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황실| 일본 황실 ]]관련 문서 · 틀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DCA600,#8C003B><colcolor=#FFF> 신위 | 천황 (역대 천황 · 틀 · 계보) · 황후 (틀) · 황태후 · 태황태후 · 상황 (틀) · 상황후 · 섭정 (틀) · 황사 [황태자 · 황태손] · 황사비 \황태자비 · 황태손비] · 친왕 · 친왕비 · 내친왕 · 왕 · 왕비 · 여왕 |
칭호 | 어칭호 · 미야고(궁호) | |
분가 | 미야케(궁가) (틀) · 구황족 (틀 · 가계도 · 계보 上 · 中 · 下) · 세습친왕가 (틀) | |
가계도 | 천황 계보 · 황실 가계도 · 구황족 계보 \上 · 中 · 下] · 구황족 가계도 · 내정 가계도 · 아키시노노미야 가계도 · 미카사노미야 가계도 · 다카마도노미야 가계도 · 지묘인통과 다이카쿠지통 | |
상징 | 십육엽팔중표국 · 니시키노미하타 | |
거주 | 일본의 어소 (틀) \황거 · 교토어소] · 일본의 이궁 (틀) | |
능묘 | 모즈·후루이치 고분군 · 쓰키노와능 · 후카쿠사 북릉 · 후시미모모야마능 · 무사시 능묘지 | |
신화 | 신대 (역대 신 틀) \[아마테라스 · 지신오대 · 히무카 삼대] · 아라히토가미 · 이세 신궁 · 천양무궁의 신칙 | |
의식 · 행사 | 즉위의 예 · 대상제 · 가가쿠 · 일반참하 · 황기 2600년 봉축곡 | |
보물 | 삼종신기 (틀) · 정창원 | |
축일 | 기원절 · 천황탄생일 | |
기년법 | 연호 (틀) · 황기 | |
제도 | 황실전범 \구 황실전범] · 황적이탈 (틀) | |
조직 | 궁내청 (역대 장관 틀) · 내대신부 (역대 내대신 틀) · 추밀원 (역대 의장 틀) · 황궁경찰본부 · 황실회의 (의원 틀) | |
역사 | 결사팔대 · 남북조정윤론 · 다이카쿠지통 (계보) · 만세일계 · 북조 천황 (틀) · 인세이 · 지묘인통 (계보) · 추존 천황 (틀) | |
교육 | 가쿠슈인 \[가쿠슈인대학] | |
문제 | 후계자 대책 | }}}}}}}}}}}} |
1. 개요
결사팔대([ruby(缺,ruby=けっ)][ruby(史,ruby=し)][ruby(八,ruby=はち)][ruby(代,ruby=だい)])는 제2대 스이제이 천황부터 제9대 가이카 천황까지의 천황 8명을 통칭하는 역사학적 용어이다. 명칭은 '역사에서 빠진 8대'라는 뜻이다. 일본서기에 기록된 초대 진무 천황부터 제33대 스이코 천황까지 초기 천황 33명의 기록 중, 결사팔대 천황 8명은 아무 치적도 기록되지 않았다. 아직도 일본 고대사를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질리도록 물고 늘어지는 떡밥이다.2. 표기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전 구자체로는 "缺史八代"라 표기하였고, "궐사팔대(闕史八代)"라고 쓰기도 하였다. 패전 이후 신자체가 제정되면서 현재 일본에서는 이지러질 결(缺) 자를 대체하여 신자체로 흠(欠) 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현대 표기가 "欠史八代"로 되었다. 이 신자체 표기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흠사팔대'지만, 원 글자를 살려 한국에서는 '결사팔대'라고 읽는다. 이지러질 결(缺) 자와 하품 흠(欠) 자가 한국어에서는 독음이 서로 다르지만 일본어로는 똑같다.3. 이론의 역사
결사팔대를 처음으로 주장한 츠다 소우키치(津田左右吉)는 무려 태평양 전쟁 때에 천황숭배가 절정에 달했을 때에 천황의 계보를 의심하는 이 이론을 펴서 1942년 유죄 판결을 받았다. 패전 이후 천황숭배에 대한 반작용으로 그의 이론이 주류가 되어서, 한때는 위 8명뿐 아니라 오진 천황 이전 천황들이 전부 실존인물이긴 한지 의심하는 설도 있었다. 하지만 이후의 연구로 제10대 스진 천황 이후의 천황들은 기년조정이나 세부적 비판은 있을지언정 어떤 형태로든 역사 속에 실존한 인물들이었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4. 재위기와 수명
일본에서도 진무 천황은 신화 속 인물이라는 설이 많지만, 결사팔대를 두고는 입장이 엇갈린다. 일본서기의 기술이 사실이라 간주할 경우, 결사팔대 천황들의 재위기간은 각각 다음과 같다.- 제2대 스이제이(綏靖): 기원전 581년~기원전 549년
- 제3대 안네이(安寧): 기원전 549년~기원전 511년
- 제4대 이토쿠(懿德): 기원전 510년~기원전 477년
- 제5대 고쇼(孝昭): 기원전 475년~기원전 393년
- 제6대 고안(孝安): 기원전 392년~기원전 291년
- 제7대 고레이(孝靈): 기원전 290년~기원전 214년
- 제8대 고겐(孝元): 기원전 214년~기원전 158년
- 제9대 가이카(開化): 기원전 158년~기원전 98년
이들 중 제5대 고쇼 천황부터 제9대 가이카 천황까지 5명, 그 중에서도 제5대 고쇼 천황부터 제7대 고레이 천황까지 3명은 재위기간이 비정상적으로 길다. 이는 초대, 제10-16대 천황도 마찬가지다. 가장 짧은 고겐 천황이 56년을 재위했고, 제6대 고안 천황은 재위기간만 100년이 넘는다. 이들의 재위시기를 종합하면 제2대부터 제9대까지 483년간 8명, 특히나 제5대부터 제7대까지는 260년간 단 3명만 재위했다는 이야기가 된다.
게다가 이들은 전부 친아들이 제위를 계승했다고 기록되었으니 본인이 즉위하기 이전 시절까지 수명에 더해야 한다. 일본서기의 서술이 사실이라면 100년 넘게 통치한 제6대 고안 천황은 수명이 137세, 그 아들 제7대 고레이 천황은 128세에 달한다. 의학이 발전하여 평균수명이 껑충 늘어난 현대에조차도 100세를 넘는 장수자들은 드물고, 특히나 110세를 넘는 경우는 더욱 드물다. 그런데 기원전 일본에서, 한 명도 아니고 부자가 둘 다 120세 넘게 장수했다고 하면 믿을 수가 없다. 그뿐 아니라 결사팔대 천황들은 기록상 모두 장수하였다. 한국사의 단군신화나 삼국사기를 비롯해 그 외 대다수 문명에서도 기록이 부실한 역사 초창기 군주들은 수명이 비정상적으로 길게 기록된 경우가 종종 있는데, 그만큼 장수를 누릴 정도로 하늘에게서 정통성을 부여받았다는 프로파간다의 일종이다.
5. 논쟁
5.1. 부정론
원래 결사팔대 천황 8명은 중국의 혁명사상에 따라, 또는 천황 가문의 뿌리가 매우 오래되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탄생되었다는 것이 부정론의 기초가 된다.1978년 사이타마현 교다시 이나리야마고분(稻荷山古墳)에서 금착명철검(金錯銘鐵劍)이 출토되었다. 금착명철검은 같은 곳에서 출토된 다른 유물들과 함께 1983년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었다.[1] 여기에 오호히코(意富比垝)로부터 시작되어 7대손 오와케노오미(乎獲居臣)에 이르는 8대의 계보를 새긴 명문이 있었다. 이중 시조 오호히코를 고겐 천황의 큰아들로 일본서기에서 오히코노미코토(大彦命), 고사기에서 오히코노미코토(大毘古命)라고 기록한 인물이라고 비정하면서 논란이 생겼다.
일본서기는 오히코노미코토가 고겐 천황의 큰아들이고 부황으로부터 장군으로 임명되었다고 기록하였다. 오히코노미코토를 포함하여 황족 네 명이 장군으로 임명되어 네 지역에 파견되었으므로 이들을 통칭하여 사도장군(四道將軍)이라고 한다. 그런데 금착명철검의 명문에는 오호히코를 두고 고겐 천황의 큰아들이니 장군이 되었다느니 하는 내용이 전혀 없다. 금착명철검을 제작한 시절에는 그런 천황의 존재가 없었다는 증거다. 또 스이제이 천황로부터 가이카 천황에 이르기까지 역대 천황들의 치세가 어떠했는지 내용이 전혀 없고 대관식 정도만 간략하게 기록한 이유는 이들이 역사적으로 실존하지 않은 천황들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5.2. 긍정론
역시 1978년 출토된 금착명철검을 예시로 든다. 오호히코노미코토가 '당연히' 고겐 천황의 아들이었기 때문에 따로 그런 내용이 새겨지지 않은 것이고 오호히코노미코토의 후세들이 8대에 걸쳐 기록된 만큼, 결사팔대는 실존했다는 증거가 이 금착명철검이라는 것이다. 또 치세의 기록이 완전히 결여된 것은 시진 천황 이후의 천황들의 기록에서도 사례가 있으므로, 부정설의 증거로 사용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제2~9대 천황의 기록이 사라졌다고 보는 설도 있다.또 시호의 경우에도 제2대·제3대·제5대 천황은 분명히 실명을 시호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한다. 일본식 시호 작법이 눈에 뜨이지 않음이 더더욱 그들의 실제성을 증명한다는 것이다.
진무 덴노~주아이 덴노까지 이어지는 제1왕조의 특징 중 하나는 근거지가 겹치는 사례가 스이닌-게이코의 마키무쿠 단 하나뿐이라는 점으로, 세이무 덴노와 주아이 덴노의 근거지는 키나이(畿內)(현 간사이 일대)조차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3세기 중반 한반도에서 대거 이주한 고분인들에 의해 고분 시대가 열린 뒤, 3세기 중후반 스진 덴노의 야마토 왕권이 형성되어 4세기 초반부터 확장을 거듭하기 시작하고, 4세기 중반 오진 덴노의 제2왕조를 통해 그 기조가 이어진다. 그러나 3~4세기 야마토 문화권은 동시대 마한, 진한, 가야의 소국들이 한 동네만 넘어도 다 다른 나라로 취급받듯 키나이 일대도 예외가 아니었다. 즉 사서에서 대왕이 바뀔 때마다 도읍을 옮겼다고 기록된 것과 달리, 실제로는 도읍을 옮긴 게 아니라 전부 다 다른 일대를 기반으로 한 호족, 즉 왕이었다는 것이다.
결사팔대가 실존 인물이 아니더라도 근거지가 다 다르다면 모티브가 되는 인물들은 있었을 것이다. 야마토 왕권이 성립된 3세기 중후반은 한반도에서도 군장 사회에서 고대 국가로 전환된 지 얼마 안 된 나라들이 많았던 시기로, 금관국이 대성동 고분군 세력을 중심으로 국가가 형성된 것이 3세기 중후반이라 시기가 거의 같다. 신라에서는 4세기에 활동했던 간(왕)들 중에 일부를 선정해 수백 년 전 앞의 인물로 배치한 것이 확인되는데, 고분 시대 성립 당시 야마토 각지에서 야요이 시대의 군장 사회를 넘어 금관국, 반파국, 안라국마냥 각지마다 호족(소국)이 형성되었고, 금관국-반파국-안라국이 가야 제국(諸國) 전체의 외교를 대표하기는 했지만 연맹보다는 가야 문화권 소국들의 대표였듯 야마토 왕권의 대왕 또한 6세기 초까지 야마토 문화권 내 소재한 호족(왕)들의 대표에 지나지 않았다. 따라서 대왕의 자리는 얼마든지 바뀔 수 있었고, 제2왕조까지 부자-형제가 아닌 듯한데 일계로 조작된 듯한 위화감이 드는 대왕들이 많은 것도 여기에서 근거한다.
결사팔대의 모티브가 되는 인물들이 스진 덴노의 조상이 아니라 고분 시대 성립기, 즉 3세기 중반에 각지에서 야마토 문화권의 소국들을 창설한 인물들이었고, 이들의 존재가 구전되어 제3왕조 시대 각지의 호족들이 후손을 자처하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고사기-일본서기-신찬성씨록에서 수많은 씨족이 결사팔대의 후손을 자칭했다고도 볼 수 있다. 스진 덴노와 동시대인이라 하더라도 스진 덴노의 대왕 자리는 어디까지나 야마토 문화권 내에 있던 왕들의 대표로 전성기 금관국-반파국-안라국 왕이 가야 외교 전체를 대표한 수준이었기 때문에 동시대 왕들이라도 아무 문제가 없으며, 오히려 스진 덴노가 왕들의 대표 자리를 맡았다는 시점에서 다른 야마토 왕들도 있었다는 뜻이기 때문에 다른 왕들이 있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이 경우 결사팔대는 '대왕'이 아닐 뿐 '왕'의 일원으로서 모티브가 되는 인물들이 있었다 볼 수 있고, 후대 씨족들의 자칭과 달리 막상 제2왕조 시대부터 이들의 근거지에 자리잡은 많은 씨족들이 결사팔대와 괴리된 양상을 보이는 걸 고려하면 제2왕조기 당시 이들의 근거지를 장악한 왕조가 대부분 교체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해당 지역의 왕가들에게는 '옛날에 이 동네에 이런 시조가 있었지'라는 것만 알고 있었을 것이므로 기록이 제대로 안 남은 건 어찌 보면 당연하다. 이 경우 스이제이, 안네이, 고쇼는 그나마 시조 전승이 많이 남아 본명 구전이 성공한 케이스고, 나머지는 '이 동네에 시조가 있던 건 확실한데 이름은 실전(失傳)되어 지어냈다'고 볼 수 있다.
[1] 금착(金錯)이란 어떤 기물에 홈을 파서 황금으로 글씨나 그림을 그려넣음을 말한다. 그러니까 '금착명철검'이란 명칭은 '금착 기법으로 글(銘)을 새긴 철검'이란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