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8-31 19:08:59

일본군의 소집

파일:일본 황실.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대일본제국 육군
大日本帝國陸軍

(육군 항공대 / 육군 헌병)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대일본제국 해군
大日本帝國海軍

(해군 항공대 / 해군 육전대)

||<-3><tablewidth=100%><bgcolor=#b0313f><tablebgcolor=#fdfefa,#2d2f34> 관련 문서 ||
<colbgcolor=#ca7079> 정보·역사 검술 · 군가 · 군복 · 계급 · 무기 목록 · 역사 · 대본영 · 연합국 코드명 · 욱일기 · 진수부 · 함대결전사상 · 해군반성회 · 해군선옥론 · 731부대 · 의열공정대
병역 일본군의 소집 · 징병제 · 병역법
편제 육군 관동군 만주군 · 조선군 · 대만군 · 남방군 · 항공총군 · 몽강군 · 화평건국군 · 베트남 제국군 · 인도 국민군
해군 연합함대 · 제1함대 · 88함대 · 수뢰전대 · 제2 수뢰전대 · 343 해군항공대
무기체계 일본군/무기체계 · 일본군/무기체계/원인 · 일본군/무기체계/육군 · 일본군/무기체계/해군
전술 반자이 돌격 · 대전차총검술 · 카미카제 · 신멸작전 · 대륙타통작전
인물 인물 · 포로 · 전후 패잔병 · 삼간사우 · 삼대오물 · 조선인 일본군
철도 남만주철도주식회사 · 조선총독부 철도국
교육기관 일본육군사관학교 · 일본해군병학교 · 육군대학교 · 일본육군항공사관학교 · 나카노 학교 · 총력전 연구소
식민지 및
통치기관
조선(조선총독부) · 대만(대만총독부) · 가라후토(가라후토청) · ▤관동주(관동청)
논란 일본군/문제점 · 일본의 전쟁범죄 · 야스쿠니 신사 ·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 · 일본군 위안부
▤ : 만주국 관련 문서

||<tablewidth=100%><bgcolor=#b0313f> 장비 둘러보기 틀 ||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군: 기갑차량 | 보병장비 | 함선(2차 대전) | 항공병기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 기갑차량 | 보병장비 | 화포 | 함선(1차 대전) | 함선(2차 대전) | 항공병기

||<tablewidth=100%><bgcolor=#b0313f> 관련 틀 ||
식민지 · 괴뢰국 · 군정청 · 일본군의 전쟁 범죄
}}}}}}}}} ||

1. 개요2. 종류
2.1. 소집의 종류2.2. 소집영장의 종류
3. 기타 설명4. 관련 문서

1. 개요

일본군이 일본 제국의 병역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징집 및 소집제도와 소집영장의 설명으로, 일본어 위키백과 소집영장에 자세히 나온 것을 번역한 것이다. 주요 설명은 1927년부터 일본군이 해체된 1945년까지 시행된 일본군의 소집에 대한 설명이다.

2. 종류

2.1. 소집의 종류

1927년에 제정된 병역법, 병역법 시행령, 육군소집규칙, 해군소집규칙에 의한 소집, 그 이후에 제정 및 개정된 법과 영에 따라 생기거나 변경된 소집의 종류는 아래와 같았다.

이밖에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에 생긴 소집종류는 아래와 같았다.

2.2. 소집영장의 종류

파일:external/pressian.wcms.newscloud.or.kr/40080520111922.jpg
파일:external/www.toshima.ne.jp/image54111.jpg
징병 대상자에게 보낸 소집영장. 임시소집영장과 충원소집영장이다.

소집의 종류마다 4가지 색상의 종이가 소집영장으로 사용되었으며, 각 색명이 들어간 종이로 불리기도 했다.

3. 기타 설명

4. 관련 문서



[1] 대한민국의 방위소집은 병역법이 개정된 1962년부터 방위소집이라는 단어가 존재하였다. 대한민국의 방위소집은 방위병이 생긴 1969년까지 일본군의 방위소집과 비슷한 제도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1969년부터 1994년까지 보충역을 대상으로 방위병으로 소집해 복무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2] 당장 일본 제국 패망이 불과 1년조차 남지 않은 시점이고 이미 미군은 일본 본토 바로밑인 오키나와까지 올라온 상태였으며 애초에 전선까지 이송할 해군력도 부족한 상황이었다.[3] 한국의 읍면동사무소 공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