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2 19:27:58

알제리군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동아시아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동남​아시아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남아시아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서아시아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중앙​아시아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서유럽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남유럽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중유럽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슬로베니아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북유럽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동유럽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북아메리카멕시코 · 미국 · 캐나다
카리브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중앙아메리카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남아메리카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북​아프리카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남​아프리카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서​아프리카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동​아프리카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중앙​아프리카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오스트랄라시아뉴질랜드 · 호주
멜라네시아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미크로네시아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폴리네시아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6230 82% 92%, #d30731 92% 96%, #fff 96%)"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D1D1D,#e2e2e2
<colcolor=#d30731><colbgcolor=#fff> 상징 국가 · 사막여우
역사 역사 전반 · 누미디아 · 반달 왕국 · 함마드 왕조 · 알제리 독립 전쟁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민족해방전선 · 민주국민연합 · 알제리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경제 경제 전반 · 알제리 디나르
국방 알제리군 · 알제리 해군
문화 문화 전반 · 언어 · 요리 · 쿠스쿠스 · 타진 · 플리사 ·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방언
인물 프란츠 파농 ·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 압델카데르 벤살라 · 압델마지드 테분
지리 사하라 사막 · 아틀라스 산맥
민족 마그레브 아랍인(방글라데시계) · 베르베르
}}}}}}}}}}}} ||

알제리 인민국군
الجيش الوطني الشعبي الجزائري
Algerian People's National Army
파일:ANPlogo1.png
세계 군사력 순위 28위 (2020년)
상비군 130,000명(77위)
예비군 290,000명[1]
육군력
1세대 전차 275대
2세대 전차 625대
3세대 전차 180대(+?대)
전차 총합 1,105 대(+?대)
장갑차(APCs/IFVs) 2,663대
견인포 100문
박격포 350문
자주포 250대
MLRS 0대
수송 차량 550대
해군력
4,000톤급 호위함[2] 0 척
3,000톤급 호위함 0 척(+3 척)
2,000톤급 호위함[3] 3 척(+2 척)
초계함, 고속정 18 척[4]
잠수함 4 척
전투함 총합 41 척
공군력
5세대 전투기[5] 0 기(14 기[6])
4.5세대 전투기[7][8] 42기 + 16기
4세대 전투기[9][10] 32 기 + 14기
조기경보관제기(AWACS) 0 기
공중급유기 0 기
공군기 총합 440 기
헬리콥터 191 기
항공기 총합 440 기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육군3. 해군4. 공군5. 관련 문서

1. 개요

알제리의 군대. 알제리 인민국군은 아프리카 내에서 이집트군과 함께 가장 고도의 전력을 보유했다고 평가받는 정규군이다. 줄여서 알제리군이라고 불린다.

알제리에서도 역시 징병제를 채택했으며, 의무복무기간은 1년이다.

2. 육군

파일:알제리 국기.svg 현대 알제리 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230 50%, #FFFFFF 50%)"
알제리 인민군 (1962~현재)
الجيش الوطني الشعبي الجزائري | Armée Nationale Populaire
<colbgcolor=#006633> 기타전차 <colbgcolor=#006633> 경전차 AMX-13/75R
중형전차 T-34/85R
MBT 1세대 T-55(AMR/AMV) | T-54R
2세대 T-72(M/M1) | T-62
3세대 T-90SA | T-72(M1M/B/AG)
장갑차 차륜장갑차 복서 IFV | 푹스 2 | M1224 MaxxPro | BTR-80 | BTR-60(PB/PU) | OT-64A | BRDM-2(M) | 파나르 M3 | BCL-M5R | BTR-40R | BTR-152R
궤도장갑차 BMPT-72 체르미나토르 2 | BMPT-62M | BMP-2M 베레조크M | BMP-1M | OT-62 토파스R
차량 소형 GAZ 티그르 코넷-EM | 님르 II | 험비 | 오토카르 코브라 | 메르세데스-벤츠 G바겐 · 스프린터 | 랜드로버 디펜더 | 토요타 랜드 크루저 픽업 | UAZ-469R
트럭 SNVI M120 · M230 · M350 | 메르세데스-벤츠 유니목 · 제트로스 · 악트로스 · 악소르 | ZiL-157R
자주포 자주곡사포 PLZ-45 | 2S3(M/M1) 아카치야 | 2S1 그보즈디카
자주박격포 님르 II 하피트 640A 6x6 SPMM | WMZ-551 SM-4 | AML-60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판치르-S1(M) | ZSU-23-4M4 쉴카-M | ZSU-57-2R
자주식 SAM 9K332 토르-M2E | 9K33 오사 | 9K31 스트렐라-1R
다연장로켓 TOS-1 부라티노 | BM-30 스메르치 | SR-5 | BM-21 그라드 | BM-14 · 16 · 24R
공병차량 구난차량 BREM-1SA | 이바노베츠 KS-69731 크레인 | 립헬 G-BKF 크레인
AEV IMR-2MA
교량차량 MTU-55 | MTU-20
기타 PTS-2 수륙양용 수송차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44px; margin-bottom: -6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알제리 국기.svg 현대 알제리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현대의 알제리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white,#191919>AK-47, AKS-47, AKM, AKMS, MPi-KM, 56식 자동소총, 81식 자동소총, M16A4, AUG, AK-103
저격소총 SVD, M93, M24 SWS
기관단총 MAT-49, MP5, UZI, 베레타 M12
권총 TT-33, PM, CZ52, 카라칼 시리즈, 글록 17, 베레타 92, 베레타 93R
지원화기 기관총 RP-46, RPD, RPK, PKM, DShK, NSV
<colbgcolor=#007229> 대전차화기 RPG-7, RPG-16, LRAC F1, B-10, B-11, 9M14, 9K111, 9M113, 9K115-2, 9M133, 밀란
박격포 W86, PM-43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anks-Algeria.jpg
알제리 육군
창설 1962년
정규군 107,000 명 (2007)
예비군 150,000 명 (2007)

3. 해군

4. 공군[1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현대 알제리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006331> 알제리 인민군 (1954~현재)
الجيش الوطني الشعبي الجزائري
회전익기 <colbgcolor=#006331> 다목적 헬기 벨 412, Mi-2, Mi-171(Sh2), Ka-32, AS355, AW139
수송헬기 Mi-26T2, AW101
공격헬기 Mi-171, Mi-24, Mi-28NE
전투기 4세대 / 4.5세대 MiG-29S/UB/M2, Su-30MKA, Su-35S
5세대 {Su-57}
공격기 Su-24M2/MR, {Su-34}
정찰기 비치크래프트 1900D, G550
수송기 비치크래프트 1900D, C-130H/L/J, C-295, Il-76, PC-6
공중급유기 Il-78MP
무인기 UAV CH-3A, 시커 II
UCAV CH-4B, WJ-700, {악숭구르}, {앙카-S}
훈련기 GomhouriaR
VIP 탑승기 A340-500, ATR 72-600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도입 취소 기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AlgerianHercules7T-WHE.jpg
알제리 공군
창설 1962년
항공기 440기
헬기 191기
알제리 공군의 보유 항공기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수량 비축 추가 도입
MiG-29S/UB/M/M2 다목적 전투기 러시아 46 기 14 기
MiG-25P/PD/RBSH 정찰기/요격기 러시아 18 기
Su-24MK2 전폭기 러시아 38 기
Su-24MRK2 정찰기 러시아 4 기
Su-24MP 전자전러시아 2 기
Su-30MKA 다목적 전투기 러시아 57 기 16 기
Su-30BM 다목적 전투기 러시아 16기
Su-34ME 전투폭격기 러시아 14기
Su-57 다목적 스텔스 전투기러시아 0기 14기
알제리 공군은 2006년 34대의 MiG-29SMT를 주문하였는데 2007년 15대를 시작으로 MiG-29SMT인도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돌연 성능상의 하자를 이유로 반품을 요구하였다. 이후 반품과 함께 대금의 환불을 요구하며 계약을 취소하였다. 이는 미그29의 성능의 하자보다 국방예산을 같이 도입하던 SU-30에 집중하기 위해 알제리 정부가 벌인 소동이라는 견해가 강하다. 결국 이 기체들은 러시아 공군이 인수하였으며 현재 쿠르스크 항공군에서 잘 운영하고 있다.

SU-30MKA 성능에 매우 큰 만족을 표한 알제리 공군은 노후화 된 MiG-29S 버전 기체를 대체 하기 위해 2019년 9월 9일 추가로 러시아제 전투기 30대를 총 미화 20억 달러 이상 규모에 16대의 다기능 중전투기 Su-30MKA와 14대의 중형 MiG-29M/M2 버전 전투기 도입 계약을 MAKS-2019 에어쇼에서 체결 하였다고 알제리 방위 산업 블로그 MenaDefense 는 방위 산업의 Vedomosti에 소식통을 인용 하여 공식 발표 하였다.#

2019년 SU-34M의 수출 버전 SU-34ME를 14대 구매 하였으며 통신 시스템이 러시아 내수 버전과 차이를 둔 거 외에는 다운그레이드는 이뤄지지 않았다고 하며, 알제리 공군이 구매한 SU-34ME 14대의 인도는 2023년 까지 완료한다고 한다. #

2020년, 러시아로부터 Su-57 14대를 공급 계약을 체결 하였으며 총 금액은 20억 달러 규모 라고 한다. 2028년 부터 첫 기체가 인도 될 예정이다. #[12]

2021년 7월 29일 밀리터리 워치 매거진 보도에 의하면 알제리 공군이 노후화 된 구형 MiG-29S 버전 전투기 전력 대체를 위해 프랑스제 라팔 전투기를 거부하고 러시아의 Su-30MKA 전투기 현대화 및 추가 도입을 선호 하고 있다고 한다. # 한편, 알제리 공군은 2019년 Su-30MKA 16대와 MiG-29M/M2 버전 14대를 추가로 더 주문했으며, 2024년 까지 70대 이상의 SU-30MKA 전력화를 이루게 된다. #

5. 관련 문서


[1] 국가별 병력 현황[2] 다른 국가와 객관적인 비교를 위해 광개토대왕급을 4,000톤급 호위함으로 분류함. 구축함급은 최하 만재배수량이 5,000톤급 이상인 군함으로 구축함으로 분류하며 모든 국가에 공통적으로 적용함.[3] 2,000톤급은 전후 300톤 까지는 융통성 있게 분류함. 예: 2,300톤~1,700톤 이면 2,000톤 호위함으로 분류. 4,000톤급은 전후 400톤 까지는 융통성 있게 분류함. 3,600톤 이상부터 4,000톤급으로 분류함. 이렇게 분류하는 이유는 만재 배수량에서 오차가 있고 상당수의 군함들이 이 오차내에서 몰려있기에 그러함.[4] 1,500톤 미만인 초계함이나 고속정은 특수작전부대(특작부대) 제압, 기습전, 해안방어용을 목적으로 제작되었기에 각종 병기의 위력이 낮은 편이라 5,000~10,000톤급 이상의 함정이 여럿 투입되는 대규모 함대전에 쓸 수 있는 유효한 전력이라고 볼 수 없다. 적군 측에 혼란을 주거나 해당국의 최대 함정이 초계함 혹은 고속정이라는 해괴한 상황이 아니라면 대형 함정들의 함포 및 어뢰에 의해 순식간에 파괴될 수 있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투입하지 않는다.[5] 5세대 전투기 분류법 참고.[6] 러시아로부터 Su-57 14기 공급 계약 체결[7] 4.5세대 전투기 분류법 참고.[8] 4.5세대 분류법 (2)[9] 4세대 전투기 분류법 참고.[10] 4세대 전투기 분류법(2)[11] 알제리 공군기[12] 이로서 알제리는 아프리카 국가 중 최초로 5세대 전투기를 도입하게 되는 국가가 되었다.[13] 공군기지 목록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