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9:30:17

왼 좌에서 넘어옴
왼 좌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2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5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ひだり
-
표준 중국어
zuǒ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상대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左는 '왼 좌'라는 한자로, '왼쪽'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왼쪽
중국어 표준어 zuǒ
광동어 zo2
객가어 chó
민북어 cǒ̤
민동어 cō̤
민남어 chó
오어 tsu (T2)
일본어 음독
훈독 ひだり
베트남어 tả

유니코드는 U+5DE6에 배당되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KM(大一)으로 입력한다.

左 자의 본자는 𠂇(ナ)이다. 원래 이 글자는 갑골문 상에서 왼손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로, '왼쪽', 혹은 '돕다(보좌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다 금문에 이르러 뜻을 보충하기 위해 (장인 공) 자를 넣은 것이 현재에 이르게 된 것이다. 工 자를 추가한 것은 '돕다'라는 의미를 부각하기 위해서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돕다'라는 의미를 가진 글자를 따로 만들기 위해 左의 왼쪽에 (사람인) 변을 넣은 것이 (도울 좌)이다. (또 우) 및 (오른 우) 문서도 참조.
한편 左 자와 右 자에 공통적으로 있는 𠂇 형태는 그 기원이 다르기 때문에, 행서초서에서는 左 자와 右 자의 𠂇의 획순이 정반대이다. 左 자는 가로획→삐침의 순서이며, 右 자는 삐침→가로획의 순서이다. 해서를 기반으로 한 오늘날의 한자도 左 자와 右 자의 획순을 다르게 가르치는 경우가 많다.

초서체가 히라가나 sa(さ) 의 원형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기타

4. 상대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