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31 13:05:57

해군반성회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해군선옥론
,
,
,
,
,

파일:일본 황실.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대일본제국 육군
大日本帝國陸軍

(육군 항공대 / 육군 헌병)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대일본제국 해군
大日本帝國海軍

(해군 항공대 / 해군 육전대)

||<-3><tablewidth=100%><bgcolor=#b0313f><tablebgcolor=#fdfefa,#2d2f34> 관련 문서 ||
<colbgcolor=#ca7079> 정보·역사 검술 · 군가 · 군복 · 계급 · 무기 목록 · 역사 · 대본영 · 연합국 코드명 · 욱일기 · 진수부 · 함대결전사상 · 해군반성회 · 해군선옥론 · 731부대 · 의열공정대
병역 일본군의 소집 · 징병제 · 병역법
편제 육군 관동군 만주군 · 조선군 · 대만군 · 남방군 · 항공총군 · 몽강군 · 화평건국군 · 베트남 제국군 · 인도 국민군
해군 연합함대 · 제1함대 · 88함대 · 수뢰전대 · 제2 수뢰전대 · 343 해군항공대
무기체계 일본군/무기체계 · 일본군/무기체계/원인 · 일본군/무기체계/육군 · 일본군/무기체계/해군
전술 반자이 돌격 · 대전차총검술 · 카미카제 · 신멸작전 · 대륙타통작전
인물 인물 · 포로 · 전후 패잔병 · 삼간사우 · 삼대오물 · 조선인 일본군
철도 남만주철도주식회사 · 조선총독부 철도국
교육기관 일본육군사관학교 · 일본해군병학교 · 육군대학교 · 일본육군항공사관학교 · 나카노 학교 · 총력전 연구소
식민지 및
통치기관
조선(조선총독부) · 대만(대만총독부) · 가라후토(가라후토청) · ▤관동주(관동청)
논란 일본군/문제점 · 일본의 전쟁범죄 · 야스쿠니 신사 ·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 · 일본군 위안부
▤ : 만주국 관련 문서

||<tablewidth=100%><bgcolor=#b0313f> 장비 둘러보기 틀 ||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군: 기갑차량 | 보병장비 | 함선(2차 대전) | 항공병기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 기갑차량 | 보병장비 | 화포 | 함선(1차 대전) | 함선(2차 대전) | 항공병기

||<tablewidth=100%><bgcolor=#b0313f> 관련 틀 ||
식민지 · 괴뢰국 · 군정청 · 일본군의 전쟁 범죄
}}}}}}}}} ||

1. 개요2. 어떤 단체인가?3. NHK 스페셜 : 일본 해군 400시간의 증언4. 내용

1. 개요

해군반성회(海軍反省會)는 1980년부터 1991년까지 과거 일본 해군 군령부 및 제 2 복원성(해군성의 전후 명칭)에서 근무했던 퇴역장교들이 비밀리에 조직한 평가모임이다. 회원들은 스이코샤(水交社)에서 11년간 131번 모였다고 한다. 특히 해군 대좌였던 도요타 쿠마오(豊田猥雄)가 남긴 약 400시간에 달하는 회의 녹음 테이프가 유명하다.

2. 어떤 단체인가?

해군반성회는 1977년 7월 11일에 스이코카이(水交會)[1]의 나카자와 다스쿠(中澤佑) 전 중장이 해군의 반성을 의미하는 학술회의를 열자고 제안하여 만들어졌다. 이때 출석한 노모토 타메키(野元爲輝)가 동의를 구하자 미요 카즈나리(三代一就)도 동의하고, 이후 해군병학교[2] 제 50기 졸업자들을 중심으로 찬동을 얻어 회합이 결성되었다.

원래는 노모토의 이름을 따서 노모토회(野元會)라 불릴 예정이었지만, 1980년 3월 28일 제1회 회합에서 <해군반성회>가 정식명칭으로 결정되었다. 1991년 4월 25일 제131회까지 계속 열렸지만, 마지막 회의가 언제였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쯤이면 2차대전 당시 중요인사들은 연로하여 하나둘씩 세상을 떠날 시기였다.

3. NHK 스페셜 : 일본 해군 400시간의 증언

사료조사회에서 문서정리를 담당했던 도다카 카즈나리(戶高一成)는 구 일본제국 해군 관계자와 친교를 맺으며 반성회의 녹음테이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테이프는 세 곳에 분산하여 보관되었는데, 처음에는 존재 자체를 확인할 수 없었다. 하지만 도다카가 육성기록의 역사적 가치를 주목하고, 테이프 보관자 및 관계자에게 동의를 구하여 세상에 알려졌다.

녹음테이프는 오랫동안 일반 가정의 창고에서 보관된 탓에 상태가 좋지 않아서 NHK에서 복원작업을 실시했으며, 단행본으로 출판되기도 했다. NHK는 복원된 테이프를 중심으로 2009년 8월 9일부터 11일까지 3일간에 걸쳐 <NHK 스페셜 : 일본 해군 400시간의 증언>이란 다큐멘터리를 방영했다. <제 1편 - 해군은 있어도 국가는 없다>, <제 2편 - 꺼림칙한 침묵>, <제 3편 - 제 2의 전쟁>으로 3편에 걸쳐 방송된 이 프로그램은 일본사회에 커다란 파문을 불러 일으키며 그간 해군선옥론을 상식으로 알고 있었던 일본인들에 대해 태평양전쟁에 대한 인식에 새로운 고찰을 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NHK 스페셜 : 일본 해군 400시간의 증언 제1회「개전, 해군은 있지만 국가는 없다」내용번역

위에 말한 이 테이프엔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구 일본해군의 비화가 다수 남겨져 그 역사적 가치가 중요하다. 이 테이프를 통해 극동국제군사재판 당시 제2복원성이 전쟁범죄에 관련된 해군간부의 형벌을 감경받고자 공작한 실태가 처음으로 알려졌다.

https://blog.naver.com/mirejet/110072570380 - NHK스페셜 번역 항목에 전편의 대사가 모두 번역되어있다. 다만 오역이 많다고 지적받으니 주의.

4. 내용

일본 해군. 특히 '군령부'[3]라는 해군성의 중추부에 근무했던 요인들이 모여서 그 시절을 돌아보면서 해군의 숨겨진 진실을 밝혀나간다. 군령부가 대미개전에 어물거렸다는 세간의 인식과 달리, 군령부가 개전에 적극 개입했고 오히려 해군성이 머뭇거렸다는 정황증거가 뚜렷이 밝혀지기도 했다.

태평양 전쟁 입안 당시에 대해 어느 대좌는 이렇게 증언했다. "분위기에 점점 휩쓸려갔다." 어느 중장은 "무모하다. 재검토해야 한다."라고 했지만, 당시 해군대신, 군령부총장, 득세한 함대파 때문에 이기지도 못할 싸움을 시행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대미 선전포고를 한 이유로 '육군이 지랄하다가 해군을 흡수하지 않을까 두려워서'라는 증언도 있다. 승산 있는 전쟁을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이대로는 패배할 줄 알면서도 이미 전쟁 중인 육군이 석유 금수조치로 안달나 쿠데타를 일으킬까 봐, 어차피 전쟁을 한다면 우리가 하는 게 낫다며 선전포고를 한 것. 이것도 해군이 강하게 반대하고 육군에 적당히 양보하면 해결될 가능성이 있었기에 해군의 욕심 때문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렇게 되기 전에는 미국과의 갈등을 핑계로 예산안 타먹기에 혈안이 되어있었다. 먹을 예산 다 먹고 평화조약을 기대한 것.

하지만 정말 충격적인 것은 이 대화가 방송을 탄 것이다. 이 사람들이 일본인, 특히 전직 일본군이라는것을 염두에 두자.
元 소좌 : "상당수의 사람들이, 정말로 일본의 자존자위를 위해서, 일본의 독립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전쟁을 할 수 밖에 없다, 그런 생각으로 전쟁을 하게 되었다라고 생각하고 있었어요. 그런게 아니었던가요."
군령부 元 대좌 : "그랬다면 매우 좋았겠지요. 하지만 그게 아니니까 문제가 되는거지요."
元 소좌 : "아무런 계획도, 승산도 없이, 명의(名義)도 없는 강도침략전쟁을 한게 사실인가요. 우리들은 그것을 인정하는건가요?"
군령부 元 대좌 : "전쟁을 해도 질거라고 생각한 사람들은 (육군의) 내란을 두려워해서 그런 (전쟁을 시작한) 거고, 내란을 일으키려고하는 녀석들(육군)은 전쟁에서 이길 수 있을거라고 생각한거야."



[1] 구 일본군 해군 출신 장교부터 병까지의 일종의 전우회[2] 한국의 해군사관학교에 해당한다.[3] 한국의 해군본부에 해당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