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4 11:21:55

성만찬

1. 개요2. 신학적 입장
2.1. 가톨릭미사2.2. 정교회성찬예배2.3. 동방 교회2.4. 개신교2.5. 종교개혁 시기의 성만찬 논란
3. 성만찬 참석 기준4. 교파별 예식의 형태
4.1. 가톨릭미사4.2. 정교회성찬예배4.3. 일반적인 개신교에서의 성찬
4.3.1. 감리교의 성찬식
4.4. 루터교회의 성찬예배4.5. 성공회의 감사성찬례4.6.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에서의 성찬4.7.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성만찬4.8.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의 성만찬
5. 기타6. 같이 보기

1. 개요

그들이 음식을 먹고 있을 때에 예수님께서 빵을 들고 찬미를 드리신 다음, 그것을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말씀하셨다. “받아 먹어라. 이는 내 몸이다.” (마태오 복음서 26:26)
파일:attachment/davincilastsupper.jpg
레오나르도 다 빈치최후의 만찬

성만찬()은 예수의 수난을 기념하는 그리스도교의 성사로, 세례와 함께 모든 기독교 종파에서 인정하는 유이한 성사이다. 최후의 만찬예수가 빵과 포도주를 들어 기도한 후 이것이 자신의 피와 살이라 말하면서 제자들에게 나누어주면서 미사, 성찬예배, 감사성찬례 혹은 성만찬 의식이 나오게 된다. 이 때문에 그 당시 초기의 교회 내부에서도 상당한 논란이 많았으며 심지어 바울로가 어떻게 성만찬을 제정했는지 말해주기도 했다.
하지만 여러분이 한자리에 모여서 나누는 식사는 주님의 성찬을 나누는 것이라 할 수가 없습니다. 여러분은 모여서 음식을 먹을 때에 각각 자기가 가져온 것을 먼저 먹어치우고 따라서 굶주리는 사람이 생기는가 하면 술에 만취하는 사람도 생기니 말입니다. 각각 자기 집이 없어서 거기에서 먹고 마시는 겁니까? 그렇지 않으면 하느님의 교회를 멸시하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창피를 주려고 그러는 것입니까? 내가 무엇이라고 말해야 하겠습니까? 이래도 여러분을 칭찬해야 하겠습니까? 이 일만은 칭찬할 수 없습니다. 내가 여러분에게 전해 준 것은 주님께로부터 받은 것입니다.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날 밤에 빵을 손에 드시고 감사의 기도를 드리신 다음, 빵을 떼시고 "이것은 너희들을 위하여 주는 내 몸이니 나를 기억하여 이 예를 행하여라." 하고 말씀하셨습니다. 또 식후에 잔을 드시고 감사의 기도를 드리신 다음, '"이것은 내 피로 맺는 새로운 계약의 잔이니 마실 때마다 나를 기억하여 이 예를 행하여라." 하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여러분은 이 빵을 먹고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님의 죽음을 선포하고, 이것을 주님께서 다시 오실 때까지 하십시오. (1고린토 11,20-26. 공동번역 성서 1999년 개정판)

2. 신학적 입장

2.1. 가톨릭미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정교회성찬예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성찬예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동방 교회

정교회, 그리고 비칼케돈 교파인 오리엔트 정교회 등 '동방 교회'에서는 성찬예배(Θεία Λειτουργία, Divine Liturgy)라는 표현을 쓴다.

정교회는 바로 아래 항목에서 설명하겠지만 '리뚜르기아'('백성의 일'이라는 뜻)라고 하며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에서는 '수르프 바다락'('거룩한 희생'이라는 뜻), 시리아 정교회에서는 '카디쇼 꾸르바나'[1]('거룩한 봉헌'이라는 뜻)이라고 부른다.

2.4. 개신교

가톨릭정교회7성사를 중시하는 반면, 개신교는 성경에 언급된 것만 성례가 될 수 있다는 논지에 따라 세례와 성만찬만을 인정하고 있다. 요한 복음서에 언급된 세족례도 행하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세족례는 성목요일 저녁을 제외하고는 공적인 예배에서 드려지는 경우는 별로 없으며, 남을 섬기는 사람이 되겠다는 상징적인 차원의 행사로 진행되는 경우가 더 많은 편이다. 물론 서구권의 개신교 교회에서 결혼식을 올리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성사가 아니라 일종의 문화적 관습으로 행하는 것이다. 침례교 한정으로 '주의 만찬'이라고 한다.

개신교 내부에서도 루터교회개혁교회의 입장 중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성만찬에 대한 입장인데, 루터파 신학에서는 공재설 혹은 실재설(consubstantiation)을, 개혁주의 신학에서는 츠빙글리의 기념설(상징설)에서 장 칼뱅의 영적임재설을 취한다. 다만 과거 16~17세기에는 분열될 정도로 심각한 문제였으나 현재에는 개신교 교파 내에서 그다지 심각한 신학적 차이점으로 여기진 않으며, 1973년 '로이엔부르그 합의서'에서 다음과 같이 루터와 칼뱅의 성찬론은 같은 의미를 표현만 다르게 한 것이라는 데 합의하였다.[2]
18. In the Lord's Supper the risen Jesus Christ imparts himself in his body and blood, given up for all, through his word of promise with bread and wine. He thus gives himself unreservedly to all who receive the bread and wine; faith receives the Lord's Supper for salvation, unfaith for judgement.

19. We cannot separate communion with Jesus Christ in his body and blood from the act of eating and drinking. To be concerned about the manner of Christ's presence in the Lord's Supper in abstraction from this act is to run the risk of obscuring the meaning of the Lord's Supper.

20. Where such a consensus exists between the churches, the condemnations pronounced by the Reformation confessions are inapplicable to the doctrinal position of these churches.[3]
또한 개신교에서의 성찬의 의미는 어느 신학을 따르냐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일단 (성공회를 제외하면) 가톨릭에서처럼 떡과 포도주가 진짜 예수의 살점과 피가 된다는 교리는 따르지 않고 칼빈의 신학을 따를 경우엔 영적임재설을 따르고 있고 알미니안 신학을 따를 경우 그냥 예수가 고난을 당하는 것을 기념하는 것으로 끝낸다. 하지만 가톨릭이건 정교회건 개신교건 공통적으로 성만찬을 통해 예수의 고난과 죽음이 가진 의미를 다시금 마음에 새기는 것은 똑같다. 다시말해 교파를 막론하고 성만찬은 모든 기독교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행사인 것이다.

2.4.1. 성공회

개신교 중에 성공회는 처음에 켄터버리 대주교 토마스 크랜머가 1549년 《공동기도서》를 펴내며 루터파의 성찬 입장을 모호하게나마 지지했다가 1552년 견해를 수정하여 츠빙글리의 견해를 받아들였다. 이는 영국 국교회독일보다는 스위스 남독일의 개혁파 계열의 신학자들이 영국으로 초청하여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4] 최종적으로 영국 국교회(성공회의 전신) 《39개 신조》를 통해 공식적으로는 실체변화(ransubstantiation)설을 부정하고 있으며, 성사적 임재설 입장을 취하고 있다.[5] 그러나 성공회는 신자 개개인이 실체변화설 입장을 취하는 것을 특별히 제재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다양한 견해는 영국 교회사에 기인한다. 종교개혁 이전부터 14세기 롤라드파와 존 위클리프가 주도하여 실체변화설을 부인하여 헨리 5세 시기 극심한 탄압을 받았으며, 16세기 들어 종교개혁이 일어나기 10여년전부터 이러한 운동이 잉글랜드 교회에서 다시 살아났다. 헨리 8세 시절 가톨릭 교회와의 단절을 선언했음에도 가톨릭 교리에 기운 헨리 8세는 실체변화설을 부인한 옥스포드와 케임브리지 신학자들을 화형으로 태워 죽였고, 메리 1세 시절에도 지속되었다.

메리 1세 시절과 대륙에서 가톨릭 세력들이 개신교 신자들을 색출하여 탄압할 때 성체 앞에서 무릎을 꿇지[6] 않는 이들을 잡아 넣었고, 이에 따라 실체변화설을 부인하는 복음주의자 (청교도)들의 극심한 반발을 불러서 "실체변화설은 빵을 섬기는 우상숭배"라 하여 정권교체 후 다시 가톨릭 신자들을 탄압하는 명분으로 이용했고 나중에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이러한 갈등에 대한 반성으로 교회 안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개인의 신앙에 관해서 존중하는 입장을 취했기 때문이다.

성찬례는 가톨릭의 전례를 따라 면병과 포도주를 사용하며, 매 감사성찬례마다 거행한다.

교회 일치 운동의 일환으로 가톨릭과 성공회가 합의한 공동 선언에서는 다음과 같이 선언하였다:
5. 속량에 관한 그리스도교 교리 설명에서 희생 제사라는 단어는 두 가지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사용되었다. 신약에서 희생 제사의 언어는 우리를 위한 그리스도의 구원 역사(役事)를 주로 일컫는다. 교회 전통에서는, 가령 전례들에서 증명되는데, 유사한 언어가 성찬 거행에서 이 역사적 사건의 기념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므로 이렇게 동시에 말하는 것이 가능하다: '역사적 의미에서 말하자면 오직 하나의 반복될 수 없는 희생 제사만이 있다. 성사적 의미에서 말하자면 성찬례는 희생 제사이다. 역사적 희생 제사가 반복될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하기만 하다면.'[7]
그러므로 유일하고 역사적이며 반복될 수 없는 희생 제사만이 있다. 이는 그리스도에 의해서 단 한 번 봉헌되었고 성부에 의해 단 한 번 받아들여졌다. 기념의 거행에서는, 성령 안에서 그리스도께서 그분의 백성들과 성사적 방법으로 되신다. 교회는 그분의 자기 봉헌으로 들어간다. 결국, 설령 교회가 그 거행에서 능동적이라고 하더라도, 이는 십자가 위 그리스도의 희생 제사에 그 어떤 효험도 더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교회의 행위는 희생 제사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교회는 성찬례 거행에서 그리스도의 희생 제사의 선물에 감사를 드리며, 스스로를 그리스도의 의지와 동일시한다. 그분께서는 인류를 위해 아버지께 자신을 봉헌하셨다.[8]

6. 성체 안에 계신 그리스도와의 친교는 그분의 진실한 현존을 전제하며, 빵과 포도주가 유효한 표지가 된다. 빵과 포도주는 이 뮈스테리온 안에서 그분의 몸과 피가 된다.[9]
Anglican-Roman Catholic International Commission, FIRST ANGLICAN/ROMAN CATHOLIC INTERNATIONAL COMMISSION EUCHARISTIC DOCTRINE - ELUCIDATION (1979)
빵과 포도주의 형상(species) 아래서 이 지상적 실재들(realities)이 그분의 몸과 피의 실재(reality)로 변화될(changed) 때, 성체 안에 그리스도께서 성사적으로(sacramentally) 그리고 진실로(truly) 현존(present)하십니다.[10]
the Anglican-Roman Catholic Consultation USA, Five Affirmations on the Eucharist as Sacrifice(1994)

성공회의 특성상 일치 문헌 수용은 신자 개인의 자기 결정에 따르겠으나 오늘날 두 교단의 성찬 신학은 (영단어 substance[11]가 현대 물리학적 의미의 '물질'을 의미하기에 성공회에서 사용을 피하는 것을 제외하면) 차이가 미미할 정도로 근접했음은 분명하다.

2.5. 종교개혁 시기의 성만찬 논란

종교개혁 당시 종교개혁자 그룹은 크게 둘로 나뉜다. 독일 지역의 마르틴 루터 그룹과 스위스 지역의 개혁파 그룹이다. 성찬에 대한 마르틴 루터의 견해는 '공재설(Consubstantiation)'로, 빵과 포도주 주변에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임한다는 견해다. 이는 가톨릭의 화체설 이론인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과 질료 개념을 신학과 관련없는 이론으로 부인하며 빵과 포도주가 실재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아닌,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빵과 포도주와 함께 머물러있다는 견해이다.

마르틴 루터의 성만찬에 대한 개념을 공재설이라고 하는데[12] 가톨릭의 화체설(변화설)과는 차이가 있다. 변화가 성체성사를 행할 때 빵과 포도주가 '형상은 그대로지만 속성이 변해서 예수 그리스도의 피와 살이 된다'는 개념인 반면, 공재설은 형상과 질료 개념은 폐기하고 성서 해석으로 '빵과 포도주 자체의 예수 그리스도가 깃든다는(임재) 개념이다. 마르틴 루터가톨릭의 차이는, 가톨릭성체성사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 즉 파스카 신비를 '재현'하는 것이라고 본 반면, 마르틴 루터는 '이미 희생은 드려졌으니 그것이 매번 재현된다는 건 무리다' 하여 희생제사라는 개념에 반대했다는 것이다.[13]

중세 가톨릭에서는 빵과 포도주를 함께 주던 것이 포도주를 주지 않고 빵만을 주는 것으로 바뀌었는데, 이는 가톨릭 성체성사의 근본개념인 화체설[14]에 입각한 결과였다. 화체설에 입각하면 빵과 포도주는 그 자체로 예수 그리스도의 살과 피가 되기 때문에 신자들이 포도주를 받아들 때 부들부들 떨다가 흘리는 일이 생겼고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한 피를 범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신자들에게는 빵만 주고 포도주는 주지 않았다. 포도주를 흘린 사제는 심하면 손가락을 잘라서 벌하기도 했다. 한 입에 다 들어갈 크기의 면병을 주기 때문에 빵가루 흘릴 일은 없다.

얀 후스[15]와 후대 마르틴 루터성경에 나온만큼 둘 다 줘야 한다는 입장을 폈지만, 새로운 개혁을 급하게 밀어붙이지는 않았다. 여전히 신자들 중에는 가톨릭 교회에서의 습관이 남아 있었기 때문에, 16년 동안 가톨릭 식대로 빵만을 주다가, 16년이 지나서야 빵과 포도주를 함께 주었다. 신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농민들은 문맹에 일자무식인 탓에, 교회에서 말하는 형상이니 질료니 임재니 하는 것을 알아듣지 못했다. 기존의 성찬식 때 빵을 축성할 때 라틴어를 주술적 의미[16]로 알거나 입에서 빵을 꺼내어 집안에 귀신 쫓는 용도로 썼기 때문에 과격한 변화는 혼란을 주기 때문이었다.

반면 개혁파 그룹은 입장이 좀 달랐다. 우선 개혁파 그룹의 1세대 격은 울리히 츠빙글리이다. 츠빙글리는 성찬을 단지 '기념'으로만 보았다. 예수님이 "이것은 내 몸이다(Hoc est enim Corpus Meum)"하셨을 때의 라틴어의 Be 동사인 '이다(est)'는 문자 그대로 사실을 말하는것이 아니라 상징적으로 가리키는 말일 뿐, 마르틴 루터처럼 그리스도의 몸이 임하는 것이 아니라고 보았다. 츠빙글리는 성만찬을 제정할 때의 예수 그리스도의 선언인 '이것은 나의 살이다' 하는 것을 '이것은 나의 살을 의미한다'고 해석했다. 츠빙글리는 성만찬의 의미를 예수 그리스도십자가 희생을 회상하는 것이라고 했다.

츠빙글리는 루터의 해석법이 중세 가톨릭의 4중적해석법에 머물렀다며 크게 비판하고, 여기서 츠빙글리는 자신의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비유를 들었다. 남편과 아내가 결혼식을 할 때 결혼 반지를 나누는 것처럼, 반지 자체가 결혼은 아니지만 아내가 남편과 잠시 떨어졌을 때 반지를 보며 결혼의 의미와 남편을 기억한다. 빵과 포도주는 우리가 그리스도와 그분과의 관계를 기억라는 상징일뿐이라는 해석으로 설명했다. 그리고 신자들의 문맹 문제는 글과 함께 교리를 가르쳐주면 그만이라고 생각했다.[17][18]

결국 두 종교개혁가, 루터는 성만찬을 행할 때 예수 그리스도가 직접 몸으로 임재한다고 한 것과는 달리, 츠빙글리직접 몸이 임재하는 것은 아니다 하여 마르틴 루터와 갈등을 일으켰다. 1529년, 마르부르크에서 마르틴 루터츠빙글리가 회동해서 동맹을 모색했지만 끝내 이루어지지 못한 이유는, 두 사람의 성만찬에 대한 배경개념이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성서학 박사출신 마르틴 루터가 볼 때, 츠빙글리의 이런 해석법은 정상이 아니었다. 마르틴 루터는 츠빙글리가 성서해석을 제멋대로 한다며 분노했는데, 이미 이전의 츠빙글리의 행적때문에 그를 부정적으로 보게 된데다가[19] 이런 행적이 종교인이 말씀에 멀어져서 망가진 것으로 보았기에 츠빙글리의 해석론 자체를 아예 틀려먹은 걸로 보았다.

마르틴 루터는 사제가 되기 전 철학도였으며 인문주의의 영향을 크게 받기도 했으나, 명백히 틀리지 않은 이상 가톨릭의 기존 성서 해석법을 인정했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영향을 받아 13세기에야 교리로 정착한 가톨릭의 화체설은 근거가 없다 하여 부정했지만 성서학 박사로써 "이것은 내 몸이다"의 해석은 비유나 신비적 계시가 아니라 그대로 직접적인 사실로 받아야들여야 한다 주장했다. "만약 츠빙글리처럼 몸이 임재하지 않는다면, 전지전능한 그분은 새장에 갇힌 존재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며 성서학적 입장에서 비판했다.

반면 츠빙글리는 역시 사제 출신이긴 하나 루터보다 인문주의에 더 기운 사람이었다. 네덜란드의 인문주의자이자 신학자였던 베설 한스포르트(Wessel Gansfort)와 코르널리스 훈(Cornelis Hoen)의 영향을 받아서 '내 몸이다'의 루터의 해석을 중세 가톨릭의 4가지 해석방법론에 머물러 있다며 크게 비판했고, 합리적 태도에서 성찬은 주님을 기념하는것일 뿐이라는 입장이었다. 1531년 루터의 해석법을 비판하는 서적에선 "기독교인이 식인종이냐"라며 비꼬았고, 츠빙글리 지지자들은 "빵도 십자가에 메달려야 되냐?" 라며 북독일의 루터파 진영과 틀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마르틴 루터는 마르부르크 회의에서 츠빙글리와의 회담이 결렬되자 "츠빙글리와 포도주를 마시느니, 교황주의자와 피를 마시겠다."라며 역시 불편함을 넘어선 적대감까지 드러냈고, 츠빙글리 또한 "루터의 주장은 가톨릭 주장처럼 식인종이나 할 소리"라고 빈정댔다.

츠빙글리의 동료였던 남독일의 마르틴 부처와 루터의 동료이자 한 세대 연하 신학자인 필리프 멜란히톤은 둘 사이에서 영적 임재설을 제시하며 두 진영의 타협을 권했으나, 당시에는 무산되었다.

개혁파 그룹의 2세대 격인 칼뱅츠빙글리와 함께 개혁파 그룹으로 묶이지만 성찬에 대한 입장은 전혀 달랐다. 성찬에 대한 칼뱅의 입장은 '성령 임재설' 혹은 '능력주의(virtualism)'이다. 칼뱅은 그리스도 인성의 편재설을 근거로 루터의 공재설을 비판하였으며, 성찬에 임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영이신 성령이라고 보았다. 칼빈에 따르면 성령의 역사는 천상에 계신 예수 그리스도의 본체, 즉 부활 후 승천한 예수 그리스도의 육체와 연합을 도모하며, 지상의 성도는 성령의 능력으로 그리스도와 결합한다고 보았다.

한편 종교개혁자는 아니지만 개신교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그룹은 감리회이다. 존 웨슬리를 비롯한 초기 메도디스트(Methodist)들이 '메도디스트(규칙쟁이)'라는 별칭을 얻은 이유는 이들이 규칙적으로 모여 성찬을 했기 때문이었다. 존 웨슬리는 성찬에 심취했다고 할 정도로 성찬을 대단히 사랑한 인물이었다. 성찬에 대한 존 웨슬리의 견해는 virtualism, 정확히는 칼빈의 견해와 다른 견해들을 종합적으로 중용을 가한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존 웨슬리는 그리스도의 몸이 성만찬의 빵과 포도주에 물체적, 육적으로 현존한다고 본 화체설과 공재설에는 분명한 반대를 표했다. 또한 상징에 불과하다는 츠빙글리의 견해를 반대하면서 실제적인 임재이되, 그리스도의 신성이 직접 임재한다고 보았다. 성령의 역사로 예수 그리스도의 본체와 연합한다고 본 칼빈과는 분명 다른 전개인 셈이다. 이에 대해 노로 요시오(野呂芳男)는 칼빈는 성도가 천상에 있는 그리스도에게 나아가 연합하는 견해로, 웨슬리는 그리스도가 지상에 있는 성도들에게 임해 연합하는 견해로 정리했다.

그러나 정작 존 웨슬리는 성찬에 대한 구체적 이론을 정리해 공표하기 보다는 인격적 현존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제시하면서 신비의 영역으로 두었다. Osburn 저 '존 웨슬리의 시적 저작'에 따르면 예전에 참여하는 이들을 은혜의 그릇으로, 그 역사의 방법을 신비로 묘사하며 알 필요도 없다고 고백하고 있다.

당시 존 웨슬리가 몸 담고 있던 성공회는 성찬을 자주 드리지 않았다. 웨슬리 사후 19세기 성공회에서는 옥스포드 운동(The Oxford Movement)이 벌어졌는데, 이는 성공회의 전례를 전통으로 바꾸는 운동이었다. 곧 성찬을 자주 시행하고, 전통적인 전례 양식대로 예배를 드리는 운동이었는데 많은 수의 교회사가들은 존 웨슬리가 옥스포드 운동의 선구자이자, 옥스포드 운동에 큰 영향을 끼쳤음을 지적한다.[출처]

이렇게 성찬에 대한 존 웨슬리종교개혁자들의 공헌이 큼에도, 개신교가 성찬을 비하하는 것처럼 기록하는 것은 진실로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오해와 무지를 불러일으키는 데 한국의 개신교의 역할이 상당했음은 부인할 수 없다. 한국의 개신교가 성찬을 자주 시행하지 않고, 그에 따라 성찬을 잘 모르는 이유는 한국에 처음 들어온 선교사들이 복음주의 성향의 사람들이었기 때문이다. 대체적인 개신교교회 구조는 감리교나 성공회의 중앙 집권 체제가 아닌 개교회주의를 띠기 때문에 선교 초기에는 안수 받은 목회자의 수가 모자라 성찬을 자주 시행할 여건이 되지 못하였다. 그래서 미국도 선교 초기 시절에는 설교 중심의 기도회 스타일의 예배를 대부분 드렸다.[21]

이제 미국 개신교도 성찬의 중요성을 알고 많이 변화해 가고 있지만, 한국의 개신교는 보수적인 교단이 압도적으로 많아서 아직 초기의 모습이 유지되고 있는 현실이다. 여기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아직 한국 개신교 선교의 역사가 200년도 채 안 됐다는 사실이다. 아무튼 한국선교 초기엔 안수 받은 목회자가 모자랐으며, 들어와 있는 목회자들의 성향 자체가 성찬보다 설교를 중요시 생각했기 때문에 성찬이 제대로 뿌리내리기 어려웠다.

그럼에도 성찬에 대한 개신교신학은 결코 빈약하지 않다. 성찬에 대한 문제는 한국의 개신교 내에서도 이미 문제의식을 가지고 성찬을 회복하는 움직임이 진행되어 가고 있다. 특히 에큐메니컬 계열 교단인 감리회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한국기독교장로회, 오순절교회 측에서 성찬에 대한 관심을 많이 갖고 있다.[22] 다만 성만찬을 부활절 기간에만 하는 관례가 단지 보수적인 신학관 때문만이라고 볼 수 없으며, 오히려 합동이나 고신 등 보수 교단에서도 종교개혁 당시 칼빈이 성만찬을 매주 실시하려 했음을 근거로 '매주 성만찬을 하는 것이 좋고, 여의치 않으면 매월 한 번, 최소한 분기에 한 번만이라도' 자주 해야 한다는 주장을 가끔 볼 수 있다. 반대로 빵과 포도를 구하기 어려운 지역에서는 루터회성공회라도 성만찬을 잘 하지 않는다.

추가로 성찬에 대한 개신교의 입장에 대해 적자면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 약칭: W.C.C.)' 산하 기구인 '예배와 직제 위원회'가 정한 '리마 예식서'를 들 수 있다. WCC 예배와 직제 위원회에서는 1982년 개신교 각 교파를 아우를 수 있는 성찬예배 형식을 지정했다. 이것이 페루수도리마에서 이루어졌다고 하여 이를 '리마 문서'라고 부른다. 리마 문서에는 가톨릭이나 정교회와 호환될 수 있도록 고대 교회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기도문과 전례적 요소가 수록되어 있다.

3. 성만찬 참석 기준

성만찬의 대상을 어떻게 잡느냐는 크게 2가지로 나뉘어진다.

폐쇄 성만찬의 경우 장로회 기준으로 유아세례를 받은 아이가 성장해서 적정 연령대가 되었을 때 성인 신자로 간주하는 입교를 행하고 이 이후로만 성만찬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데, 이것은 장 칼뱅이 도입한 의식이다. 그는 <기독교 강요>에서 견진성사를 비판하면서, 견진성사의 기름과 축복 대신 요리문답, 즉 자기 자신의 의지로 하는 신앙고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24][25] 장로회 뿐 아니라 감리회침례회[26] 역시 성만찬에 연령제한을 둔다. 심지어 루터회조차 미성년자한테는 성만찬을 행하지 않고 사탕을 주거나 안수기도를 해준다.

예장통합과 같은 일부 교단에서는 유아성찬 문제가 논의되기도 한다.

4. 교파별 예식의 형태

4.1. 가톨릭미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정교회성찬예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성찬예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일반적인 개신교에서의 성찬

개신교에서는 일반적으로 성찬 예배, 혹은 성찬 자체만을 가리켜 '성찬식' '성만찬' 등으로 부른다. 침례회에서는 '주의 만찬'이라고 한다. 개신교가 성만찬을 소홀히 여긴다는 지적이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대체로 중요하기 때문에 적게 하는 것이라 보면 된다. 장 칼뱅은 "성만찬은 신앙에 매우 유익이 되니 자주 하는 게 좋다."고 했지만, 동시기 츠빙글리는 아래 적혀있듯 중요한 것이기에 중요할 때만 하는 것이 좋다고 주장했고, 한국교회는 당시 시대배경이나 상황상 후자의 주장에 더 힘을 준 것 뿐이다. (출처) 일단 한국의 개신교에서 두드러진 설교 본위 예배 양식은 원래 스코틀랜드나 네덜란드[27]처럼 개혁주의가 메인인 나라들이 기원인데다, 미국에서 변경예배(Frontier Worship)라는 이름으로 더욱 간략화된 것을 들여왔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유로 성공회와 루터회를 제외한 대다수의 개신교 교파라면 장로회, 감리회[28], 침례회, 순복음교회 할 것 없이 예배는 순서가 거기서 거기다.
파일:external/crop.kaleva.fi/xlarge-15190176.jpg파일:external/gkv-leusden.nl/avondmaal5.jpg
핀란드 루터교회의 성만찬 네덜란드 개신교의 성만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mmunion_Baptist.jpg
한국의 개신교 교회에서는 개별적으로 성찬기에 담아 분병.분잔하는 경우가 많다.
빵은 국내 개신교회의 경우 카스테라[29]를 많이 사용하며 (루터회, 성공회를 제외한) 미국, 유럽 개신교에서는 식빵[30] 혹은 베이킹 소다로 구운 케이크를 사용하기도 한다. 일부 교회, 특히 에큐메니컬 성향 교회에서는 가톨릭에서 쓰는 것과 비슷한 제병을 구입해서 쓰는 경우도 있으며, 일부 교회에서는 이스라엘에서 수입된 사각형 무교병을 잘라서 쓰기도 한다. 하지만, 수입 무교병은 비싸서 일반 교회에서 쓰기는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 무교병 대신 아이비 크래커를 쓰는 교회도 있다.

또한 성찬예식 중 목사가 성만찬 제정사를 읊으며 빵을 들어 쪼개보이는 예식이 있는 에큐메니컬 성향 교회에서는 목사가 예식에 사용하는 빵으로 쪼개는 모양이 잘 드러나는 러스틱 브레드나 가톨릭에서 거양성체할 때 쓰는 것과 비슷한 크고 둥근 면병을 쓰기도 한다. 또 통식빵이나 모카빵 같은 큰 빵을 덩어리째 들고 조금씩 뜯어서 나눠주는 경우도 있다.

한편 개신교에서 쓰는 개역한글/개역개정 성경에서 이라고 번역한 것 때문에 일부 교회에서는 떡을 사용하기도 한다. 실제로 여의도순복음교회의 경우 쌀로 빚은 백설기 떡을 사용하며[31], 섬돌향린교회는 술떡을 사용한다.[32] 극단적인 경우 인절미를 나눠주는 경우도 있다.

포도주는 성만찬용 포도즙을 만들거나 사다 쓰며, 포도주를 사거나 담궈 쓰는[33] 경우도 보인다. 일부 교회는 구하기 쉬운 일반 포도주스를 사용하기도 한다. 장로교는 금주 교리가 없기에 포도주를 사용해도 상관없지만, 감리교, 침례교 등 금주 교리를 가진 보수 교단의 교회들은 포도주 대신에 포도즙을 쓰는 경우가 많다. 쓰이는 음료가 '주류'라는 문제로 예배에는 성인들만 성만찬에 참여하고 미성년 신자는 이후 학생부에서 따로 포도주스나 포도즙으로 대신하는 교회도 있다. 또한 성만찬에서 정말 '홀짝이는 수준'으로 나오기는 해도 음주운전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성인들도 장거리에서 오는 교인들을 배려하기 위해 일부러 포도주스를 쓰기도 한다. 사실 유명한 포도주스인 웰치스가 성만찬에 알코올 없는 포도 음료를 쓰기 위해 개발된 음료다. 미국의 금주운동을 장려한 미국 감리교회의 전통에 따라 감리교인인 웰치가 개발했다. 실제로 한국에서도 이 전통을 존중하여 포도주 대신 웰치스를 쓰는 교단들도 있다.

이는 성체성사를 중시하는 교단(가톨릭, 정교회, 성공회 등)의 신자들이 보면 저래도 되나 싶을 일이겠지만, 애당초 희생제사를 재현한다는 의미가 아니고 기념하는 예식이고 화체설(변화설)을 부정하기에 가톨릭처럼 엄격하게 규정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공재설을 따르는 루터회도 그렇고, 성만찬하고 나서 남은 빵과 포도주는 그저 빵, 포도주일 뿐이지 그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지 않아 감실을 두지 않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남은 떡과 포도주는 공식적으로(총회법) 대부분의 총회에서는 태우거나, 묻거나, 장로(목사 포함)들끼리 경건하게 처리하라고는 되어 있다. 그러나 실상은 그냥 버리거나, 다음 성찬식을 위해 재활용하거나, 아니면 예배 후에 단상 정리를 맡은 목사와 신도들이 먹어치우거나, 그래도 남으면 귀가하는 교인들에게 나눠준다. 그만큼 떡과 포도주가 중요하지 않다. 여기에 의미를 크게 부여한다면 우상숭배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34]

개신교 중에서도 루터회성공회(앵글로-가톨릭)[35]의 경우에는 가톨릭처럼 철저한 전례에 맞춰서 성만찬(성체성사)를 하므로 가톨릭의 방식대로 면병을 사용한다. 그래도 루터회는 일부 상황에 한해서 다른 개신교처럼 카스테라나 일반 빵을 쓰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스도의 교회의 경우 개교회 중심이라는 교단 특성상 각 교회 여건에 따라 무교병과 포도주를 구입하거나 직접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성만찬을 하는 방식도 각 국가나 교파에 따라 그 양상이 천차만별이다. 일반적으로 장로회를 비롯한 대부분의 개신교의 경우 대부분 서서 한다는 것이 큰 특징으로 이는 종교개혁 시절부터 가톨릭의 계급제도[36]와 평신도의 장궤행위를 부정하고 모두가 평등하게 서서 빵과 포도주를 나눈다라는 의미에서 그렇게 하기 시작한 것이다. 한편 루터회의 경우 종교개혁 당시부터 타 개신교와 여러가지 견해가 달랐던 관계로 가톨릭의 장궤 영성체마냥 무릎을 꿇고 성만찬을 받는 교회들이 많았으나[37] 현대에는 일부 정통주의적인 교회를 제외하면 루터회에서도 서서 성만찬을 받는 방식이 늘어나고 있다. 한편 성공회의 고교회파(앵글로-가톨릭)의 경우 성체성사의 형식은 가톨릭과 거의 동일하고, 영성체 예절도 가톨릭과 비슷하게 비교적 까다로운 편이다.

분잔[38]의 경우 현대에는 위생문제 등으로 인해 신자별로 각각 작은 잔에 나눠서 주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떡을 포도주에 찍어먹는 경우도 있다. 일부 유럽 국가의 교회에서는 커다란 금속제 잔을 돌려서 준다. 물론 한 사람이 마시고 나면 목사가 천으로 쓱 닦아주고 다음 사람한테 넘기는 방식이다. 미국이나 해외에서는 한층 더 편리하게 아예 잔과 떡이 합쳐진 일회용 성찬 키트도 있다. 비닐을 뜯으면 떡이 나오고 또 뜯으면 포도주를 마실 수 있다.

전반적인 형식은 개교회마다 천차만별이지만, 일부 예전을 중시하는 교회(특히 루터회나 기장, 감리회)는 가톨릭의 성체성사의 전례와 비슷한 예식서를 만들어 따르기도 한다. 내용이 천주교/성공회처럼 정해진 것은 아니나, 대략 다음과 같다.
집례자 :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하시길 빕니다.
회중 : 목사님과도 함께 하시길 빕니다.
집례자 : 우리 주 하나님께 감사드립시다.
회중 : 이것은 바르고 마땅한 일입니다.
성찬식 예배 순서는 다음과 같다. 약간씩 다를 수 있다.
성경봉독 - 고린도전서 11장 17절~34절 中
설교 - 간단하게 설교한다.
찬송 - 144장(고난), 229장(성찬) 등을 부른다. 이때 집례자와 분병.분잔위원[39]은 성찬보를 연다.
분병기도 - 집례자가 떡을 들고 기도한다.
분병 - 집례자-분병위원-회중 순으로 나눈다.
분잔기도 - 집례자가 잔을 들고 기도한다.
분잔 - 분병과 같은 순서로 나눈다.
기도
정리
축도 - 예배중에 하는 경우는 예배의 축도를 한다. 성찬식만 진행하는 예배에도 축도한다.
한국의 개신교에서는, '성만찬은 부활절 같이 중요한 절기에 하는 것'이란 인식이 있다. 이는 한국에 개신교가 처음 전해진 때에는 성찬식을 자주 하기 어려웠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국의 장로교회가 이렇게 성만찬을 적게 하는 근거는 개혁교회의 시초인 츠빙글리가 성만찬은 너무 중요하기에 자주 해선 안 된다며 분기에 한 번만 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에서 찾는다. 한편 장 칼뱅은 될 수 있으면 자주 하는 것이 좋다고 했지만, 제네바 시의회의 반발 등 현실적 이유로 실현되지 못했다.

한국의 개신교에서는 초창기 한국에서 포도주를 구하기도 어렵고, 현대에는 대형교회에선 준비와 한 시간을 초과하는 예배시간에서 성만찬시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기에 현실적으로 자주 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 천주교/정교회/성공회 같은 주교제 교단의 교회들은 주일 미사에 참례하는 인원이 보통 100명 내외이며, 많아야 200-300명 정도이기 때문에[40] 매주 성체성사를 하는 데에 크게 무리가 없다. 그러나 성공회를 제외한 개신교 교회들은 조금만 커져도 500-1,000명을 훌쩍 넘어가니 성만찬을 준비하고 집례하는 것이 작은 일이 아니다. 개신교회들이 성만찬을 자주 안하는 데에는 이런 현실적인 이유도 있다.

그러나 힘들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그리스도의 명령인 성찬식을 소홀히 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 것인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최근에 성만찬을 중시해야 한다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고, 개 교회에 따라 다르지만 성만찬의 횟수를 늘려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신학적 보수•진보 가리지 않고 나타나는데, 보수 쪽에서는 종교개혁자들의 전통을 이어나가자는 뜻에서, 진보 쪽에서는 교회의 보편성을 확인하고 에큐메니컬 정신을 실천하자는 뜻에서 그러하다.

일단 아주 적게 하는 경우 1년에 한두 번 정도 하는 경우도 있고 그 경우는 부활절이 가장 많다. 그 다음 주로 1달에 1번, 매달 첫째 주일에 하는 경우도 많다. 대체로 부활절 전후, 맥추절, 추수감사절, 송구영신예배 등의 절기예배 시점에 행하기도 하고, 절기와 상관없이 3달에 한번 무작위로 정해서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교단에 따라서는 매주 성만찬을 실시하는 교단도 있다.[41]

이는 개신교 예배가 지나치게 말씀 위주로 흘러가거나, 이게 지루하다고 매번 부흥회 같은 기도회 형식의 찬양예배를 열거나 콘서트 같은 형식을 방불케 하는 소위 열린 예배의 폐해에 대한 반동으로도 나타나는 경향이 일부 있다. 가톨릭의 경우 미사에서 말씀 전례성찬 전례가 이루어지면서 나름대로 전례가 시각적 효과도 있고 성스러움을 느끼게 하는 반면에, 개신교에서는 설교만 이루어지거나 너무 현대적이고 자유로운 열린 예배가 되려 너무 번잡하거나 시끄러워 성스러운 느낌이 안 든다는 반발과 지적이 많아서, 성만찬을 통해 이를 해결해 보려고 하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는 것. 다만 가톨릭/정교회/성공회처럼 매주 성만찬을 드린다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 대다수 개신교에서 부담스러워하는 것 같다. 규모가 큰 대형교회에서 성찬을 준비하려면 어마어마한 양의 빵과 포도주를 구하는 것도 일이지만 개인용 잔에 담고 빵을 자르고 설거지하는 것도 정말 많은 인원이 매주 필요할 것이다.

한국에서는 성만찬을 할 때 예식용 장갑[42]을 끼는 관습이 있는데, 정작 다른 나라의 교회에는 없는 관습이라고 한다. 국내에서 사용하는 성찬기는 대부분이 금, 스텐 등 금속제품으로 땀이 있는 맨손으로 만지면 얼룩이 생기기 때문이라고 한다. 요새는 도자기 제품도 간간이 보인다.

한편 영미권이나 네덜란드(특히 바이블벨트로 분류되는 지역에 있는 보수적인 교회들)에서는 1분기당 1~2회 하는 관습이 대체로 보편적인데 네덜란드 교회의 성만찬은 특이하게도 '식사'였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함인지 뷔페처럼 길쭉한 테이블에다 의자까지 해 놓고 앉아서 빵과 포도주를 나누는 방식이다.(바로 이런 식)

또한 공식적으로 성만찬이라고 부르는 것은 따로 있으면서도, 예배가 끝난 뒤에 신도들끼리 모여서 떡이나 빵이 포함된 간식을 먹는 교회도 있다. 이것도 매우 넓게 보자면 일종의 성만찬이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4.3.1. 감리교의 성찬식

기독교대한감리회의 예배서에서는 성찬을 '예배의 핵심'으로 설명하며, 예배서 권두의 준칙 부분에서는 교회는 초대교회 예배의 전통에 따라 주일마다 성찬을 행할 것을 권면하고 있다.

2011년 개정판 '새 예배서'에 실린 성만찬 예문(禮文)은 다음과 같다. 예배 중에 성찬식을 거행할 경우 봉헌(봉헌찬송, 봉헌기도) 이후 진행된다.

1. 성찬으로의 초대(Invitation to the Table)
집례: 예수님을 구주로 믿고 그의 뜻에 따라 살기를 결심하며 생명의 양식을 받아먹기를 원하는 성도를 이 거룩한 은혜의 자리에 초대합니다.
회중: 성부 성자 성령 삼위일체이신 하나님, 영원히 찬양과 영광을 받으옵소서.[43]
집례: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하시기를 빕니다.
회중: 목사님과도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집례: 여러분의 마음을 드높이십시오.
회중: 주님을 향해 우리의 마음을 높이 듭니다.
집례: 주님께 감사합시다.
회중: 이는 주님의 백성이 마땅히 해야 할 바입니다.

2. 감사기도 (The Great Thanksgiving)
① 시작기도(Preface) [44]
집례: 전능하신 창조주 하나님, 언제 어디서나 주님께 감사드림이 지극히 당연하고도 기쁜 일입니다.
회중: 저희를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하시어 생명의 숨을 불어 넣으사 주님의 영광을 드러내게 하셨습니다.

집례: 때로는 저희가 주님에게서 멀리 떠나고 말씀의 법도를 벗어나 살 때에도
회중: 주님은 한결같이 저희를 사랑해 주시고 구원의 바른 길로 이끌어 주셨습니다.
집례: 저희가 하나님의 자녀된 본분을 다하지 못하고 죄로 인하여 탄식하며 살아왔으나
회중: 하나님게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 주셔서 저희를 죄에서 구원하시고 길과 진리와 생명을 찾게 하셨습니다.

집례: 또한 저희를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하시고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로 세워 주셔서 하나님의 구원 역사를 선포하게 하심을 감사합니다.
회중: 더욱이 그리스도께서 성찬을 제정하사 저희가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실 때마다 주님의 임재를 맛보게 하셨습니다.[45]
집례: 그러하기에 이 땅 위의 온 백성과 하늘의 거룩한 성도, 또한 천군 천사들과 함께 주님의 이름을 소리 높여 찬양합니다.
삼성창(Sanctus)
다함께: 거룩 거룩 거룩 전능하신 하나님, 하늘과 땅에 가득한 그 영광, 지극히 높은 곳에서 호산나!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을 찬양합시다. 지극히 높은 곳에서 호산나!
③ 감사의 기도(Thanks to Jesus Christ)
집례: 거룩하신 하나님, 복되신 성자 예수님, 그리스도의 은총과 사랑을 힘입어 저희가 구원의 확증을 받고 성령과 함께 약속의 소망 속에서 살아갑니다.[46]
④ 성찬 제정사(Institution)
주님께서 당신의 몸을 내어 주시던 밤, 떡을 손에 드시고, (떡을 두 손으로 든다.) 감사기도를 하신 다음, 떼어 (이 때 떡을 두 손으로 뗀다.) 제자들에게 주시며 말씀하셨습니다.

“받아먹어라. 이는 너희를 위해 내어 주는 나의 몸이니, 먹을 때마다 나를 기억하여라.” (떡을 내려놓는다.)

식후에, 주님께서는 잔을 드시고 (잔을 두 손으로 든다.) 감사기도를 하신 후에, 제자들에게 돌리시며 말씀하셨습니다.

“이 잔을 마시라. 이는 죄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해 흘린 새 언약의 피니 이를 행할 때마다 나를 기념하여라.” (잔을 내려 놓는다.)
⑤ 기념사(Anamnesis)
집례: 오! 거룩하신 주님, 사랑이 많으신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신 하나님의 놀라운 구속의 역사를 기억하면서 그리스도께서 저희를 위해 희생하신 것처럼 찬양과 감사 가운데 저희 자신을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립니다. 이 신앙의 신비를 소리 높여 찬양하오니[47]
회중: 그리스도께서 죽으셨다가 그리스도께서 다시 사셨네.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시리라.

⑥ 성령 임재의 기원(Epiclesis)
집례: (떡과 잔 위에 손을 얹고) 거룩하신 하나님, 일찍이 주님께서 세상에 보내셨던 성령을 지금 다시 보내 주시사 차려 놓은 떡과 포도주 위에 임하셔서 이 식탁을 성별하여 주옵소서. 또한 성령께서 여기 모인 저희 위에 함께하사 이 떡과 포도주로 영원한 생명의 양식이 되게 하시며, 이를 먹고 마심으로 그리스도의 새로운 몸을 입어 세상을 변화시키는 능력을 받게 하옵소서.
회중: 오! 주님, 어서 오셔서 이를 이루옵소서.
⑦ 영광 찬양(Doxology)
집례: (양 팔을 벌리고) 그리스도께서 최후의 승리 속에 다시 오실 때까지, 우리 모두 천국잔치에 참여할 때까지
회중: 그리스도와 하나가 되게 하소서. 서로서로 하나가 되게 하소서. 온 교회가 하나가 되게 하소서.

집례: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위로의 거룩하신 성령과 더불어 모든 영광과 존귀가 영원토록 전능하신 하나님 아버지께 있사옵니다.
회중: 아멘.


3. 주님의 기도(Lord's Prayer)
집례: 이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주님께서 가르쳐 주신 기도를 함께 드립시다.
다같이: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나라가 임하옵시며,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오늘날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옵시고, 우리가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옵시고, 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 대개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영원히 있사옵나이다. 아멘.

4. 평화의 인사(Peace Giving)
집례: 주님의 평화가 여러분과 함께
회중: 또한 목사님과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집례: 이제 화해와 평화의 징표로 서로 인사를 나눕시다.
회중: (모두 전후좌우 성도에게 인사를 나눈다) 주님의 평화가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5. 분병례(떡을 뗌, Breaking the Bread)[48]
집례: (떡을 두 손으로 들고 떼면서) 이 떡이 하나이듯, 여기 모인 우리도 하나입니다. 하나의 떡을 함께 나누기 때문입니다. 이로써 우리는 모두 그리스도의 한 몸에 참여합니다. (집례자는 떡을 내려놓는다)
회중: 아멘.

집례: (잔을 두 손으로 든 후) 이 잔을 함께 나눌 때에도 우리는 그리스도의 피에 동참하게 됩니다. (집례자는 잔을 내려놓는다)
회중: 아멘.

6. 분급(떡과 잔을 나눔, Giving the Bread and Cup)
(먼저 집례자가 떡과 함께 포도주를 먹고 마시거나, 혹은 떡을 떼어 포도주에 담갔다가 먹는다. 그리고 먼저 성찬 보좌위원들에게 떡과 포도주를 분급한 후, 이어서 회중에게 분급한다. 분급은 회중을 성찬대로 나오게 하되, 경우와 상황에 따라서는 자리에 앉힌 채 할 수도 있다. 분급하는 동안 반주자는 성찬 찬송을 연주하고 회중은 조용히 찬송하거나 기도한다.)
집례: (떡을 주면서) 이는 그리스도의 몸입니다.(혹은 “하늘의 떡, 예수 그리스도입니다.”라고 말한다.)
(잔을 주면서) 이는 그리스도의 피입니다. (혹은 “구원의 잔, 예수 그리스도입니다.”라고 말한다.
회중: (받는 이는 목례를 하면서) 아멘.
(왼손은 위로, 오른손은 아래로 십자형을 만들어 떡을 받은 후, 오른손으로 떡을 집어 포도주에 담갔다가 먹거나, 또는 떡과 함께 포도주잔을 받아 먹고 마신다.)

7. 성찬 후 감사기도(Post-Communion Prayer)
다함께: 사랑과 자비가 풍성하신 하나님, 저희를 위하여 온 몸을 내어주신 이 거룩한 신비에 감사합니다. 저희가 성령의 능력 안에서 전심으로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고 그리스도의 빛과 소금이 되도록 희망과 용기 속에 나아가게 하옵소서. 저희를 죄와 죽음에서 구원하신 구세주 예수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49]

예배 중에 성찬식을 거행하였을 경우, 이후 마침 예식('세상으로 나아감')이 진행된다. 교회 소식을 나눈 후, 찬송가를 부르고 파송의 말씀(Dismissal), 축도(Benediction), 찬양대의 축복송, 후주(교회에 따라 퇴장 행렬)로 예배가 끝난다.

예배서에는 또한 '성찬을 약식으로 행할 경우'의 예문도 실려 있다. 성찬으로의 초대(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부분) 후 매우 짧은 시작기도를 바치고, 삼성창 없이 바로 성찬 제정사, 성령 임재 기원, 주님의 기도, 분병례, 분급, 성찬 후 감사기도로 진행된다.

4.4. 루터교회의 성찬예배

루터교회종교개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지만 마르틴 루터가 처음 종교개혁을 일으켰을 때의 의도나 원래 루터가 가지고 있던 가톨릭적인 배경 때문에 매주 성만찬을 하고 정형화된 전례문에 따른 예배형식을 유지하게 되었다. 더군다나 북유럽 지역의 루터교회처럼 국가중심의 교회로 개편하고자 하는 정치적 목적에서 루터회로 바꾼 교회의 경우에는 예배 모습만 봐서는 가톨릭인지 개신교인지 구분이 가지 않을 정도로 똑같다. 한국의 루터교회의 경우, 개신교는 개신교인지, 사용하는 용어나 예배 의식의 여러가지 면이 한국의 전형적인 개신교 예배 모습을 많이 닮아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루터교회의 배경을 생각했을 때 이들의 성찬예배는 한국 개신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장로회 교인들이 참여한다면 상당히 어색할 정도로 형식화된 예배이긴 하다.

다만 루터교회의 예배가 무조건 성찬을 동반하는 건 아니며 그냥 기도문과 성경 봉독, 설교만 하고 마치는 경우도 많다.[50] 엄연히 개신교이고 개교회주의 성향도 생각보다 강하기 때문이다.

4.5. 성공회의 감사성찬례

성공회에서는 감사성찬례라고 불리는데, 오늘날 성공회의 예식 형태는 가톨릭 전례를 본따고 있다. 제아무리 성공회 안에 전례 중심의 고교회파와 복음주의적 경향의 저교회파가 존재하긴 하지만 기본적인 성공회의 모토는 '보편교회'이며 다만 전례와 성직 중심의 고교회파에서 개신교적인 저교회까지 모두를 포용한다는 것을 내세우고 있다.

때문에 성공회 전례는 기본적으로 루터회보다 훨씬 가톨릭에 가까우며 더욱이 성공회 한국관구의 경우에는 영국 성공회의 고교회파 선교사들에게 전래를 받아 어떨땐 한국 가톨릭 이상으로 장엄하게 전례를 드리기도 한다.

루터회와는 달리 예배에서 성찬 없이 설교만 하는 경우는 없다. 주일 뿐 아니라 주중의 모든 예배에도 성찬이 동반된다. 성공회에서 예배를 무엇이라 부르는지 다시 한번 보자.

자세한 내용은 감사성찬례 문서와 성체성사 항목을 참고.

4.6.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에서의 성찬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에서는 성만찬을 성찬이라고 칭한다. 기독교 회복주의 교파 중 하나인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에서는 매주 예배 시마다 성찬을 실시한다. 성찬 형태는 대게 다른 개신교와 유사하다. 하지만 빵은 식빵을 찢어 조각을 내서 사용하고 포도주가 아닌 그냥 물을 준다.[51]

4.7.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성만찬

재림교회에서는 매 분기마다 성찬식을 실시하며, 방식은 개신교와 비슷하다. 하나 다른 점이 있다면 요한 복음서에 나온 것처럼 세족식을 실시한다는 것이다.

4.8.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의 성만찬

하나님의 교회에서는 성만찬을 1년에 한 번 실시하는데, 복음서에 나온 성만찬(최후의 만찬)을 유월절을 지킨 것으로 보며,[52] 성력 1월 14일 저녁마다[53]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며 유월절 성만찬을 시행한다. 또한 성찬식을 거행하기 전에 세족식을 행한다.

5. 기타

아폴로 11호의 달착륙선 조종사 버즈 올드린은 달착륙 직후 성찬식을 했다.

2020년부터는 코로나 19로 인한 감염의 위험 때문에 가급적 자제하는 분위기이다.

6. 같이 보기


[1] 여기서 '카디쇼'라는 단어의 발음은 'ㅋ하'발음에 가까운 구개수음발음으로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서 흔히 볼 수 있으나 한국어에는 없는 발음이다.[2] 최주훈, 『루터의 재발견』, 2017 참조[3] 이상 https://www.ekd.de/en/Leuenberg-Agreement-304.htm에서 발췌[4]영국 국교회냐면 1688년 명예혁명이전, 19세기 가톨릭 해방령이 내려지기전 영국 기독교인 신자는 강제로 국교회 신자 이어야만 했기 때문이다. 특히나 가톨릭 신앙을 가진 신자들은 수장령과 반역법에 따라서 가톨릭이 불법 이었기 때문에 성공회 내부에 개혁주의 청교도와 사실상 가톨릭 교도가 혼재하는 양상이었다. 따라서 현대 성공회와는 성격이 다르다고 할수 있다. 물론 성공회는 비록 현재 잉글랜드에서만 국교의 지위이나 강제로 신자가 되진 않는다.[5] 신학적으로는 성공회, 형성 과정에서 장로회(칼뱅주의)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는 부분 중 하나이다.[6] 이를 성체조배/성체수직이라 하며, 특히 미사 중에 하는 것을 거양성체라 한다.[7] In the exposition of the Christian doctrine of redemption the word sacrifice has been used in two intimately associated ways. In the New Testament, sacrificial language refers primarily to the historical events of Christ's saving work for us. The tradition of the Church, as evidenced for example in its liturgies, used similar language to designate in the eucharistic celebration the anamnesis of this historical ev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at the same time that there is only one unrepeatable sacrifice In the historical sense, but that the eucharist is a sacrifice in the sacramental sense, provided that it is clear that this is not a repetition of the historical sacrifice.[8] There is therefore one historical, unrepeatable sacrifice, offered once for all by Christ and accepted once for all by the Father. In the celebration of the memorial, Christ in the Holy Spirit unites his people with himself in a sacramental way so that the Church enters into the movement of his self-offering. In consequence, even though the Church is active in this celebration, this adds nothing to the efficacy of Christ's sacrifice upon the cross, because the action is itself the fruit of this sacrifice. The Church in celebrating the eucharist gives thanks for the gift of Christ's sacrifice and identifies itself with the will of Christ who has offered himself to the Father on behalf of all mankind.[9] Communion with Christ in the eucharist presupposes his true presence, effectually signified by qthe bread and wine which, in this mystery, become his body and blood.[10] We affirm that Christ in the eucharist makes himself present sacramentally and truly when under the species of bread and wine these earthy realities are changed into the reality of his body and blood.[11] '실체'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 라틴어 substantia(실체)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오늘날의 영어에서는 현대 물리학적인 '물질'을 의미하기에 혼란이 있다.[12] 다만 루터 자신은 이 단어를 쓰지 않았고 나중에 루터파 신학자들이 붙인 명칭이다.[13] 물론 가톨릭이나 개신교예수십자가 희생은 단 한번으로 완전히 이루어졌다고 해석한다. 정확히 말하자면 가톨릭 입장에서 성변화는 신비의 '재현'보다 '연속'쯤 된다.[14] 가톨릭 교회의 공식적 명칭은 성변화이다. 화체설은 그리스도교(가톨릭, 정교회, 개신교 모두 포함) 신학자들이 성변화론을 상징설, 공재설과 대등한 위치의 가설로 보면서 붙인 이름.[15] 얀 후스 사후 보헤미아의 종교개혁 세력은 두 파로 양분되었는데 가톨릭과 교리적으로 타협하면서 양형영성체만 요구했던 일명 양형파(utraquist)와 과격한 개혁을 그대로 밀어붙이기 원했던 타보르파(taborites)로 나뉘었다. 양형파와 가톨릭이 타협한 이후로 체코는 가톨릭 교도라도 면병과 포도주를 같이 받는 경우가 꽤 흔했다.[16] 호쿠스 포쿠스 티디부스 참고. 원래 의미는 Hoc est enim corpus (meum) - '이는 내 몸이다.' 의 라틴어인데 라틴어를 모르는 민중들에게는 수리수리 마하수리같은 주문처럼 들렸을 것이다.[17] 루터도 의무교육의 개념을 확립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츠빙글리와 칼뱅은 "문맹과 무지가 우상숭배를 낳는다"고 보았으므로 이를 척결하는 일에 더욱 적극적이었다.[18] 오늘날에도 극도로 보수적인 장로회 및 개혁교회에서는 교리문답이나 신앙고백 교육을 제대로 이수한 사람만 교인으로 받아주는 관례가 있는데, 아무 사람이나 덜컥 받았다간 비성경적 관습이 들어올 위험이 있다 보기 때문이다.[19] 츠빙글리는 스위스에서 무력투쟁을 벌이며 반종교개혁과 갈등중이었는데, 루터가 보기에 종교인이 군대이끌고 다니는것은 1520년 토머스 뮌처가 과격 재세례파를 선동하여 농민반란을 일으킨 것, 더 이전 교황 율리오 2세가 세금 안내는 신자들을 토벌하러 스스로 갑옷 입고 말을 타며 교황령 소속 도시와 베네치아를 정벌한 것과 비슷하게 보았고, 이를 경멸하고 있었다.[출처] 필요[21] 사실 루터교회도 경건주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을 경우 이런 식으로 예배를 드리는 경우가 많았다. 웨슬리 당시에도 성찬을 자주 베푸는데 어려움이 있어 성직자가 아닌 평신도의 성례 집전이 논란이 된 적이 있었다. 웨슬리는 평신도의 성례집전을 부정하고 국교회 신부들을 찾아가 성찬을 받으라고 했지만 현실적인 문제로 이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웨슬리는 결국 미국 독립 및 선교를 계기로 평신도 전도자 약간 명을 성례를 주관할 수 있는 지도자로 안수한다.[22] 대한성공회는 성찬에 대한 관심을 많이 보이는 차원을 넘어서서 고교회파가 주류이다 보니, 이미 가톨릭 수준으로 성찬례를 매주 실시하고 있다.[23] 현재 성공회는 이쪽이다. 출신 교단 상관없이 삼위일체 하느님의 이름으로 유효하게 세례를 받았으면 성공회 영성체에 참여 가능하다.[24] 이 점은 성체 신심에 대한 분별을 가질 나이 즈음에 비로소 첫영성체를 허용하는 가톨릭과 비슷하다. 정교회에서도 이전 교파에서 받은 세례가 인정되어도 견진성사 전까지는 영성체를 할 수 없다.[25] 사실 이런 제한이 여러 그리스도교에 있는 이유가, 성만찬의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이다. 예수의 몸을 다루는 조건은 신앙고백과 무흠과 예수의 몸을 분별할 것인데, 신앙고백조차 공교회, 장로회라면 공동의회의 인증을 받지 못하고 뒤의 두 조건을 지킬 수는 없기 때문이다.[26] 이쪽은 유아세례를 인정치 않으므로 아예 침례 자체가 입교예식을 겸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일부 침례교회는 '헌아식(獻兒式)'이라 하여 새로 태어난 아이를 위해 특별 축복기도를 해주는 행사를 갖곤 한다.[27] 일명 '화란개혁교회'라고 하는 교파. 장로회와 신학적 특징은 비슷하나 배경이 되는 외부 문화가 다른지라 차이점도 꽤 된다.[28] 감리회도 원래는 예전이 존재했지만, 현대 한국 감리교회는 대학 채플이나 웬만큼 특별한 일이 아닌 이상 장로회와 비슷한 예배를 드린다.[29] 귀퉁이를 잘라내어 사용.[30] 물론 식빵은 누룩이 들어 있으나 서구권 개신교에서 귀퉁이를 제거한 흰 부분만 쓰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31] 코로나 사태 이후로는 십자가가 새겨진 네모난 비스킷(아이비와 유사한)으로 바뀌었다.[32] 예시로 든 두 교회는 각각 은사주의 신학 끝판왕, 포스트모던 신학 끝판왕이란 점에서 (신학적) 보수와 진보 양극단에 있다(...). 그만큼 쌀로 만든 떡은 신학적 성향에 관계없이 한국 개신교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33] 한국에서는 루터교회가 많이 이런다.[34] 단, 이것이 그리 간단한 문제만은 아니어서 한 때 '남은 떡 문제'라 하여 남은 떡과 포도주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논란이 있기도 하였다. 화체설을 부정하는 개신교의 입장에서, 남은 떡을 태우거나 묻는 것은 마치 예수 그리스도의 몸을 '장사 지내는' 것을 연상하게 하여 일반 신도들에게 잘못한 성찬론을 심어줄 수 있기 때문에 삼가야 한다는 주장이 이 논란의 요체이다. (고린도전서 8장 참조)[35] 일단 한국의 성공회는 당시 '가톨릭의 가'만 들려도 발작하는 영국 국교회 성직자들의 눈을 피해 조선으로 선교하러 온 앵글로-가톨릭 성향 성직자들의 영향을 받아 면병을 사용한다. 본고장인 영국의 성공회에서는 원래 다른 개신교나 정교회처럼 그냥 누룩이 들어간 빵을 사용했었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가톨릭처럼 면병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게 별다른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고 그냥 이스트가 들어간 빵보다 면병이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옥스퍼드 운동'의 영향으로 가톨릭의 유산에 대해 관심이 커진 것도 있다.[36] 전례개혁 이전 가톨릭에서는 성직자의 계급에 따라서 설 수 있는 계단의 위치까지 다 정해져 있었다. 자세한 건 트리엔트 미사 항목 참조[37] 이러한 경향은 특히 국교회 성향이 가장 강했던 스웨덴이 심했었다.[38] 포도주를 나누어줌[39] 분병, 분잔위원은 보통 목사를 포함한 교회의 장로들이 맡는 경우가 많다.[40] 해당 지역 전체를 치리하는 주교좌 성당은 이보다 더 많이 모이지만, 광역시나 도를 몇개 묶어 하나 있는 정도이니 논외로 하자.[41] 본래 칼뱅의 저서인 기독교강요에서는 은혜의 방편(신의 은혜를 받을 수 있는 수단) 중 하나를 성례, 즉 세례와 성찬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국교회가 성례를 제대로 지키지 않아 왔기에 그 반동으로 성례가 다시 강조되고 있는 흐름으로 보는 것도 좋다.[42] 국내 성례용품 업체에서 손등에 십자가가 그려진 것을 판매하여 그것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43] 평주일의 내용으로, 이 계응 부분은 절기마다 바뀔 수 있다.[44] Praefatio에 해당. 가톨릭에서는 감사송, 성공회에서는 감사서문이라고 부른다.[45] '저희가 하나님의 자녀된...' 부터 이 부분까지는 절기마다 바뀔 수 있다. 여기 실린 내용은 평주일의 시작기도이다.[46] 평주일의 내용으로, 절기마다 바뀔 수 있다.[47] 평주일의 내용으로, 이 부분은 절기마다 바뀔 수 있다.[48] 감리회 예문에는 아뉴스 데이가 없다.[49] 평주일의 내용으로, 이 부분은 절기마다 바뀔 수 있다.[50] 한국루터회 예배의식문에도 성찬 유무에 따라 예배순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51] 지혜의 말씀이란 계명이 있어 술, 담배, 차, 커피, 홍차, 녹차를 섭취하지 않기 때문이다. 술이 아닌 물을 대신 사용하는 것은 후기 성도 교회의 경전 중 하나인 교리와 성약에 준한다.[52] 최후의 만찬이 히브리력으로 닛산월(1월) 14일 저녁인 유월절 날에 행해진 것을 근거로 한다.(마 26:17-19, 눅 22:7-8, 13-15, 고전 5:7-8)[53] 그레고리력으로 3~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