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6-15 16:56:46

창덕궁 의두합

창덕궁 기오헌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대보단
건무문 광지문 수문
청의정 태극정 농산정 옥청문
농포
소요암 옥류천
소요정 수문
취한정
수복방 신선원전 진설청
괘궁정 취규정
재실
능허정
의효전 사가정 청심정 천향각
몽답정 산단
백운사
천성동 태청문
청연각
존덕정
외삼문 폄우사 척뇌당
관람정
한려청 반도지
승재정
부군당
반빗간 태일문
통벽문 우신문 농수정
연경당 선향재
국출신직소 수인문 장양문
장락문
창덕궁 애련정 수궁
어수당 애련지
불로문
석거문 금마문 영춘문
운경거 의두합
희우정 천석정
서향각 주합루
어수문
사정기비각 부용지 영화당 춘당대 서총대
부용정
요금문 수문장청 서소 개유와 열고관
창송헌 수정전 가정당
수궁 습취헌 집상전
영모당
생물방 경복전 경훈각 징광루 함원전
소주방 청향각
숙경재 의풍각 융경헌 대조전 흥복헌
수랏간 관리합
만수전 태화당 재덕당 정묵당 요휘문 경극문 창경궁
경추문 수문장청 보경당 선평문 양심합 여춘문 병경문
함양문
서북 진설청 내재실
선원전
서남 진설청 동남 진설청
만수문 건중문 희정당 자선재 영안문
양지당 만안문 관광청 선정전 유덕당 건인문
책고 인정전 관물헌 석유실 어휘문
봉모당 억석루 연경문 만복문 향실 선정문 성정각 보춘정 양성재 중희당 칠분서 해당정 수방재 연영합 평원루 취명문
운한문 영의사 예문관 서방색 소주방 선화문 자시문 삼삼와 승화루 한정당 보화문
숭범문 선전관청 장방 영현문 전의사 취운정 협문
훈국초관인직소 이문원 검서청 약방 내삼청 광범문 대전장방 내반원 낙선재 석복헌
훈국초관인직소 홍문관 당후(승정원)문서고 궁방 사옹원 등촉방 대은원 수강재
훈국군파수직소 정청 육선루
악기고
승정원 상서성 연영문 협양문 무예청 장락문 주명문
남소
위장청
인정문 +양사(사간원) 공상청 사알방 누국
수문장청 금천교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일영대
금호문 결속색
정색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호위청 상서원 배설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별감방 전루 문기수번소 저승전 낙선당
무비사
의장고
전설사 빈청
(어차고)
진수당 장경각 계방
수문장청돈화문 수문장청 교자고 상의원 치미각 시민당 군옥재 춘방 등룡문
원역처소 수문장청 전루 별감방 등촉방 배설방 훈국군번소 사주문
단봉문 종묘북신문+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의두합
昌德宮 倚斗閤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2-71)
건축시기 1827년 (창건)
이명 기오헌(寄傲軒)
파일:의두합.png
파일:창덕궁_후원권역_기오헌과_의두합.jpg
<colbgcolor=#bf1400> 의두합 전경. 왼쪽이 의두합, 오른쪽이 부속건물 운경거이다.[1]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의두합 3D 영상. 애련정과 같이 다룬다.
1. 개요2. 이름3. 역사4. 구조5. 운경거
5.1. 개요5.2. 이름5.3. 구조
6. 여담

[clearfix]

1. 개요

창덕궁 후원 애련지 권역건물이다. 애련정의 남쪽에 있다. 서쪽에 부속 건물 운경거가 있다.

순조세자 효명세자대리청정할 당시에 독서공부를 하려고 지은 서재이다.

2. 이름

'의두(倚斗)' 뜻은 '북두성(斗)에 기대어(倚) 서울의 번화함을 바라본다'이다. 당나라 시인 두보의 《밤》에서 따왔다.

'기오헌(寄傲軒)'으로도 잘 알려져있다. '기오(寄傲)' 뜻은 '거침없이(傲) 호방한 마음을 기댄다(寄)'이다. 중국 동진시인 도연명이 쓴 《귀거래사》의 구절에서 따왔다.#
倚南窓以寄傲 (의남창이기오)
남쪽 창에 기대어 멋대로 호방함을 부려보니

審容膝之易安 (심용슬지이안)
좁은 집이지만 편안함을 알겠노라

도연명 《귀거래사》 중 일부
두 이름 뜻의 공통점은 '기댄다' 이다. 효명세자가 할아버지 정조의 뜻에 기대어 좋은 정치를 하려는 의미를 담은 것이다.

동궐도》에는 '이안재(易安齋)'란 이름으로 나온다. 역시 위의 《귀거래사》 구절에서 따왔다. 이름 부자

3. 역사

효명세자대리청정을 시작하던 1827년(순조 27년)에 지었다. 《궁궐지》에는 예전에 있던 책 읽던 자리에 고쳐 지었다고 나온다.# 이후 일제강점기6.25 전쟁을 거치면서도 살아남아 오늘에 이른다.
파일:동궐도 의두합.png
<colbgcolor=#bf1400> 《동궐도》의 의두합. 후술할 운경거와 나란히 있는 모습이다.

4. 구조

5. 운경거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운경거
昌德宮 韻磬居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2-71)
건축시기 1827년 (창건)
파일:external/ujuhim.co.kr/03-3-udukak.jpg
<colbgcolor=#bf1400> 운경거

5.1. 개요

의두합 서쪽에 있는 건물이다. 의두합과 같이 지었다. 효명세자는 이곳도 읽는 곳으로 사용했으며 악기를 보관하는 용도로도 썼다.

5.2. 이름

'운(韻)' 뜻은 '음운', '운치', '정취'이고 '경(磬)' 뜻은 '경쇠', '중국의 고대 악기'이다.

5.3. 구조

6. 여담

}}} ||
<colbgcolor=#bf1400> 국립국악원 360 VR 영상: 〈기오헌 춘앵전(Chunaengjeon)〉
2019년 5월 11일부터 6월 9일까지 기오헌과 운경거 앞에서 효명세자가 창작한 무용 춘앵전 공연이 열렸다. 문화재청과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공동으로 진행했던 행사 〈문화공간음악회, 창덕궁〉의 프로그램이었다. 국립국악원에서는 2020년 7월에 VR 컨텐츠를 통해 기오헌에서 하는 춘앵전 공연 영상을 공개했다.


[1]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