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3b219 0%, #FFCD30 20%, #FFCD30 80%, #e3b219);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투앙쿠 압둘 라만 | 히사무딘 알람 샤 | 투앙쿠 셰드 푸트라 | 이스마일 나시루딘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압둘 할림 | 야흐야 프트라 | 아흐맛 샤 | 이스칸다르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아즐란 무히부딘 샤 | 투앙쿠 자파르 | 살라후딘 압둘 아지즈 샤 | 투앙쿠 셰드 시라주딘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미잔 자이날 아비딘 | 압둘 할림 | 무하맛 5세 | 파항의 압둘라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 나즈린 샤 | |||||
양 디페르투안 아공 يڠدڤرتوان أݢوڠ Yang di-Pertuan Agong | |
<colbgcolor=#ffcd30> 현직 | <colbgcolor=#fff,#191919>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
즉위일 | 2024년 1월 31일 |
지위 | 말레이시아의 국가원수 |
관저 | 이스타나 느가라 |
임기 | 5년[1] |
[clearfix]
1. 개요
말레이시아의 군주.양 디페르투안 아공(Yang di-Pertuan Agong)은 말레이어로 '주인이신 분'이라는 뜻인데 영어로도 이 칭호를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쓴다. 말레이시아 화교들이 쓰는 중국어로는 최고원수(最高元首)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편의상 언론 등에서 주로 "말레이시아 국왕"으로 칭해진다.
2. 역사
양 디페르투안 아공이라는 직책은 말레이시아가 독립한 1957년에 생겼다. 원래 말레이시아는 하나의 통합된 나라를 이루지 않고 십여개의 나라들로 나누어져 있었는데 영국은 이들 국가를 보호국으로 만들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식으로 간접통치했다. 이 보호국들이 독립하는 과정에서 연방제를 채택해 하나의 나라로 독립한 것이 현재의 말레이시아이다.독립한 말레이시아는 영국을 모델로 한 입헌군주제를 채택했으며 이에 따라 양 디페르투안 아공(Yang di-Pertuan Agong)이라는 직책을 만들고 그를 국가원수로 삼았다.
3. 임기와 승계
양 디페르투안 아공은 임기가 정해진 선출직으로, 스스로의 군주가 있는 9개 주의 군주[2]들이 통치자회의(Majlis Raja-Raja/Conference of Rulers)[3]를 열어 호선하는 것이 원칙이고, 실제로는 암묵적으로 순번이 있어 돌아가면서 한다.임기는 5년이고 연임할 수는 없으나 순번이 다시 돌아올 때까지 계속 지방군주로 살았을 경우 중임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압둘 할림처럼 국왕 임기를 두 번 지낸 사례도 있다.
부국왕(Timbalan Yang di-Pertuan Agong)이라는 직책도 존재하며 마찬가지로 9명의 지방 군주들 중에 선출한다. 국왕이 공석일 시에 새로운 국왕이 선출될 때까지 권한을 대행한다.
국왕이 퇴위하거나 사망하는 경우 지방군주 직위는 각 지방의 규정에 따라 승계하나 국왕 직위는 궐위 상태로 남으며, 부국왕이 권한을 대행하다가 국왕을 새로 선출하여 5년 임기를 맡긴다.
지방군주가 국왕이 되었다고 해서 지방군주 지위를 잃어버리는 것은 아니나, 현실적으로 겸직이 쉽지 않기 때문에 국왕으로 선출되면 대개 지방군주 쪽 권한을 섭정에게 맡기고 본인은 국왕으로서의 업무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다.
2016년 12월 13일 왕위에 오른 무하맛 5세(Muhammad V) 국왕은 클란탄(Kelantan) 주 술탄인데, 2010년 아버지 투앙쿠 셰드 프트라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다. 당시에 프트라는 살아 있었지만(2019년 사망) 조기에 양위한 이유는 뇌졸중으로 인한 건강문제 때문이라고 한다. 2019년 1월 4일 무하맛 5세의 조기 퇴위설이 퍼지자 정부는 이를 헛소문이라며 부정했으나 불과 이틀 후인 1월 6일에 국왕이 전격적으로 퇴위하면서 왕위가 공석이 되었다. 이후 부국왕 권한대행 체제가 이어지다가 각 주의 술탄들이 모여 회의를 거듭하고 투표한 결과 1월 24일 파항 주 술탄 파항의 압둘라가 새 국왕으로 선출되었다. 추가로 부국왕도 페락 주 술탄으로 새로 뽑았다.
말레이시아 국왕 또는 부국왕으로 선출될 수 있는 주와 왕가는 다음과 같다.
느그리슴빌란: 파가루융 가문
슬랑오르: 오푸 다엥 셀락 가문[4]
프를리스: 자말룰라일 가문
트렝가누ㆍ파항: 벤다하라 가문
크다: 마하왕사 가문
클란탄: 롱 유누스 가문
조호르: 테멩공 가문[5]
페락: 시악페락 가문
믈라카, 페낭, 사바, 사라왁은 번왕이 없고 말레이시아 국왕이 직접 임명하는 총독과 부총독이 있기 때문에 국왕 또는 부국왕으로 선출될 수 없다.
말레이시아 국왕 전용 머리장식과 전용 상하의 복장은 각각 느그리슴빌란 스타일과 크다 스타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초대 국왕인 투앙쿠 압둘 라만과 5ㆍ14대 국왕인 압둘 할림 때문이라고 한다.
4. 권한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국가로서 국왕은 상징적 국가원수의 역할만을 한다.명목상으로는 총리와 장관을 임명하고 의회에서 통과된 법에 대한 재가 권한이나 말레이시아군 통수권, 연방대법원 판사 임명권, 상원의원 임명권, 지역 군주가 없는 사라왁과 사바, 페낭, 믈라카의 총독(Yang di-pertuan Negeri/Governor) 임명권[6]이 있으나 이런 권한은 총리와 내각의 권고에 따라서만 행사된다. 말레이시아 왕립경찰의 당연직 명예청장이기도 하다. 1994년 개헌 이후 국왕의 권한은 더 축소되었다.
말레이시아가 국제형사재판소 가입을 철회한 것은 통치자회의의 상의도 없이 로마 규정에 서명하는 것은 연방헌법에 위반되는 것이자, 9개 주의 왕실들과 양 디페르투안 아공의 면책특권을 위협하는 것이라는 조호르 주의 술탄인 이브라힘 이스칸다르의 강력한 항의와 반발 때문이라고 한다.
5. 국왕 목록
대수 | 이름 | 지역 | 임기 | 비고 |
1대 | 투앙쿠 압둘 라만 | 느그리슴빌란의 얌투안 | 1957년 8월 31일 ~ 1960년 4월 1일 | 재위 중 사망 |
2대 | 히사무딘 알람 샤 | 슬랑오르의 술탄 | 1960년 4월 14일 ~ 1960년 9월 1일 | 재위 중 사망 |
3대 | 투앙쿠 셰드 푸트라 | 프를리스의 라자 | 1960년 9월 21일 ~ 1965년 9월 20일 | |
4대 | 이스마일 나시루딘 | 트렝가누의 술탄 | 1965년 9월 21일 ~ 1970년 9월 20일 | |
5대 | 압둘 할림 | 크다의 술탄 | 1970년 9월 21일 ~ 1975년 9월 20일 | |
6대 | 아흐야 프트라 | 클란탄의 술탄 | 1975년 9월 21일 ~ 1979년 3월 29일 | 재위 중 사망 |
7대 | 아흐맛 샤 | 파항의 술탄 | 1979년 4월 26일 ~ 1984년 4월 25일 | |
8대 | 이스칸다르 | 조호르의 술탄 | 1984년 4월 26일 ~ 1989년 4월 25일 | |
9대 | 아즐란 무히부딘 샤 | 페락의 술탄 | 1989년 4월 26일 ~ 1994년 4월 25일 | |
10대 | 투앙쿠 자파르 | 느그리슴빌란의 얌투안 | 1994년 4월 26일 ~ 1999년 4월 25일 | |
11대 | 살라후딘 압둘 아지즈 샤 | 슬랑오르의 술탄 | 1999년 4월 26일 ~ 2001년 11월 21일 | 재위 중 사망 |
12대 | 투앙쿠 셰드 시라주딘 | 프를리스의 라자 | 2001년 12월 13일 ~ 2006년 12월 12일 | |
13대 | 미잔 자이날 아비딘 | 트렝가누의 술탄 | 2006년 12월 13일 ~ 2011년 12월 12일 | |
14대 | 압둘 할림 | 크다의 술탄 | 2011년 12월 13일 ~ 2016년 12월 12일 | |
15대 | 무하맛 5세 | 클란탄의 술탄 | 2016년 12월 13일 ~ 2019년 1월 6일 | 중도 퇴위 |
16대 | 파항의 압둘라 | 파항의 술탄 | 2019년 1월 31일 ~ 2024년 1월 31일 | |
17대 |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 조호르의 술탄 | 2024년 1월 31일 ~ 재위 중 |
6. 둘러보기
{{{#!wiki style="padding: 5px 10px 4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010066 0%, #010066 78%, #cc0000 78%, #cc0000 81%, #fff 81%, #fff 84%, #cc0000 84%, #cc0000 87%, #fff 87%, #fff 90%, #cc0000 90%, #cc0000 93%, #fff 93%, #fff 96%, #cc0000 96%, #cc000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cc0000>상징 | 잘루르 그밀랑 · 국가 · 국호 |
역사 | 역사 전반 · 스리위자야 · 마자파힛 제국 · 믈라카 술탄국 · 영국령 말라야(말레이 연합주 · 말레이 비연합주 · 해협식민지 · 사라왁 왕국 · 북보르네오) · 일본령 말라야 · 말라야 연합 · 말라야 연방 · 말라야 비상사태 · 말레이시아 공산반란 | |
정치 | 정치 전반 · 양 디페르투안 아공 · 말레이시아/이념 · 정당들(희망동맹 · 국민전선 · 사라왁 정당연합 · 국민연합) · 푸트라자야 · 분리주의(동말레이시아) · 인종차별 정책(말레이시아 이민국 · 부미푸트라) · 14번째 주 | |
경제 | 경제 · 말레이시아 링깃 ·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 · 페트로나스 · 페로두아 · 프로톤 · KL118 | |
국방 | 말레이시아군 (말레이시아 해군 · PASKAL · 조호르군) | |
외교 | 외교 전반 · ASEAN · IPEF · 영연방 · 말레이권 · 이슬람 협력기구 · 비자/말레이시아 | |
교통 | 교통 전반 · 말레이시아 항공 · 에어아시아 · 동남아시아의 철도 환경(말레이 철도 · 쿠알라룸푸르 도시철도) | |
문화 | 문화 전반 · 관광 · 말레이시아 요리 · 말레이시아 영화 · 말레이시아 스포츠(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 말레이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말레이시아 야구 국가대표팀) · 이슬람교 · 세계유산 · 말레이시아인(말레이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인도계 말레이시아인 · 크리스탕) | |
언어 | 마인어 (믈라카 말레이어 · 사라왁 말레이어 · 사바 말레이어 · 수도권 말레이어 · 클란탄 말레이어 · 크다 말레이어 · 트렝가누 말레이어) · 라틴 문자 | |
사회 | 사회 전반 · SPM · (말라야 대학교 · 푸트라 대학교 · 사바 대학교 · 헬프 대학교) | |
기타 | 말레이 반도 · 보르네오 섬 · 압둘 라작 · 말라야 ·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세이소 왕조 | ||||
빌럼알렉산더르 | 하랄 5세 | 프레데리크 10세 | 레치에 3세 | |
테멩공 가문 | ||||
앙리 | 한스아담 2세 |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 알베르 2세 | |
모하메드 6세 |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 프란치스코 | 필리프 | |
볼키아 왕조 | ||||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 하사날 볼키아 |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칼 16세 구스타프 | |
펠리페 6세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 에마뉘엘 마크롱 | |
들라미니 왕조 | ||||
음스와티 3세 | 찰스 3세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 ||
노로돔 왕조 | ||||
압둘라 2세 | 나루히토 |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 노로돔 시아모니 | |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 라마 10세 | 투포우 6세 | ||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 |
[1] 말레이시아는 선거군주제로서 군주의 임기가 정해져 있다.[2] 7개 주는 술탄이라고 칭하지만 느그리슴빌란 주의 수장은 최고지도자(Yang di-Pertuan Besar), 프를리스 주의 수장은 왕(Raja)이라고 부른다.[3] 한때 이 회의에는 브루나이의 술탄도 참여했으나 다른 말레이시아의 주들과 의견이 맞지 않아서 참여를 그만두고 말레이시아와는 별개의 나라로 독립했다.[4] 남술라웨시 루우 왕국 출신의 부기스 귀족으로 조호르 술탄의 국서가 되어 슬랑오르의 통치권을 받은 다엥 셀락의 후손들.[5] 벤다하라 가문의 분가로, 벤다하라 종가가 지배하던 조호르 술탄국에서 세습직 테멩공(대장군)을 지내다가 19세기 후반에 술탄직을 찬탈했다.[6] 1963년과 1965년 사이에는 싱가포르도 말레이시아의 한 주였는데 싱가포르에는 군주가 없으므로 양 디페르투안 아공이 총독을 임명했다. 이 직위는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에서 추방당하면서 싱가포르 대통령으로 개편되었다. 초대 대통령 유솝 빈 이샥이 이 시기의 싱가포르 총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