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30A17 50%, #E30A17 5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지방(Bölge) | 도(İl) |
중앙아나톨리아 | <colbgcolor=#fff,#1c1d1f> | |
마르마라 | ||
에게해 | ||
지중해 | ||
동남아나톨리아 | ||
흑해 | ||
동아나톨리아 | }}}}}}}}} |
1. 개요
튀르키예어 Bingöl쿠르드어 Çewlîg
아르메니아어 Ճապաղջուր
튀르키예 중북부의 도시. 디야르바크르에서 북쪽으로 100km, 엘라즈에서 동쪽으로 90km, 에르주룸에서 서남쪽으로 110km 떨어진 분지에 자리한다. 인구는 약 12만명으로, 빙괼 도의 주도이다. 빈괼 혹은 빙괼은 튀르키예어로 '천개의 호수'란 뜻으로, 1950년대 기존의 '물이 퍼짐'이란 의미의 아르메니아식 지명인 차팍추르 (Çapakçur)에서 바뀐 것이다. 다만 일대에 호수는 별로 없고 이웃한 엘라즈나 무슈 쪽에 많다. 13-19세기까지 일대는 쿠르드계 국가인 수베이디 후국과 팔루 후국에 속하였다. 전통적으로 아르메니아 인이 다수 거주했으나 1915년 아르메니아 대학살로 거의 사라졌다.
현대에는 디야르바크르, 바트만, 반 등과 함께 PKK 세력의 근거지 중 하나로 갈등이 있다. 유프라테스 강의 상류인 무라트 강의 체브리프나르 지류와 산지 사이에 형성된 시가지는 2003년 수백명의 사상자를 낸 대지진으로 파괴되어 옛 건물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 그나마 서쪽 15km 지점 하세레크 스키장 정도가 얼마 없는 관광지 중 하나다. 시가지 북부 빈괼 지류 북안에는 2007년에 세워진 빈괼 대학교가 있고, 동남쪽 7km 지점에는 2013년에 세워진 빈괼 공항이 있다. 해발 1100m의 고지대에 입지했지만 여름에는 35도가 넘을 정도로 덥다. 다만 겨울에는 영하 20도에 이를 만큼 춥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