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09:51

서울 버스 2115

서울 버스 2223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서울 버스 2223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신자초교와 강변역을 오갔던 구 2223번에 대한 내용은 서울 버스 광진05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서울 버스 2223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신자초교와 강변역을 오갔던 구 2223번:
서울 버스 광진05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5bb02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2권역 지선버스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2012 2013 2014 2015 2016
2112 2113 2114 2115 2211
2212 2221 2222 2224 2227
2230 2233 2236 2311 2312
2412 2413 2415 2416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2px"
}}}}}}}}} ||
파일:2115_6491.png 파일:2115_3909.png
도원교통 차량 상진운수 차량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노선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상진운수도원교통에서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6.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211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2115 노선도(2023).svg
기점[1] [출발]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중랑공영차고지삼거리)
[도착]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중랑공영차고지.종점)
종점[2]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서경대본관)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4:00
막차 00:00 막차 00:00
평일배차 6~10분 주말배차 7~11분
운수사명 도원교통 / 상진운수 인가대수 29대(예비 2대)[3][4]
노선 중랑공영차고지삼거리 - 중랑경찰서후문 - 서울의료원 - 중랑구청 - 중화역 - 중화빗물펌프장 - 중랑교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환승센터 - (→ 제기동역 → 안암오거리 →/← 제기동주민센터.서울약령시앞 ← 제기시장 ←)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 보문역 - 성북구청 - 성신여대입구역 - 아리랑고개 - 길음뉴타운8단지 - 서경대본관

3. 역사

※ 통합 전 두 노선(1212번, 2223번)에 대한 연혁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지선버스 문서를 참조.
파일:서울 2115 노선도.svg}}}

4. 특징

4.1.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2115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서경대본관
08372 · 08373
서경대정문.대일외고
08800
대일외고서경대정문
08371
서경로꿈마루도서관앞
08250
서경로꿈마루도서관앞
08382
길원초등학교입구
08251
길원초등학교입구
08252
길음뉴타운11단지롯데캐슬
08253
길음뉴타운11단지롯데캐슬
08254
길음뉴타운8단지
08381
길음뉴타운8단지
08380
정릉동아.길음뉴타운데시앙아파트
08255
길음뉴타운데시앙.정릉동아아파트
08256
숭덕초교
08257
숭덕초교
08120
정릉입구.정릉역
08263
정릉입구.정릉역
08264
아리랑고개.아리랑시네미디어센터
08265
아리랑고개.아리랑시네미디어센터
08266
돈암2동주민센터입구.흥천사
08267
돈암2동주민센터입구.흥천사
08268
성신여대입구역
08269
성신여대입구역
08270
삼선동주민센터
08175
삼선동주민센터
08176
성북구청.성북경찰서
08177
성북구청.성북경찰서
08178
보문역
08295
보문역
08296
안암동주민센터
08297
안암동주민센터
08298
고려대이공대.고대병원
08299
고려대이공대.고대병원
08300
안암역
08301
개운사입구
08304
제기시장
06290
안암오거리
08303
홍파초등학교
06171
용두시장앞
06180
제기동주민센터.서울약령시앞
06168
제기동역.서울약령시
06024
청량리수산시장
06418
청량리.청과물도매시장
06022
청량리역환승센터(1번승강장)
06016
청량리역환승센타(4번승강장)
06015
- 청량리미주아파트.동대문세무서
06021
서울성심병원
06114
떡전교사거리.동대문노인복지관
06014
휘경동입구
06117
시조사삼거리
06013
삼육서울병원
06012
삼육서울병원
06011
중랑교
06010
중랑교
06009
중랑교동부시장
07321
중랑교동부시장
07320
중화2동새마을금고
07319
중화2동새마을금고
07318
성은교회앞
07422
중화빗물펌프장
07317
중화2동체육공원
07316
중화2동체육공원
07427
중화2동주민센터
07252
중화2동주민센터
07251
중화역3번출구
07254
중화역3번출구
07253
지하철7호선중화역2번출구
07256
지하철7호선중화역2번출구
07255
중흥초등학교
07258
중흥초등학교
07257
이화연립경동제일교회앞
07260
이화연립경동제일교회앞
07259
쌍용아파트신내테크노타운앞
07262
쌍용아파트신내테크노타운앞
07261
엘지아파트앞
07264
엘지아파트앞
07263
신현중학교
07266
신현중학교
07265
중랑구청
07268
중랑구청
07267
신내동성3차아파트
07275
신내10단지아파트
07277
신내동성1.2차아파트
07276
신내9단지아파트
07278
신내9단지아파트.서울의료원
07280
신내8단지아파트.서울의료원
07279
서울의료원후문
07432
서울의료원후문
07433
신내데시앙아파트후문
07434
신내데시앙아파트후문
07435
신내능마을
07300
신내능마을
07301
- 새우개마을
07299
중랑경찰서후문
07298
중랑경찰서후문
07448
우디안아파트114동앞
07464
우디안아파트114동앞
07463
새솔초등학교
07456
새솔초등학교입구
07455
신내데시앙포레아파트정문앞
07454
-
신내데시앙포레아파트220동앞
07452
신내데시앙포레아파트220동앞
07453
- 신내SKV1센터
07446
당너머
07450
당너머
07451
중랑공영차고지.종점 · 중랑공영차고지삼거리
07551 · 07462
}}}}}} ||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2115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3,978명 -
2014년 14,416명 △ 438
2015년 14,822명 △ 406
2016년 14,899명 △ 77
2017년 14,876명 ▽ 23
2018년 14,533명 ▽ 343
2019년 14,440명 ▽ 93
2020년 10,471명 ▽ 3,969
2021년 10,748명 △ 277
2022년 12,177명 △ 1,429
2023년 12,935명 △ 758
2024년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colcolor=#0060b5,#49aaff>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대학교 캠퍼스 진입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파일:상명대학교 교표1.svg 상명대학교
파일:서경대학교 심볼.svg 서경대학교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
단일노선
}}}}}}}}} ||

파일:노란바탕휠체어빗금.svg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저상버스 예외 (가)승인 노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103 104 172 774
0017 1014 1017 1114
1119 1122 1126 1129
1130 1131 1133 1136
1137 1141 1142 1143
1162 1164 1221 1226
2113 2114 2115 4433
5519 5621 6624 7024
7726 8003 8101 8777
* 2025년도 기준 36개 노선 (마을버스 제외)
}}}}}} ||


[1] 상진운수(2115A) 출발점[2] 도원교통(2115B) 출발점[3] 상진운수 13대(예비 1대), 도원교통 16대(예비 1대)[4] 토요일 / 공휴일 24대(상진운수 11대, 도원교통 13대) 운행.[5] 261번에서 1대, 1122번에서 2대 감차하여 이동했다.[6] 2115A/B 간에 환승이 가능한 것은 의외로(?) 기사들도 잘 모르는 듯 보인다. 동일노선 간 환승이 원래 안 되는데, 전산 번호가 달라서 예외적으로 양사 차량 간 환승처리가 되다보니 이런 케이스를 기사에게 말하면 대부분 처음 본다고 할 정도. 예시에서 알 수 있듯, 실제로 2115A/B간 환승 적용 되는 것이 맞다. 다만 노선도 및 번호 표시에 A/B를 쓰지 않다보니 이런 해프닝이 생긴 것이다.[A] 삼육서울병원 하차.[8] 서경대학교 방면 운행 시 정차.[B] 중랑교동부시장 하차.[A] [B] [A] [13] 정릉입구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