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01:59:57

빅 크런치

빅크런치에서 넘어옴
항성은하천문학·우주론
Stellar & Galactic Astronomy · Cosmology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RoyalBlue><colcolor=#fff> 항성천문학
측광학 광도 · 별의 등급
항성
()
다중성계(쌍성) · 변광성(세페이드 변광성 · 밝은 청색 변광성 · 황새치자리 감마형 변광성) · 성단(산개성단의 분류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 · 초대질량 항성 · 쿼시 별 · 섬광성 · 청색 낙오성
항성 진화 주계열 이전 단계
주계열성
주계열성의 단계
주계열성의 종류 L형 · M형
K형 · G형
F형 · A형
B형 · O형
(차가운 준왜성)
주계열 이후
밀집성 백색왜성(신성 · 찬드라세카르 한계) · 중성자별(뉴트로늄 · 기묘체) · 블랙홀(에딩턴 광도)
성간물질 성운(전리수소영역 · 통합 플럭스 성운) · 패러데이 회전
기타 분류 색등급도 · 여키스 분류법 · 하버드 분류법 · 별의 종족
은하천문학
기본 개념 은하(분류) · 활동은하핵(퀘이사) · 위성은하 · 원시은하(허블 딥 필드) · 툴리-피셔 관계 · 페이버-잭슨 관계 · 헤일로(암흑 헤일로)
우주 거대 구조 은하군 · 은하단 · 머리털자리 은하단 ·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페르세우스자리 은하단) · 섀플리 초은하단 · 슬론 장성 · 헤르쿨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
우리 은하 은하수 · 록맨홀 · 페르미 거품 · 국부 은하군(안드로메다은하 · 삼각형자리 은하 · 마젤란은하(대마젤란 은하 · 소마젤란 은하) · 밀코메다) · 처녀자리 초은하단(처녀자리 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화로자리 은하단 ·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 · 센타우루스자리 은하단 · 거대 인력체) · 물고기자리-고래자리 복합 초은하단
우주론
기본 개념 허블-르메트르 법칙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시뮬레이션 우주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와 미래 우주 달력 · 플랑크 시대 · 우주배경복사(악의 축) · 재이온화 · 빅 크런치 · 빅 립 · 빅 프리즈
틀:천문학 ·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천문학 관련 정보
}}}}}}}}} ||

파일:external/s.hswstatic.com/big-crunch---open-and-flat-universe.jpg

Big Crunch - 대붕괴, 大崩壞 / 대함몰, 大陷沒

1. 개요2. 설명3. 빅 크런치가 묘사된 작품

1. 개요

빅뱅 우주론에 입각한 우주멸망 가설.

2. 설명

빅뱅이 한 점에서 무한히 팽창했다는 우주의 기원 이론이라면, 빅 크런치는 자체적으로 우주 전체의 질량에 의해 발생하는 중력 위치에너지가 우주가 팽창하는 에너지보다 클 경우, 우주는 그 자신이 가진 중력에 의해 일정수준까지 팽창한 뒤 팽창을 멈추고 다시 한 점으로 모일 때까지 수축한다는 세계멸망 이론이다. 빅뱅이론을 세운 초창기 연구자 중 하나인 프리드만이 먼저 제안했다.

이것이 가능한가는 아래 두 가지 요소에 달려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우주를 빅뱅 이전의 밀집 상태로 유지시킬만한 강력한 중력원이 중심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현재는 빅뱅이 일으킨 엄청난 폭발력으로 인해 우주가 일시적으로 팽창하는 상황이라고 가정하는 것이다. 완전히 일치하진 않으나 이해하기 쉽게 비유하면, 절대 찢어지지 않는 고무 풍선 속에서 다이너마이트를 터뜨리면 일시적으로는 폭발력에 의해 엄청난 속도로 가속 팽창을 하겠지만, 폭발력이 소멸하는 순간 팽창 속도는 0이 되고 결국 고무 풍선은 다시 빠른 속도로 수축하여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갈 것이다. 결국 우주의 중심에 현재의 팽창 속도를 이루는 근원 물질 (보통 암흑 에너지라 가정한다)의 힘을 이겨낼만한 중력원이 존재한다면 가속 팽창은 언젠간 멈추고 다시 수축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이론.

빅 크런치가 일어날 우주의 팽창 속도는 특정 지점에서 0에 도달하게 되고, 그 이후부터는 팽창이 진행된 기간과 동일한 시간 동안 반대 방향으로 팽창, 즉 수축이 진행된다. 더 작은 우주는 더 뜨거운 우주를 의미하므로, 우주배경복사의 온도는 점차 증가하면서 결국 우주는 빅뱅 당시의 불덩어리와 같은 모습으로 돌아가게 된다. 만일 누군가 이때까지 생존했다면 하늘 전체가 태양의 표면만큼 밝게 빛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우주 팽창은 느려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빨라지고 있어 빅 크런치의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한다. 위에 언급된 암흑에너지가 우주를 밀어내고 있다는 것. 다만 암흑 에너지나 암흑 물질은 아직 이론적으로만 논해지고 실체가 증명되지는 않았으며 때문에 그 정확한 성질도 알 수 없으므로, 우주가 빅 크런치로 끝날지 빅 프리즈로 끝날지는 현재로 우리로서는 알 수 없다.

진동 우주 가설에 의하면 빅 크런치 이후 다시 빅뱅이 발생하는 과정이 반복된다.

3. 빅 크런치가 묘사된 작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6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6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