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19:22:43

천양무궁의 신칙

[[일본 황실|
파일:일본 황실 금색.svg
일본 황실
관련 문서 · 틀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DCA600,#8C003B><colcolor=#FFF> 신위 천황 (역대 천황 · · 계보) · 황후 () · 황태후 · 태황태후 · 상황 () · 상황후 · 섭정 () · 황사 [황태자 · 황태손] · 황사비 \황태자비 · 황태손비] · 친왕 · 친왕비 · 내친왕 · 왕 · 왕비 · 여왕
칭호 어칭호 · 미야고(궁호)
분가 미야케(궁가) () · 구황족 ( · 가계도 · 계보 上 · · ) · 세습친왕가 ()
가계도 천황 계보 · 황실 가계도 · 구황족 계보 \ · · ] · 구황족 가계도 · 내정 가계도 · 아키시노노미야 가계도 · 미카사노미야 가계도 · 다카마도노미야 가계도 · 지묘인통과 다이카쿠지통
상징 십육엽팔중표국 · 니시키노미하타
거주 일본의 어소 () \황거 · 교토어소] · 일본의 이궁 ()
능묘 모즈·후루이치 고분군 · 쓰키노와능 · 후카쿠사 북릉 · 후시미모모야마능 · 무사시 능묘지
신화 신대 (역대 신 틀) \[아마테라스 · 지신오대 · 히무카 삼대] · 아라히토가미 · 이세 신궁 · 천양무궁의 신칙
의식 · 행사 즉위의 예 · 대상제 · 가가쿠 · 일반참하 · 황기 2600년 봉축곡
보물 삼종신기 () · 정창원
축일 기원절 · 천황탄생일
기년법 연호 () · 황기
제도 황실전범 \구 황실전범] · 황적이탈 ()
조직 궁내청 (역대 장관 틀) · 내대신부 (역대 내대신 틀) · 추밀원 (역대 의장 틀) · 황궁경찰본부 · 황실회의 (의원 틀)
역사 결사팔대 · 남북조정윤론 · 다이카쿠지통 (계보) · 만세일계 · 북조 천황 () · 인세이 · 지묘인통 (계보) · 추존 천황 ()
교육 가쿠슈인 \[가쿠슈인대학]
문제 후계자 대책 }}}}}}}}}}}}


파일:천양무궁.jpg 파일:아마테라스 니니기.jpg 파일:external/www.food-farm.net/1261612174.jpg
천양무궁 보경봉재 재정의 벼 이삭

[ruby(天壤無窮, ruby=てんじょうむきゅう)]の[ruby(神勅, ruby=しんちょく)]

1. 개요2. 삼대신칙
2.1. 천양무궁의 신칙2.2. 보경봉재의 신칙2.3. 재정의 벼 이삭의 신칙

1. 개요

일본 신화에서, 여신 아마테라스가 천상에서 손자 니니기를 지상으로 내려보내면서 선언한 신칙이다.

기기신화에서 천양무궁의 신칙, 보경봉재의 신칙, 재정의 벼이삭의 신칙의 세 가지 신칙을 내렸다고 하는데, 가장 유명한 천양무궁의 신칙이 세 신칙의 총칭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이들을 통틀어서 삼대신칙(三大神勅)이라고도 한다.

이후 오래도록 이 신칙은 천황의 위상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어 왔다.

2. 삼대신칙

2.1. 천양무궁의 신칙

'천양무궁의 신칙(天壤無窮の神勅)'은 니니기의 후손인 일본 황실이 일본 열도를 영원토록 다스릴 것을 선언한다.
위원(葦原)이 천오백추(千五百秋)인 미즈호(瑞穗)의 나라는[1] 나의 자손이 임금이 되어야 할 땅이다. 황손이여, 지금부터 가서 다스려라. 가거라. 황위의 융성함이 천양과 함께 무궁할지어다.
葦原千五百秋之瑞穗国、是吾子孫可王之地也。宜爾皇孫、就而治焉。行矣。寶祚之隆、當興天壤無窮者矣。
일본서기 권2 신대하 일서(9-1)

2.2. 보경봉재의 신칙

'보경봉재의 신칙(宝鏡奉斎の神勅)'은 야타노카가미를 신체(神體)로 모실 것을 명령한다. 야타노카가미는 오늘날 이세 신궁에 모셔져 있다.
나의 아이여, 이 보경을 보는 것을 나를 보는 듯이 하라. 자리를 같이 하고 방을 같이 하여 정결한 거울로 모셔라.
吾兒、視此寶鏡、當猶視吾。可與同床共殿、以爲齋鏡。
일본서기 권2 신대하 일서(9-2)

2.3. 재정의 벼 이삭의 신칙

'재정의 벼 이삭의 신칙(斎庭の稲穂の神勅)'은 니니기에게 타카마가하라의 벼 이삭을 주면서 풍요로운 통치를 기원한다. 재정(齋庭/유니와, 유니하)이란 신을 기리기 위해 깨끗이 한 뜰을 뜻하는데, 쉽게 말해서 제사장(場)이다. 오늘날에도 천황이 직접 황거의 논밭에 벼를 심고 재배하는 의식이 있는데, 이러한 농경민 신화의 흔적이라고 할 수 있다.
내가 고천원(高天原, 타카마가하라)에 만든 재정(齋庭)의 벼이삭을 내 아이에게 맡길 것이다.
以吾高天原所御齋庭之穂、亦当御於吾兒。
일본서기 권2 신대하 일서(9-2)

[1] "위원(葦原)이 천오백추(千五百秋)인 미즈호(瑞穗)의 나라"란 표현은 '갈대가 풍성한 땅의 상서로운 쌀의 나라'라고 풀이할 수 있다. 이 표현은 일본 땅을 아름답게 부르는 단어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