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0 00:56:27

이코노미스트

파일:엑소르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계열사
자동차 스텔란티스(GAC-스텔란티스)합자회사 | CNH 인더스트리얼 | 페라리 | 이베코
언론 라 스탐파 | 이코노미스트
금융 파트너리 | 방카 레오나르도
스포츠 유벤투스 FC
역대 회장
조반니 아녤리 | 잔니 아녤리 | 움베르토 아녤리 | 존 엘칸
}}}}}}}}}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자유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영국의 자유주의 정당
파일:자유민주당(영국) 로고.svg 파일:북아일랜드 동맹당 로고.svg
에드 데이비 나오미 롱 }}}
{{{#!wiki style="margin: -21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집권내각 캐머런 연립내각 (닉 클레그 참여)
과거 정당 자유당(영국) · 휘그당
기타&지역 정당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 · 웨일스 자유민주당 · 자유당(1989)
사상 자유주의 · 사회자유주의(새자유주의) · 고전적 자유주의(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맨체스터 자유주의 ·자유지상주의 ·휘그주의) · 보수자유주의(근력 자유주의) · 급진주의 · 자유사회주의 · 자유보수주의 · 자유주의 페미니즘 · 자유제국주의 · 자유국제주의 · 진보주의 · 녹색자유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총리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 로버트 월폴 · 헨리 존 템플 · 존 러셀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주요 정치인 패디 애쉬다운 · 찰스 케네디 · 닉 클레그 · 조 스윈슨 · 빈스 케이블 · 멘지스 캠벨 · 팀 패런
사상가 데이비드 흄 · 존 로크 · 토머스 홉스 · 애덤 스미스 · 데이비드 리카도 · 제임스 밀 · 제러미 벤담 · 존 스튜어트 밀 · 허버트 스펜서 · 이사야 벌린 · 토머스 페인 · 존 메이너드 케인스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매튜 아놀드 · 토머스 힐 그린
언론 더 가디언 · 인디펜던트 · 파이낸셜 타임스 · 이코노미스트
관련 주제 중도주의 (중도우파 ~ 중도좌파) · 군주국의 공화주의 (일부)*
영국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특히 좌파 자유주의~진보주의 내지 자유주의 엘리트들 사이에서 지지를 받는 경우가 꽤 있으나, 전부는 아니다.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분파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이코노미스트 로고.svg이코노미스트
The Economist Newspaper Limited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국가
[[영국|]][[틀:국기|]][[틀:국기|]]
창간 1843년 9월
소재지 영국 런던 웨스트민스터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1. 개요2. 역사3. 특징4. 논조5. 구성6. 논란7. The Economist Espresso8. 구독 방법9. 한국과의 관계10. 여담

[clearfix]

1. 개요

발행되었던 이슈 목록
한국구독센터

영국의 유력 시사 주간지(경제지). 영국의 사업가 제임스 윌슨이 1843년 9월에 창간하여 100년을 훌쩍 넘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 덕분에 글로벌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잡지 중 하나다.

창간호에 게재되었던 설립 취지가 매우 비범한데, "(우리는) '전진하는 지혜와, 우리의 전진을 방해하는 못나고 소심한 무지 사이의 격렬한 투쟁'에 참여하기 위해 1843년 9월에 창간되었다."[1]가 그것이다. 이 설립 취지는 아직도 매 호의 첫 장에 실려 발간되고 있는데, 덕분에 이 잡지의 지향점이 무엇이고 주 독자층은 누구인지를 알 수 있다.

2015년 기준으로 인쇄판 4,594,866부, 디지털판 2,738,348부를 발행하고 있다. 영국 주간지이기는 하지만 전 세계에서 발행하며, 해외판매 비중이 훨씬 높다. 개중에는 북미 지역 비중이 약 60%로 가장 많은 독자를 확보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유럽, 아시아, 영국 순으로 독자가 많다. 각 지역별로 인쇄를 하기는 하지만, 광고만 다를 뿐 내용은 동일하다. (다만, 가끔 메인 이슈에 따라 특정 지역 한정으로 다른 표지로 발간되는 경우는 있다.)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진 잡지답게 빌 게이츠, 에릭 슈밋, 헨리 키신저, 헬무트 슈미트 등 세계 각국의 유명인사들이 구독한 잡지로도 유명했다. 특히 빌 게이츠매 주 한 쪽도 빠짐없이 (from cover to cover every week) 읽는다고 한다. 영미권의 지식인층에서는 이코노미스트를 읽고 얼마나 이해할 수 있느냐를 어떤 사람이 고등교육을 제대로 받았는가의 척도 중 하나로 보는 사람도 많다.

2. 역사

영국의 사업가 제임스 윌슨이 1843년 9월에 창간하였다.

2015년 1월에 172년 역사상 처음으로 여성인 재니 민톤 베도스가 편집장으로 임명되었다.

2015년 8월 대주주인 피어슨그룹이 주식을 이코노미스트 그룹과 엑소르[2]에 매각하였다.

3. 특징

주간조선의 이코노미스트에 대한 특집기사

주 독자를 고등교육을 받은 지식인층으로 하며, 격조높은 논조와 문체로 유명하다. 내용의 전문성은 기사마다 케이스 바이 케이스이지만, 단어나 필력 수준은 확실히 정상급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단어와 문장의 사용이 탁월하다. GRE 단어까지 마스터한 수준이라면 그 때부터는 읽으면서 사전을 찾아볼 일은 없긴 한데, 이 정도의 수준인 독자라면 웬만한 고학력 영어 원어민을 넘어서는 상상을 뛰어넘는 실력자라 봐도 무방하다. MBA 지원에 사용하는 GMAT 준비에도 많이 권해지는 잡지이다.

즉,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이라도 대학에서 언어+교양 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은 사람이면 읽기 어려운 잡지이다.[3] 기사들이 국제뉴스에 자주 나오는 내용들이긴 하지만 뻔하지 않은 내용들도 상당히 많다. 타임이나 뉴스위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긴 하지만 문장 수준이 굉장히 높고, 특히 어휘의 수준은 거의 학술지에만 등장하는 것들로만 이루어져 있다. 실제로 타임이나 뉴스위크는 읽히는데 이건 잘 안 읽히는 경우도 제법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편입학 영어 시험 출제하는 영문과 교수님들이 이 잡지의 내용들 몇 개를 추려 출제하기도 한다. 시사에 관심이 있으면서 고급 영어를 배우고 싶다면 이코노미스트나 타임을 구독하는 것을 추천한다. 다르게 말하면 이코노미스트는 불필요한 어려운 어휘 사용이 상당히 많아서 원어민이 읽기에도 문맥상 자연스럽지 못한 문장도 간혹 보인다.

영국 잡지답게 영국식 영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오바마는 Mr. Obama가 아닌 Mr Obama이며, 노동은 labor가 아니라 labour이다. 미국의 노동부는 Labor라고 지칭해주는 것이 예의나 그런거 무시하고 미국의 노동부도 Labour라고 부른다. 문체 또한 영국식에 가깝기 때문에 뉴욕 타임스워싱턴 포스트와는 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기사의 소제목들이 각종 언어유희나 말장난으로 이뤄진 경우가 많다.

겉보기엔 얇은 두께와 달리 엄청난 양의 기사들이 실려있으며 내용의 질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이름이 The Economist인지라 경제주간지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경제나 비즈니스 기사 비중은 의외로 그렇게 크지 않으며, 오히려 국제정치와 세계 주요국가의 국내정치(미국,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일본, 영국을 비롯한 유럽연합 각국 등[4])의 비중이 더 크다. 사실 잡지 초창기, 그러니까 영국이 곡물법(Corn Law)을 폐지하고 식민지 개척을 세계적으로 주도하던 시대에는 잡지 이름답게 자유무역과 규제완화, 금융시장의 육성을 강력하게 주장하는 경제지였으나, 이후 차츰 각국의 정치와 사회에 대한 분석을 늘려 나가면서 오늘날과 같은 종합 시사주간지가 되었다. 그래서 경제학이나 경영학 전공자들 못지않게 정치학사회학 전공자들에게도 도움이 된다.

특정한 이슈들에 대해 자세하게 분석한 special edition(보통 3~4주에 1회)이나 quarterly report (분기별 1회)도 잡지에 포함되어 나올 때가 있는데, 한국의 주간지와 비교해 보면 그 내용의 깊이가 놀라운 수준이다.

이외에도 과학, 기술, 문화, 예술, 신간서적에 대한 기사도 매 주 빼놓지 않고 실리는데, 특히 과학과 기술 섹션의 경우 해당 학문에 문외한인 기자가 기사를 쓰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학이나 공학을 전공한 사람이 저널리즘 정신에 입각한 기사를 쓰기 때문에 수준이 높으면서도 비전공자들이 비교적 읽기가 수월하다.

또한 굉장히 특이한 편집원칙이 있는데, 바로 개별 기사에 기자의 이름을 기재하지 않는다는 것. 이는 발행 전 집단토론을 통해 모든 기사가 일관된 관점을 가지도록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4. 논조

이코노미스트의 논조는 좌-우, 보수-진보의 축으로 놓고 봤을 때 중도에 가까워 딱히 성향을 특정하기 어려운 편이다.

굳이 분류하자면 경제적 보수, 사회문화적 진보에 가까운 편인데, 경제적으론 자유무역과 세계화, 노동과 자본의 국경을 넘나드는 거래, 시장금융경제 자본주의를 대안 없는 경제체제로써 지지하는 경제적 자유주의 성향이 있는 편이다. 그러나 사회문화적으로는 리버럴하기 때문에 영미권에서 보수(Conservatives)라고 불리는 사람들 중 특히 강경파들과는 상당히 견해가 다르다. 구체적으로, 이코노미스트는 동성결혼 합법화, 국가 간 이민의 확대, 마약[5] 합법화, 부모의 자녀 체벌 금지, 미국 총기규제에 대한 적극적인 찬성 등의 정치적 논조를 갖고 있다.

반대로 말하면 극우나 극좌[6] 그리고 사회문화적으로 보수적이면서 경제적으론 정부 개입도 긍정하는 사람들과는 맞지 않을 수도 있다.[7] 의외로 극우들이 이런 혼합 노선을 타는 경우도 제법 있는데, 서구권 극우들이 파생한 원인이 기껏 복지국가 만들어놨더니 사실 여부를 떠나 이민자들이 자신의 혜택을 뺏어간다는 인식으로 사회적 우경화가 된 감도 있기 때문. 입으로는 경제적 자유주의를 떠들면서 현실은 이민 반대, 보호무역을 주창하는 트럼프 등이 대표적이다. 물론 개인의 정치관은 사안마다 케바케인 경우도 많아서 일반화하긴 어려운 부분도 있다.

이런 이코노미스트 특유의 중도적 성향은 미국이나 영국에서 선거가 있을 때 확연히 드러나는데, 영국의 경우 이코노미스트는 2005년에는 토니 블레어신노동당을, 2010년2015년에는 데이비드 캐머런보수당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고 실제로 이 두 당은 각각 선거에서 이겨 집권에 성공했다. 한편 미국의 경우는 1980년 로널드 레이건, 1984년, 1988년은 어떤 후보도 지지 안함, 1992년 빌 클린턴, 1996년 밥 돌, 2000년에는 조지 W. 부시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다만 2004년부터는 쭉 민주당 후보를 지지하고 있어 좌경화된 감도 있다. 특히 2008년에는 버락 오바마진심으로 지지한다사설을 전면에 내세우기도 했다.[8] 2016년 미 대선에서도 힐러리 클린턴을 지지하였으며[9],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되고 나서는 더 반트럼프 성향이 심해져 트럼프의 WHO 탈퇴, 보호무역주의, 대안 우파적 성향 등을 매 이슈마다 비판하고 있다. 2020년 미국 대선 역시 조 바이든 후보를 지지했고, 2024년 대선도 카멀라 해리스를 지지했다. 매체는 해리스도 고평가하진 않았지만 트럼프보단 낫다며 "트럼프에 대한 비난이 과장됐다고 생각하는 건 무모할 정도로 안일한 주장", "그가 자유세계의 지도자가 되면 미국인들은 경제, 법치, 세계 평화 등을 걸고 도박을 하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이런 사심(社心)이 반영되었던 건지 이코노미스트는 10월 30일 두 후보의 승리 가능성을 '50 대 50'이라고 했으나,# 갑자기 대선 당일인 11월 5일 해리스의 승률이 56%, 트럼프는 43%라고 예측 모델의 결과를 변경 발표했으나# 실제 대선 결과는 크게 빗나가 구설수에 올랐다.

5. 구성

섹션마다 마지막 기사로 칼럼이 있으며, 각 칼럼은 Lexington, Banyan 같은 고유의 이름이 있다.

6. 논란

7. The Economist Espresso

파일:external/digiday.com/photo.png

2014년 11월부터 이코노미스트 사가 새롭게 시작한 일간 뉴스 서비스. 에스프레소라는 이름처럼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매일 아침에 세계의 주요 뉴스 기사 5개(Today's agenda) + 세계의 짧은 뉴스를 한데 모아 놓은 기사 1개(The world in brief) + 각종 경제지표 모음 (Markets and currencies) = 총 7개의 짧은 기사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심도있고 긴 분석을 제공하는 주간지인 이코노미스트에 비해, 이코노미스트 에스프레소는 매일 최신의 뉴스를 제공하며, 기사 하나의 분량 또한 스마트폰 스크롤바를 한 번 살짝 내리기만 하면 끝날 정도로 짧으므로 자투리 시간에 읽기 편리하다. 이렇게 스마트폰에 특화된 뉴스 요약 애플리케이션이기 때문에 iOS안드로이드 스마트폰용 앱, 그리고 이메일까지 세 가지 방식으로만 제공된다.

이코노미스트 디지털판을 구독하는 독자는 무료로 에스프레소의 모든 기사를 읽을 수 있으며, 이코노미스트를 구독하지 않는 사람도 앱을 다운받으면 매일 하나의 기사를 무료로 읽을 수 있다. 만일 이코노미스트를 구독하지 않으면서 이코노미스트 에스프레소만 구독하고자 한다면, 월 3.99달러의 구독료를 지불하면 된다. 뉴스 버전은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의 세 가지로 나뉘는데, 버전 간의 차이는 발행시간에 따라 The world in brief에 포함되는 뉴스가 약간씩 다를 수 있다는 점[12]과 주요 경제지표가 각 버전의 마감시간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제외하면 없으며, 보는 사람이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다. 아시아 버전의 경우 대한민국 표준시로 월~토요일 새벽 5시에서 6시 사이에 발행된다.

8. 구독 방법

구독의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첫째는 economist에 접속하여 정식으로 직접 구독하는 경우다. 그리고 둘째는 에이전트를 이용하는 경우인데, 에이전트에는 한국 공식구독 센터가 있다.

종이판은 구독을 신청하면 홍콩에 있는 이코노미스트의 아시아 지역 인쇄소에서 수입되어 한국지사를 통해 정식수입되어 우편집중국을 통해 배송되는데, 배송에는 대략 2~3일이 걸린다. 한국센터를 통하지 않은 구독은 첫 호 배송까지 2-3주 소요된다. 보통 한국 시간으로 매주 수요일이나 목요일에 그 전 주 금요일에 공개된 새로운 제호를 받아 볼 수 있다고 한다. 중국, 일본, 싱가포르는 따로 인쇄소가 있어서 자체적으로 발행된다. 홍콩 인쇄소는 홍콩, 대만, 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를 담당한다. 그래서 중국/일본/싱가포르/홍콩 4개국은 매주 금요일에 그대로 도착하고, 나머지 국가는 시간이 좀 많이 걸리는 편. 한국처럼 4일 정도 걸리는 게 일반적이다. 한국에도 인쇄소 설치 논의가 있긴 했는데 구독자가 적어서 성사되지 않았다.

디지털판의 경우 Windows, iOS, 안드로이드, 구글 크롬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며, 그냥 이코노미스트 홈페이지에 로그인하고 웹으로 볼 수도 있다. 한국 시간으로 매주 금요일 오전 3시에서 4시 사이에 새로운 제호가 디지털판으로 공개된다. 앱의 인터페이스는 상당히 깔끔하며, 오디오 기능도 제공되기 때문에 기사를 들을 수도 있다. 다만 영국식 영어에 익숙하지 않다면 듣기는 쉽지 않은 편.

학생 할인가격도 있기 때문에 학생이라면(대학원생 포함) 더 싼 가격에 구독할 수 있다. (공식적으로 대학원생은 학생할인 안된다고 함. 한국센터의 경우 그냥 넘어가는 것 같음.) 기간에 따른 추가 할인 정책은 구독 이력과는 상관이 없이 약정 기간(3개월, 1년, 2년, 3년 등)에 따라 적용되며, 약정 기간이 길수록 할인폭이 커진다. 3개월 구독은 자동 연장 조건이기 때문에 사실상 6개월 구독이다. (2024년 이후 학생할인 제공 중단한 것으로 보인다.)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하면 한 달에 기사 세 개까지는 무료로 볼 수 있다.

9. 한국과의 관계

10. 여담



[1] First published in September 1843 to take part in "a severe contest between intelligence, which presses forward, and an unworthy, timid ignorance obstructing our progress."[2] 아넬리 가문 소유의 이탈리아의 지주기업. 피아트유벤투스 FC 축구팀도 소유하고 있다.[3] 이와 비슷한 수준의 미국 영문 잡지로는 더 뉴요커 그리고 디 애틀랜틱 정도가 있다.[4] 영국은 아무래도 이코노미스트가 발행되는 곳이다 보니 미국과 비슷한 비중으로 기사가 실린다. 다만 미국정치와 비교하면 영국정치는 상대적으로 낯설기 때문에 읽기는 쉽지 않은 편이다.[5] 아마도 대마초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6] 물론 이것도 파시즘, 나치즘이나 마르크스-레닌주의(스탈린주의)가 아닌, 우파적 자유지상주의나 좌파적 자유지상주의(아나키즘)를 말하는거면 좀 다른 문제긴 하다. 자유지상주의는 극단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리버럴한 관점에서 재해석해 중도로 보는 관점도 있다.[7] 다만 이코노미스트가 오로지 시장만 신봉하는 극단적 경제 자유주의를 추구하냐 하면 그건 또 아니다. 애초에 영미권 좌파정당의 경제 정책도 긍정할땐 긍정하는 잡지다. 긍정하는 쪽이 주로 강성보단 온건파 쪽이긴 하다만.[8] 버락 후세인 오바마 항목에 있는 It's Time 표지가 2008년 대선 직전 발행된 이코노미스트이다.[9] 사실 이땐 이코노미스트가 아니더라도 메이저 영미권 신문사들은 90% 이상이 힐러리 클린턴을 지지했다. 트럼프와 완전히 사이가 틀어져 버린 워싱턴 포스트뉴욕 타임즈, 북동부 엘리트 민주당 지지자의 총본산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보스턴 글로브는 물론이고, 월스트리트 저널조차 트럼프보다는 힐러리로 기울었으며, 특정 후보 지지를 선언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한 USA 투데이마저 트럼프만은 안 된다고 했을 정도. 정도는 덜하지만 더 선 같은 타블로이드지를 제외하면, 영국의 이른바 정론들도 그런 경향은 비슷하다.[10] 茶馆, 즉 중국어로 찻집이라는 뜻이다.[11] 외부필진이 이코노미스트에 기고하는 경우, special report, 서평 파트에서 익명성 원칙이 문제가 될 수 있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한다.[12] 예컨대 아시아판이 발행되고 나서 아메리카판이 발행되기까지의 사이에 일어난 주요 사건은 아메리카판에 먼저 실릴 수 있다. 일례로 한국 시간으로 2016년 7월 9일 토요일 오전에 결정된 한국과 미국의 THAAD 도입은 7월 9일의 아시아판에는 실리지 않았으나, 같은 날짜로 발행된 아메리카판에는 실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7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