달 하나를 추가했다. 예선에서 TWICE를 14점차로 이기며 설의 패배를 설욕했다. 구구단과의 결승에서 웬디의 0점과 멤버들의 부진으로 다시 은메달에 그치고 말았다.
- 2017년 4월 4일, 광주-KIA 챔피언스 필드에서 열린 2017 KBO 리그 SK : KIA 개막전에서 축하무대를 선보였다. 홈 개막전 일주일 전 쯤부터 축하 영상도 찍어서 보내주었다.
- 2017년 7월 5일, 공식 오피셜로 단독 콘서트 개최가 확정되었다! 8월 19일, 20일 양일간 서울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개최했다. 2017년에 팬클럽명 확정과, 단콘 소식이 동시에 전해지며 전국의 러비들을 흥분의 도가니에 빠뜨리는 중. 자세한 내용은 Red Room 문서 참조. 그리고 2018년 8월에 두 번째 콘서트인 RED MARE가, 2019년 11월에는 세 번째 콘서트인 La Rouge가 개최되었다. 다만 La Rouge의 경우 좌석 수도 많지 않고 시야 면에서도 좋은 평가를 못 듣는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에서 진행하여 원성이 자자했다.
- 2017년 7월 8일 Red Velvet 전용 V LIVE 채널이 생겼다.
- 자타공인 여덕이 많은 걸그룹 중 하나다. 모 언론에서도 여덕이 많은 걸그룹, 팬덤 내 여성 비율이 높은 걸그룹으로 소개한 적이 있었다. 대략 남 28:72 여 정도의 비율로 보인다. 해당 기사는 Red Velvet의 팬 사인회를 취재하였는데, 당시에도 자리에 참석한 팬들 중 여성 비율이 압도적이었다. 다만 2017년을 기점으로 남성 팬들도 많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남성 팬과 여성 팬의 비율이 4:6에 가까울 정도로 많이 늘어났다.
- 2017년 8월 2일 23시 기준, 음원 사이트 멜론의 팬 수가 147,941명으로 147,915명의 마마무를 아주 근소한 차이로 앞서면서 여성 아이돌/그룹 분야 팬 수가 가장 많은 아티스트로 확인되었다. 3달이 지난 11월에는 16만 명을 넘긴 상태이다. 그리고 2018년 3월 21일, 걸그룹 최초로 20만 명을 넘겼다.
- 아이튠즈 스토어 및 애플뮤직 한정이긴 하지만, 정규 2집 리패키지 앨범에서 Bad boy, Peek-A-Boo의 공식 Instrumental이 공개되었다.
- JTBC 뉴스룸 2018년 3월 22일자 앵커브리핑에서 레드 컴플렉스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레드벨벳'과 '빨간 맛'을 언급하고 잠시나마 노래도 들려주었다.[앵커브리핑] '레드벨벳의 빨간 맛'
- 유독 타이틀곡 중 후크에 'La La La'가 들어가는 곡들이 많다. (행복, Ice Cream Cake, 러시안 룰렛)
수록곡 포함 바보 노래도 무려 세 곡이나 된다[62] 또한 타이틀곡 제목 첫 글자에 R가 들어가는 노래도 많은데, Russian Roulette, Rookie, 빨간 맛(Red Flavor), RBB(Really Bad Boy까지 총 네 곡이다.후배 그룹은 'Na Na Na'가 들어가는 곡들이 많다
- 2019년 5월부터 조이를 시작으로 멤버들의 개인 인스타그램이 개설되고 있다. 5월 27일에는 조이, 5월 28일에는 예리의 인스타그램이 생긴 것이 확인되었다. 뒤이어 6월 19일 슬기도 개인 인스타그램을 개설했다. 그로부터 3달 뒤인 9월 19일에는 아이린까지 개인 인스타그램을 개설하고, 마지막으로 웬디까지 12월 6일 개인 인스타그램을 개설함으로써 이제 멤버 전원이 개인 인스타그램을 가지고 있다.
- 2020년 2월 27일, 슬기, 조이, 예리가 사랑의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3000만원, 아이린은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1억 원, 마지막으로 웬디도 사랑의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1억 원을 기부하며 멤버 전원이 코로나19 관련 기부 행렬의 동참했다.
- 2020년 초부터 현재까지 SM엔터테인먼트와 서울교통공사의 협력을 통해 슬기, 조이가 재능기부 형식으로 지하철에서 승하차 예절과 일상 응원 메시지를 방송한다. 당초 2호선에서 시험 방송을 시작으로 2020년 4월 16일부터는 1~8호선[65]으로 확대되었다. 발성이나 발음, 음질도 전문 성우의 안내 방송 못지않게 선명해 호평을 받기도 했다.
- 2022년 3월 아이린, 조이, 예리가 코로나 19 확진을 받기도 하였다. 슬기와 웬디는 처음에는 음성 판정을 받았지만 4월에 양성 판정을 받게 되면서 멤버 전원이 코로나 확진을 받았다. 이후 2023년 5월에 웬디가 코로나19 재확진을 받았다.
- 평균 신장은 160.9cm[66]정도로, 한국 여성 평균과 비슷하거나 조금 작은 편이다.
- SM 어벤저스 그룹 Got The Beat 활동으로 웬디 슬기가 참여했다.
- 2022년 12월 후배 걸그룹 aespa와 콜라보레이션 캐롤 싱글 Beautiful Christmas를 발매했다.
- 2023년 정규3집 Chill Kill 발매로 3세대 걸그룹 중 쏘스뮤직의 여자친구와 JYP 엔터테인먼트의 트와이스 다음으로 정규 앨범을 3개 이상 발매한 그룹으로 이름을 올렸다.
- '언니즈'라고도 불리는 아이린, 슬기 두명과 후배 걸그룹 aespa의 카리나, 윈터와 같이 바를 하루 빌려서 술을 먹었다고 카리나가 영통팬싸에서 말한걸 보아 4명이 아주 친한사이라는걸 알 수 있다.
14. 역대 프로필 사진
행복 (Happiness) | Be Natural | Ice Cream Cake |
The Red | The Velvet | Russian Roulette |
Rookie | The Red Summer | |
<colbgcolor=#fff><colcolor=#000> The Perfect Red Velvet | #Cookie Jar | Summer Magic |
RBB | SAPPY | 'The ReVe Festival' Day 1 |
'The ReVe Festival' Day 2 | <colcolor=#fcaad0> 'The ReVe Festival' Finale | |
'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 | Bloom | 'The ReVe Festival 2022 - Birthday' |
Chill Kill |
1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가수 | |||||||||
ONE 프로덕션 | ||||||||||
보아 | 소녀시대 | aespa | ||||||||
PRISM 프로덕션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SHINee | WayV | Raiden | LUCAS | }}} | |||||
RED 프로덕션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동방신기 | Red Velvet | }}} | |||||||
NEO 프로덕션 | ||||||||||
NCT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27 | DREAM | WISH | }}} | ||||||
WIZARD 프로덕션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SUPER JUNIOR | EXO | RIIZE | }}} | ||||||
VIRTUAL IP 프로덕션 | ||||||||||
nævis | ||||||||||
배우 | ||||||||||
유호정 | 최종윤 | 조준영 | 이철우 | |||||||
제이민 | 김지우 | 라미 | 강인 | |||||||
방송인 | ||||||||||
김경식 | 이동우 | |||||||||
기타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크리스 | 타오 | 승한 | }}} | ||||||
Labels In Company 소속 | ||||||||||
<rowcolor=#f197b4> | ||||||||||
IMLAY | Mar Vista | 민지운 | ||||||||
한지희 | 요한킴 | 황호규 | 김종국 | |||||||
관련 틀 | ||||||||||
틀:SM C&C | 틀:키이스트 | 틀:미스틱스토리 | 틀:KMR | 틀:에스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50%; display:inline-table;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AVEX MANAGEMENT | ||
ARTIST | |||
[[안자이 카렌|안자이 카렌 ]] | 이시바시 히이로 | lol -エルオーエル- | |
오사와 신이치 | 오오츠카 아이 | ||
오모리 야스코 | 카지 히토미 | 카르마 | |
KO-TA | kolme | 코다 쿠미 | |
고다이 나츠코 | 사이토 마코토 | SEAMO | |
GENIC | 스즈키 아미 | ||
SOLIDEMO | 타카기 리요코 | ||
Da-iCE | TRF | 도쿄죠시류 | |
도쿄푸딩 | AAA | Do As Infinity | |
하마사키 아유미 | BACK-ON | Motsu | |
hitomi | 피코타로 | FEMM | |
마코미나 | mihimaru GT | Miyuu | |
motsu | Yup'in | ||
와스타 | 우라타 나오야 | 니시다 히라리 | |
이토 치아키 | 쿠로세 히나 | ||
TALENT | |||
미코토네 | 이토 요스케 | 오오하라 유노 | |
쿠라타 루카 | 고토 마키 | 스에타카 토무 | |
시부야 아키 | 스미타니 안나 | 세키네 유우나 | |
타치바나 유리카 | 데구치 아리사 | 마사모토 레일라 | |
마루타카 마나미 | |||
MODEL | |||
아키야마 레이 | 에노사와 마나미 | 오오이시 미츠키 | |
카논 | 키라리 | 코무로 아미 | |
사카타 히데아키 | Sakura Kirsch | Taiki & Noah | |
Niki | 니시카와 미즈키 | 누쿠미 메루(메루루) | |
후쿠야마 아이미 | 후루타 아이리 | Taki | |
ACTOR/ACTRESS | |||
[[아오노 사호|아오노 사호]] | 아사카와 나나 | 이이토요 마리에 | |
이케야마 치아키 | 오우지 사키 | 오오조라 유우히 | |
오오하다 시에리 | 오가타 호나미 | 오자키 히토시 | |
카마타니 유우헤 | 카와에이 리나 | 키타 케이스케 | |
쿠보타 히데토시 | 쿠리타 모모카 | 쿠와하타 쿄우세 | |
코우세카 쥬리 | 콘도 렌 | 사쿠마 노아 | |
사와지리 에리카 | 쥬하마 하루미 | 스나가와 슈야 | |
타카이시 아카리 | 타카노 아키라 | 타카하시 카린 | |
타케시 나오키 | 타치하나 레나 | 츠보네 유우토 | |
나카사키 에리나 | 나카무라 시도 | 나가에 료키 | |
하마 쇼고 | 히비 미코토 | 히라타 리에 | |
후쿠다 메이 | 마시코 아츠키 | 마시코 슈토 | |
마시무라 유우 | 미야자키 리나 | 모리오카 유우 | |
야마야 카스미 | |||
AVEX ASUNARO Company | |||
스가하라 리코 | 오카다 나나 | 코다마 하루카 | |
무라야마 유이리 | |||
AVEX PICTURES | |||
안자이 치카 | 야스노 키요노 | 타카라기 쿠미 | |
토쿠이 소라 | smileY inc. | ||
세리자와 유우 | Tia | 하타노 와타루 | |
유타쿠II | Run Girls, Run! | D-selections | |
강타 | 보아 | ||
SUPER JUNIOR | EXO | Red Velvet | |
NCT | aespa | ||
TAEYANG | WINNER | BLACKPINK | |
EUN JIWON | TREASURE | 2NE1 | |
- [ 관련 문서 ]
-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e5e5e5><bgcolor=#024bab>자회사||
에이벡스 엔터테인먼트 에이벡스 매니저먼트 에이벡스 픽쳐스 XGALX
[1] 데뷔곡 발매는 8월 4일이다.[2] 4인 데뷔일 기준. 2015년 3월 11일 예리 합류일로부터 [dday(2015-03-11)]일, [age(2015-03-11)]주년[3] 색상 코드는 #FEA38B[4] Red Velvet을 누르면 된다.[5] 리더인 아이린이 선창한다.[6] 구호와 동시에 양손으로 웃는 입 모양을 그린다. 여담으로 이 입 모양을 끝맺는 손모양이 각각 다르다. 아이린과 조이는 손하트를 그리고, 웬디와 예리는 입 모양을 그린 손가락을 올린다. 그리고 슬기는 손가락을 가만히 놔둔다. 이에 대해 아이린과 조이는 입꼬리를 집어주고, 웬디와 예리는 입꼬리를 올려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7] 2014년 8월 1일, 4인조로 데뷔하여 활동하다 2015년 3월 11일에 예리가 합류하면서부터 5인조로 활동 중이다.[8] 다만 소녀시대 역시 2011년 《The Boys》 활동 이후로 《I GOT A BOY》, 《Mr.Mr.》 등 꽤나 실험적인 곡도 많이 냈다는 점을 감안할 때, Red Velvet이 계승한 소녀시대의 이미지는 주로 2011년 이전의 이미지를 생각하는 게 더 적절할 듯 하다.[9] Red Velvet 최초의 더블 타이틀 앨범으로, Ice Cream Cake이 레드, Automatic이 벨벳이다.[10] 레드 + 벨벳 콘셉트의 시초. 조이의 말에 따르면 레드와 벨벳을 합쳤다고 한다.[11] 레드 + 벨벳 콘셉트의 앨범들 중 가장 벨벳 콘셉트에 가깝다.[12] 다른 곡들에 비해 두 콘셉트의 조화가 두드러지는 것이 포인트. 어느 한쪽으로 쏠릴 수는 있어도, 두 콘셉트가 섞여 있다는 것만은 분명하다.[13] 2015년 9월 발매된 Dumb Dumb과 2016년 3월 발매된 7월 7일 (One Of These Nights)의 각종 음원차트에서의 차트 아웃 시기가 그리 차이나지 않았다는 점이 대표적인 예시이다.[14] 러시안 룰렛 (Russian Roulette), Rookie, 빨간 맛 (Red Flavor). 러시안 룰렛도 레드+벨벳 컨셉이라고는 하나 기본적으로는 레드 컨셉의 느낌이 강하다.[15] 이에 DJ DOC의 김창열은 90년대 SWV라는 그룹을 연상케 한다는 평을 남기기도 했다.[16] 이는 Dumb Dumb, 7월 7일 등 타이틀곡뿐만 아니라 The Red의 수록곡인 Oh Boy나 Campfire, Cool World에서 유독 잘 드러난다.[17] 웬디와 조이의 경우, sm 여자아이돌 구성 시 꼭 넣는다는 메인 보컬-음색 보컬 기조를 따르는 조합으로 태연-제시카, 루나-크리스탈을 잇는 조합이다.[18] VMC는 2015 최고의 국내힙합 앨범으로 꼽히는 양화의 딥플로우가 설립한 레이블이다.[19] 연예인 조형기의 아들이기도 하다.[20] 하지만 대부분의 아이돌에게 가는 평가가 그렇듯, 랩 파트는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편이다. 대중들의 의견을 전체적으로 취합해도 아이린과 예리가 랩보다는 보컬에 더 잘 어울리는 것 같다는 평.[21] 조이 역시 비음이 꽤 섞인 편이다.[22] 격한 춤을 출 때 아이린의 날카로운 춤선이 상당히 부각된다.[23] 손가락과 손목, 팔 관절을 이용해서 박자에 맞게 절도있게 떨어지는 각도를 이용한 팝핑계열의 댄스로 아이돌 댄스에서 사용한 기록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고 아이돌 1세대부터 최고의 춤꾼으로 이름을 날린 장우혁이 그의 노래 시간이 멈춘 날에서 보여준 적이 있다. 최근에는 NCT의 태용이 안무 영상을 통해 보여주기도 했다.[24] 이 춤을 카피하기 위해 수많은 댄스팀이 커버를 시도했으나 전부 팔다리의 각이 제대로 살지 않거나 절도있게 동작을 끊지 않고 대충 비슷하게 따라한채 동작을 스킵하는 경우가 많아 오리지널 안무에 준하는 수준의 커버가 아직도 나오지 않았다. 안무의 난이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유튜브 커버수준의 전문성으로선 앞으로도 나오지 못할것같다.[25] I said 1 2 3 Play the game again 버튼을 눌러보자 쿵푸만큼 빨리 중간에 내 맘 변해도 놀라지 말기 혹시 끌리지 않니 그럼 Excuse me 자 전화해요 밤새 또 놀러 가요 함께 Restart a game 돌진해 롤링해 블랑카[26] Ice Cream Cake(2015년 3월)으로 음악방송 1위, 걸그룹 3세대 중 제일 먼저 연간차트에 이름을 올렸고 3세대 첫 멜론 실시간차트 1위곡도 Dumb Dumb이다[27] 그룹 컨셉이 레드/벨벳/둘을 합한 레드벨벳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세부 컨셉도 곡마다 바뀐다. 큰 갈래의 기본 컨셉을 제외하고는 아예 겹치는 컨셉이 없다고 봐도 된다.[28] 탈퇴 맴버는 커녕 본래 소속사와 계약을 종료하여 다른 회사로 옮긴 맴버조차 한명도 없이 모두가 여전히 같은 회사 한 식구로 남아있는 상태로 데뷔 10주년을 맞이한 걸그룹은 브아걸 이외엔 사실상 거의 유례를 찾아보기 어렵다.[29] 써클차트 기준으로 Psycho-연간 9위, Feel My Rhythm-연간 11위[30] 직속선배인 F(x)의 경우 데뷔 시기에 비해 너무나 급진적인 프로듀싱의 진화를 시대가 쫓아가지 못하였기도 하고 F(x)와 SM도 2009년에 데뷔한 이후 구세대와 분절된 변화의 효과를 설득력있게 제시할수 있을만큼의 완성도를 갖추는게 2013년 PINK TAPE 이후에 이르러서야 가능했지만 레드벨벳의 경우 선배들의 도전으로 인해 대중들의 인식이 조금씩 변하는 상황속에서 SM의 거듭된 시행착오속의 배움으로 엄선된 재능과 오랜 연습생 기간으로 준비를 마치고 2014년 8월 데뷔하게 되었다. 무려 5년만의 SM 걸그룹의 데뷔였는데 그들 이후로는 또 6년이 넘는 긴 시간동안 신인 걸그룹이 나오지 않다가 2020년 11월 드디어 레드벨벳의 후배 걸그룹인 에스파가 데뷔하였다.[31] 다른 아티스트에게도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대체로 음악성이 매우 뛰어난 그룹으로 손꼽히고 있다.[32] 음악이 산업이 되어버린 현실속에서 각 멤버가 자신에게 주어진 한 파트를 갈고 닦아 빠른 활동주기 속에서도 많은 인원의 분업을 통해 퀄리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했고, 트렌드를 쫓아가는 능력은 언제나 강조되는 반면 많은 변화는 주기대비 퀄리티에 최적화된 활동을 계획하는데에 걸림돌이기에 겉치장만 그럴싸하게 바꿀뿐 아이돌 음악은 장르적으로도 다양할수가 없었다.[33] 다소 아이돌 음악을 비하하는 것으로 들릴수도 있겠으나 '어떤것이 좋은 음악인가?'에 대한 관념이 느슨해진 최근까지도 철저히 소속사의 계획에 의해 만들어지는 아이돌 음악이 기성 가수의 예술성과 비교될만큼의 완성도를 가진다고 평가받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고등학교를 갓 졸업하거나 심지어 중학교 졸업후 갓 데뷔한 어린 신인이 음악사적으로 의미있고 예술성높은 작품을 남기는 것은 거의 기적에 가까울만큼 불가능하고 마이클 잭슨같은 세기의 천재조차도 학대에 가까운 연습이 뒤따라야 가능했던 일이다. 그런데 심지어 천재적인 음악적 능력이 있어도 이렇게 어려운 판에 아이돌로서의 성공은 춤실력, 예쁘고 잘생긴 얼굴과 몸매는 기본이고 요즘은 사교성과 예능감, 정신건강, 바른 인성과 깨끗한 과거, 튼튼한 체력, 외국어능력까지 전방위적으로 너무나 많은 것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그중 음악적 능력 하나만 빠지는게 아무리 프로듀싱 관점에서 아쉬워도 사업적으로는 이런 인적자원을 쉽게 포기하기 힘든게 현실이다. 즉 음악성이 뛰어난 음악을 만들 능력이 안된다기보단, 만들기가 힘든 경우가 많다는 것.[34] 특히 나이와 외모가 중요시되는 여자 아이돌 그룹은 그런 완성도를 올리는 작업이 힘들었기에 녹음에 더욱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프로듀서가 정한 규격에 맞게 곡을 소화하는데에 만족해야만 했다. 이를 경멸적으로 보는 이들, 특히 해외에서 kpop을 안좋게 보는 외국인들은 이런 활동이 행복추구권에 제한을 두면서까지 압박이 심한 연습환경과 더불어 음악적인 가치보다 당장 인기몰이를 통한 돈벌이나 하는 버블껌팝(Bubble Gum Pop)이라고 놀리며 kpop을 평가절하하는 경향이 있었다.[35] 자이언티의 '멋지게 인사하는 법'#, 크러쉬의 '자나깨나'#와 같은 외부 콜라보, 동료 음악가들의 팬심 고백과 콜라보 희망, 아이린-슬기 유닛과 조이와 웬디의 단독앨범, 그리고 자체 앨범에서의 파트 스위칭등이 이를 뒷받침한다.[36] 이것은 앞서 같은 회사의 선배들이 마찬가지로 겪은바 있기에 SM의 고집에 의한 선택일 가능성이 높고 NCT와 에스파에도 이것이 이어지고 있으나 그 충격의 크기는 단언컨대 레드벨벳을 따라올수 없다.[37] 더군다나 레드벨벳이 최고의 영광을 누리던 시기는 날이 갈수록 심해지는 경쟁속 음원차트의 영향력이 절정을 맞이해 소수 아이돌의 대형 팬덤의 집중현상 및 팬덤의 음원 총공으로 대표되는 팬덤간의 기록경쟁이 가장 심각했던 때였다. 이는 음원 사재기의혹과 2018-2019년 연쇄 음원 사재기 파동으로 대표된다.[38] 2020년 이후로는 실시간 음원 차트의 폐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물리적인 접근이 제한되면서도 kpop이 해외에 더욱 보급되어서 이전보다는 상황이 많이 나아졌다. 당시 끊임없는 인기비교와 성적의 압박이 있는 상황에서 'SM이 감을 잃었다'와 같은 혹평을 들으며 경쟁자들과 비교당하고 있으니 레드벨벳의 팬덤으로서는 이런 회사의 결정들에 복장이 터질수밖에 없었다.[39] 전체 4위[40] 1위 BLACKPINK 3곡[41] 웬디의 영스트리트(SBS 파워FM)[42] 슬기.zip(네이버 now)[43] 뮤지컬 레베카 주연[44] 동물농장 외 다수[45] SNL[46] 체조경기장에 입성한 3세대 걸그룹은 레드벨벳, 블랙핑크, 트와이스 3팀 뿐이다.[47] 콘서트 실황 영화[48] TV CF에는 슬기가 휴대전화 화면에서 피카부 안무를 추는 모습이 잠깐 나오고, 유튜브에 올라온 활용법 영상 2개에는 모든 멤버가 나온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의 문단의 영상을 참조.[49] 레드벨벳의 '코스믹'은 지난 6월 한국과 디지털 플랫폼에서 발매됐으나 미국에서 피지컬 음반은 8월 2일 나왔다.[50] 현재는 f(x)의 멤버들이 SM을 모두 나가서 SM에 소속되어 있으며 사실상 해체 상태이다.[51]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의 스테파니, 소녀시대의 티파니와 제시카(前 멤버)가 미국인이었고 써니는 대한민국/미국 복수국적, f(x)에서는 빅토리아가 중국인, 엠버가 미국인, 크리스탈은 대한민국/미국 복수국적 소유자였다. 또한 aespa는 지젤이 일본인, 닝닝이 중국인이다.[52] 웬디가 학창 시절에 미국과 캐나다에서 유학 생활을 했으나, 가족 중 유일한 단독 대한민국 국적이다.[53] 현재 활동중인 SM 소속 아이돌 중 한국인으로만 데뷔한 그룹은 동방신기, 샤이니, Red Velvet이 있다. 슈퍼주니어의 경우 한경이 중국인이었으나, 탈퇴 후 11인 체제에서는 멤버들은 전원 한국 국적이다. 과거 전원 한국인 멤버로 데뷔했으나 현재는 SM 소속이 아니거나 활동하지 않는 그룹으로는 S.E.S., 신화 정도.[54] 선배 그룹인 H.O.T.도 멤버 별 이미지 컬러가 있다.[55] 파란 웬디를 나머지 멤버들이 둘러싸고 있다는 드립이었다.[56] 때문에 Red Velvet 응원봉을 먼지떨이로 하자는 드립도 있었다.[57] 아이린: ISFJ/ 슬기: ISFP/ 웬디: ISTP/ 조이: INFJ/ 예리: INTP.[58] 레벨업프로젝트5 2회에서 차로 이동 중 조이가 얘기를 꺼내자 슬기가 맞장구치는 장면이 나왔다. 데뷔 9주년 기념 방송에서도 MBTI 밸런스 게임 코너를 시작하려는데 조이가 별안간 웃기다면서 얘기했다. 항상 조이가 언급하네?[59] 아이린은 여동생 1명, 슬기는 오빠 1명, 웬디는 언니 1명, 조이는 여동생 2명, 예리는 여동생 3명이 있으며 즉, 슬기만 빼고 멤버 전원이 자매지간이다.[60] 아이린, 슬기, 조이는 A형이며 웬디, 예리는 O형이다.[61] 참고로 SM엔터테인먼트에서 최연장자와 막내의 나이차이가 가장 큰 그룹은 원래 f(x)로, 1987년생 빅토리아와 1994년생 크리스탈의 7년 차이였다. 그러다가 Red Velvet은 예리 영입 이후 1년 갱신한 8년 차이를 보였으며(예리 영입 이전에는 5년 차이가 났다.) 직속 후배인 NCT의 경우도 8년이다. 참고로 SM 내부에서 나이차이가 가장 적은 그룹은 소녀시대,동방신기,에스파이다. (셋 다 2년.)[62] Stupid Cupid, Dumb Dumb, Fool[63] 나이순으로 배, 강, 손, 박, 김[64] Apink에서는 박초롱/손나은/김남주, 트와이스에서는 박지효/손채영/김다현, 여기서는 박수영/손승완/김예림이 있다.[65] 서울교통공사 소속 구간 한정[66] 조이: 167.1cm, 슬기: 161cm, 웬디: 160.3cm, 아이린/예리: 158cm[67] 8월과 11월에만 벌써 4번씩이다.[68] 다만 웬디와 조이는 솔로 데뷔를 각각 4월과 5월에 했다.[69] 일본 앨범까지 포함하면 일본 정규 1집 Bloom이 4월 6일에 발매되었기 때문에 5월에만 앨범을 낸 적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