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 ┏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
ㅣ | ㅣ | ||||||||||||||||||||||||||||||||||||||||
ㅣ | ㄴ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건무문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
ㅣ | ㅣ | ||||||||||||||||||||||||||||||||||||||||
ㅣ | ㅣ | ||||||||||||||||||||||||||||||||||||||||
ㅣ | 청의정 | 태극정 | 농산정 | ||||||||||||||||||||||||||||||||||||||
ㅣ | 농포 | ㅣ | |||||||||||||||||||||||||||||||||||||||
ㅣ | 소요암 옥류천 | ㅣ | |||||||||||||||||||||||||||||||||||||||
ㅏ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소요정 | |||||||||||||||||||||||||||||||
ㅣ | ㅣ | 취한정 | ㅣ | ||||||||||||||||||||||||||||||||||||||
ㅣ | 수복방 | 신선원전 진설청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ㅡ | ㅡ | ㅡ | ㅣ | ㅣ | ||||||||||||||||||||||||||||||||||||
ㅣ | 괘궁정 | ㅣ | 취규정 | ㅣ | |||||||||||||||||||||||||||||||||||||
ㅣ | 재실 | ┏ | ㅡ | ㄱ | ㅣ | ㅣ | |||||||||||||||||||||||||||||||||||
ㅣ | ㅣ | ㅣ | ㅣ | 능허정 | ㅣ | ||||||||||||||||||||||||||||||||||||
ㅣ | 의효전 | ㅣ | 청심정 | ㅣ | |||||||||||||||||||||||||||||||||||||
ㅣ | 몽답정 | ㅡ | ㅡ | ㅡ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ㅣ | 존덕정 | ㅣ | ||||||||||||||||||||||||||||||||||||||
ㄴ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외삼문 | ㅡ | ㅓ | 폄우사 | 관람정 | ㅣ | |||||||||||||||||||||||||||||
ㅣ | 반도지 | ㅣ | |||||||||||||||||||||||||||||||||||||||
ㅣ | ┏ | ┛ | |||||||||||||||||||||||||||||||||||||||
ㅣ | 승재정 | ㅣ | |||||||||||||||||||||||||||||||||||||||
ㅣ | ㅣ | ||||||||||||||||||||||||||||||||||||||||
ㅣ | ┏ | ㅡ | ㄱ | ㅣ | |||||||||||||||||||||||||||||||||||||
ㅣ | ㅣ | 반빗간 | ㅏ | ㅡ | 태일문 | ㅡ | ㄱ | ㅣ | |||||||||||||||||||||||||||||||||
ㅣ | ㅏ | 통벽문 | 우신문 | 농수정 | ㅣ | ㅣ | |||||||||||||||||||||||||||||||||||
ㅣ | ㅣ | 연경당 | 선향재 | ㅣ | ㅣ | ||||||||||||||||||||||||||||||||||||
ㅣ | ㅣ | ┏ | ㅡ | ㅡ | ┛ | ㅣ | |||||||||||||||||||||||||||||||||||
ㅣ | | ㄴ | 수인문 | 장양문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ㅡ | 장락문 | ┛ | ㅣ | |||||||||||||||||||||||||||||||||||||
ㅣ | 창덕궁 애련정 | | ㅣ | ||||||||||||||||||||||||||||||||||||||
ㅣ | 애련지 | ㅣ | |||||||||||||||||||||||||||||||||||||||
ㅣ | 불로문 | ㅣ | |||||||||||||||||||||||||||||||||||||||
ㅣ | 석거문 | 금마문 | 영춘문 | ||||||||||||||||||||||||||||||||||||||
ㅣ | 운경거 | 의두합 | ㅣ | ||||||||||||||||||||||||||||||||||||||
ㅣ | ㅣ | ||||||||||||||||||||||||||||||||||||||||
ㅣ | 희우정 | 천석정 | ㅣ | ||||||||||||||||||||||||||||||||||||||
ㅣ | 서향각 | 주합루 | ㅣ | ||||||||||||||||||||||||||||||||||||||
ㅣ | 어수문 | ㅣ | |||||||||||||||||||||||||||||||||||||||
ㅣ | 사정기비각 | 부용지 | 영화당 | 춘당대 | ㅣ | ||||||||||||||||||||||||||||||||||||
ㅣ | 부용정 | ㅣ | |||||||||||||||||||||||||||||||||||||||
ㅣ | ㅣ | ||||||||||||||||||||||||||||||||||||||||
요금문 | | | ㅣ | ||||||||||||||||||||||||||||||||||||||
ㅣ | ┏ | ┛ | |||||||||||||||||||||||||||||||||||||||
ㅣ | ㅣ | ||||||||||||||||||||||||||||||||||||||||
┏ | ㅡ | ┛ | ㅣ | ||||||||||||||||||||||||||||||||||||||
ㅣ | | | ㅣ | ||||||||||||||||||||||||||||||||||||||
ㅣ | ㅣ | ||||||||||||||||||||||||||||||||||||||||
ㅣ | | | 경훈각 | ┏ | 함원전 | ㅣ | |||||||||||||||||||||||||||||||||||
ㅣ | | ㅣ | ㅣ | ㅣ | 청향각 | ㅣ | |||||||||||||||||||||||||||||||||||
ㅣ | | 의풍각 | ┏ | ㅗ | ㅡ | 융경헌 | 대조전 | 흥복헌 | ┛ | ㅣ | |||||||||||||||||||||||||||||||
ㅣ | ㅣ | 수랏간 | 관리합 | ㅣ | → | ||||||||||||||||||||||||||||||||||||
ㅣ | | ㄴ | ㅡ | 요휘문 | 경극문 | ㅣ | 창경궁 | ||||||||||||||||||||||||||||||||||
경추문 | | ㅏ | 선평문 | ㅜ | 여춘문 | ||||||||||||||||||||||||||||||||||||
ㅣ | ㅣ | ㅣ | ㅣ | 함양문 | ㄱ | ||||||||||||||||||||||||||||||||||||
ㅣ | 서북 진설청 내재실 선원전 서남 진설청 동남 진설청 | 만수문 | ┏ | ㅡ | 건중문 | ㅡ | ㅡ | ㅗ | ㅡ | ㅓ | 희정당 | ㅣ | | ||||||||||||||||||||||||||||
ㅣ | 양지당 | 만안문 | ㅓ | 선정전 | ㅣ | ㅣ | ㅣ | ┏ | |||||||||||||||||||||||||||||||||
ㅣ | 책고 | 인정전 | ㅣ | ㅣ | ㅣ | ㄴ | ㅡ | ┛ | 관물헌 | ㄱ | |||||||||||||||||||||||||||||||
ㅣ | 봉모당 | 억석루 | 연경문 | 만복문 | 향실 | ㅏ | ㅡ | 선정문 | ㅡ | ㅓ | 성정각 보춘정 | | 칠분서 | ㄱ | |||||||||||||||||||||||||||
ㅣ | 운한문 | 영의사 | 예문관 | ㅣ | ㅣ | 자시문 | 삼삼와 | 승화루 | 한정당 | ㄴ | ㄱ | ||||||||||||||||||||||||||||||
ㅣ | 숭범문 | ㅏ | ㅡ | ┛ | 영현문 | 전의사 | 취운정 | ㄴ | ㄱ | ||||||||||||||||||||||||||||||||
이문원 | 검서청 | 약방 | 광범문 | ┏ | 낙선재 | ㅜ | 석복헌 | ㅣ | |||||||||||||||||||||||||||||||||
ㅡ | ㅡ | ㅡ | ㄱ | 홍문관 | ㅣ | ㅏ | ㅣ | ㅏ | ㅗ | 수강재 | ㄱ | ㅣ | |||||||||||||||||||||||||||||
ㄴ | ㅡ | | ㅓ | ㅓ | | ㄴ | 장락문 | ㅓ | ㅣ | ||||||||||||||||||||||||||||||||
ㅏ | ㅡ | 인정문 | ㅡ | + | ┛ | | ㄴ | ㅡ | ㅡ | ┛ | |||||||||||||||||||||||||||||||
금천교 | 진선문 | 숙장문 | |||||||||||||||||||||||||||||||||||||||
금호문 |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 | | | | | | ㅣ | |||||||||||||||||||||||||||||||||
빈청 (어차고) | | ㅣ | |||||||||||||||||||||||||||||||||||||||
돈화문 | ㄱ | | 상의원 | 치미각 | | | |||||||||||||||||||||||||||||||||||
ㅣ | 원역처소 | | | | | | | ||||||||||||||||||||||||||||||||||
ㄴ | ㅡ | ㅡ | ㅡ | ㅗ | 단봉문 | ㅡ | ㅡ | ㅡ | ㅡ | ㅡ | ↓ | 종묘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북신문 | +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colbgcolor=#bf1400> 옥류천[1] |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옥류천 권역의 3D 입체 영상 |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
<colbgcolor=#bf1400> 창덕궁 옥류천 昌德宮 玉流川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2-71번지) | |
조성 | 1636년} |
[clearfix]
1. 개요
창덕궁 후원의 가장 안쪽 골짜기에 있는 시내이자 폭포이다.2. 물줄기
옥류천을 흐르는 물은 북악산 응봉 자락에서 발원한 계곡물과 창덕궁 안에서 발원한 물이다. 이 물은 창덕궁 동북쪽으로 빠져나가 성균관의 서쪽을 흐르는 흥덕동천으로 합류했다.#[2]2.1. 창경궁의 금천?
창경궁의 금천 역시 이름이 옥류천(玉流川)이다. 이름이 같아 이 옥류천이 창경궁 옥류천과 같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하지만 둘은 완전히 다르다.# 창경궁 옥류천은 창덕궁 후원의 연경당 서쪽과# 부용지#, 관람지 권역#에서 발원하여 춘당지를 거쳐 창경궁 동남쪽으로 빠져나간다. 이후 계속 남쪽으로 흘러 종로 5, 6가동을 거쳐 지금의 예지동 광장시장 인근에서 청계천과 합류한다. 현재는 창경궁 경내를 제외한 전 구간이 복개되었다.
3. 역사
<colbgcolor=#bf1400> 〈동궐도〉의 옥류천 구역 |
4. 구조
<colbgcolor=#bf1400> 소요암[A]. 오른쪽 사진에서 소요암에 파인 U자 형 홈을 볼 수 있다. |
- 비류삼백척(飛流三百尺)날아 흐르는 물이 300척이요
전하 과장이 심하시옵니다[5]요락구천래(遙落九天來)멀리 떨어지는 물은 구천에서 내리네간시백홍기(看時白虹起)볼 때 흰 무지개 일고번성만학뢰(翻成萬壑雷)골짜기마다 번개 소리 가득 하네소요암에 새긴 숙종의 시 #
소요암에 인조가 옥류천(玉流川)이란 글을 써서 새겼다. 그리고 그 옆에 인조의 증손자 숙종이 위에 있는 오언절구시[6]를 새겼다.
<colbgcolor=#bf1400> 옥류천 어정[A] |
5. 여담
- 1884년(고종 21년) 12월[8]에 일어난 갑신정변 당시 청나라 군인들이 창덕궁에 침입하자 고종은 옥류천을 거쳐 북묘[9]로 피신했다. 그때 고종을 모셨던 정변의 주역 홍영식과 박영교는 미처 궁을 빠져나가지 못하고 여기서 청나라 군인에게 살해당했다.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캠퍼스 교수회관 1층에 있는 옥류천식당이 여기서 이름을 따왔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서반수천(西泮水川)로도 불렀다. 이 물은 흥인지문 안쪽에서 청계천과 만났다. 현재는 복개되었다.[A] 왼쪽 사진 출처 - 문화유산채널: 문화유산여행 〈창덕궁 후원 옥류천을 찾아서〉.[4] 이 밖의 관련 유적으로는 경주에 신라시대에 유상곡수연을 즐겼던 유적 포석정이 있다.[5] 300척이면 요즘 단위로 대략 97m 정도이다. 당연히 옥류천 폭포가 저 길이일 리는 없고(...) 그만큼 장엄하다는 표현으로 보면 된다.[6] 구 하나 당 글자 5개씩인 4줄의 한시(漢詩).[A] [8] 음력 10월.[9] 관우의 사당. 혜화문 안쪽에 있었으며 창덕궁과 가까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