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06:25:11

순비 허씨


고려의 후궁
[[틀:고려의 후궁/의종 ~ 공양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3F6864;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5AA58, #B6D592 20%, #B6D592 80%, #85AA58); color: #3F6864;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태후 · 왕태자
후궁 : 태조 ~ 예종 · 의종 ~ 공양왕
왕자 : 국조 ~ 숙종 · 예종 ~ 공양왕
왕녀 : 태조 ~ 인종 · 의종 ~ 공양왕
※ 봉작을 받았거나 이름이 알려진 사람만 기재
}}}}}}}}}


<colbgcolor=#B6D592><colcolor=#3F6864>
고려 충선왕의 제6비
순비 허씨 | 順妃 許氏
출생 1271년(원종 12)
사망 1335년(충숙왕 3)
고려 개경 개성부
(現 경기도 개성시)
능묘 미상
재위기간
고려 순비
1308년 9월 21일 ~ 1313년 3월 24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6D592><colcolor=#3F6864> 본관 공암 허씨
부모 부친 - 문경공 허공
(文敬公 許珙, 1233 ~ 1291)
전모 - 파평 윤씨[전실]
(坡平 尹氏, ? ~ ?)
친모 - 동주 최씨[계실]
(鐵原 崔氏, ? ~ ?)
배우자 평양공 왕현(平陽侯 王昡, (초혼))
충선왕(재혼)
자녀 3남 4녀[3]
관저 미상
작호 순비(順妃)
}}}}}}}}} ||

1. 개요2. 생애3. 가계

[clearfix]

1. 개요

고려 제26대 국왕 충선왕의 제6비.

2. 생애

순비 허씨는 공암현사람으로 중찬 허공(中贊 許珙)의 딸이다. 일찍이 평양공 왕현(平陽公 王眩)에게 시집가서 3남 4녀를 낳았다.

왕현이 죽고 충렬왕(忠烈王) 34년(1308) 충선왕이 맞아들여 후비로 삼고 그가 다시 복위하자 책봉하여 순비로 삼았다.

그 후 숙비가 왕의 사랑을 얻고 순비의 딸이 황태자를 입시[入侍]하게 되자 순비가 숙비를 욕보이고자 꾀하니, 황태자에게 아뢰어 숙비를 원의 대도로 불러들이게 하려 하였다.

중랑장 윤길보(中郞將 尹吉甫)는 격구[擊毬]로서 동궁에 출입할 수 있었는데, 그런 까닭으로 태자에게 요청하여 그 일을 멈추게 하였다. 뒤에 원이 사신을 보내 에게 고고(姑姑)를[6] 내려주자 백료(百僚)가 순비의 집에서 잔치를 열고 폐백을 바쳐 하례하였다.

그럼에도 순비는 숙비와 사이가 원만하지 않았다. 이에 이르러 왕이 숙비로 하여금 가서 축하드리라고 하였지만 잔치가 끝날 때까지 다섯 번이나 나가 옷을 갈아입으며 복식으로 서로 본인을 높였다.

충숙왕(忠肅王) 후 4년(1335)에 그녀가 죽자 원에서 완자를[7] 보내와 장례에 참석하게 하였다.

전 남편 평양공 왕현과 사이에서 3남 4녀를 낳았으나 현 남편 충선왕과는 자녀는 없다.

3. 가계


[전실] [계실] [3] 7명 모두 전남편 평양공 왕현과 사이에서 낳은 자식들이다.[入侍] [擊毬] [6] 몽골의 여성 전통 머리장식[7] 完者, 울제이[8] 이자연→이의(李顗)→이자덕→이지화(李之和)→이유실(李惟實)→본인[성효(性曉)] - 법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