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16:47:04

김해 대성동 고분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21e1f,#fff>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대성동 고분군

말이산 고분군

옥전 고분군

지산동 고분군

송학동 고분군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

{{{#!wiki style="margin: -15px -10px -15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colbgcolor=#315288> 김해 대성동 고분군
金海 大成洞 古墳群
Ancient Tombs in Daeseong-dong\, Gimhae
소재지 <colbgcolor=#fff,#1f2023> 경남 김해시 대성동 434번지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고분군
수량/면적 56\,762㎡
지정일 1991년 1월 9일
시대 금관가야시대
소유단체 김해시
관리단체 김해시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colbgcolor=#000> 가야고분군
Gaya Tumuli
Tumuli de Gaya
<colcolor=#fff> 국가·위치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경상남도 김해시
등재유형 문화유산
지정번호 1666
등재연도 2023년
등재기준 (iii)[1] }}}
파일:대성동고분군전경.jpg
김해 대성동 고분군의 전경

1. 개요2. 조사 내용
2.1. 주요 고분
3. 사적 제341호4. 여담5. 교통
5.1. 버스5.2. 도시철도
6. 관련 영상7. 관련 문서8. 외부 링크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에 위치한 금관국/금관가야의 고분군이다. 김해시의 중심지에 위치한 구릉에 고분군이 형성되었고, 주변으로 구지봉김해 회현리 패총, 분산성, 그리고 금관국의 궁성인 봉황토성 및 생활유적이 자리잡았다.

대성동 고분군이 있는 언덕의 옛 명칭이자 별칭인 애구지는 작은 구지봉 내지는 제2의 구지봉이라는 뜻이다. 문헌 기록에서 금관국의 성지로 나타나는 구지봉과 연관시킨다는 점에서 과거부터 이 언덕이 신성시되었고 그 전승이 이어져 내려왔음을 알 수 있다. 구지봉과는 약 600m 정도 떨어져 있다.

1991년 1월 9일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지정되었다.[2] 또한 2023년 9월 17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된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World Heritage Committee)[3]에서 경상남도·경상북도·전북특별자치도 등에 소재한 여러 가야계 고대 국가의 고분군들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 조사 내용

대성동 고분군은 1990년부터 2020년까지 총 10차례 발굴조사가 있었다. 확인된 무덤은 총 304기로 고인돌, 독무덤, 널무덤, 덧널무덤, 구덩식 돌덧널무덤, 돌방무덤 등 여러 시대 형식이 동시에 나왔다. 가야권 고분군치고도 초창기 무덤이 아주 잘 보존된 경우이다.

다소 독특한 것은 봉분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지속적으로 지금의 애꼬지(=애구지)라고 불리는 능선에만 중첩되어서 왕릉급 무덤이 연속적으로 축조되었다. 능선의 중심으로는 왕릉급 대형묘들이 있고 그 주변으로 능선의 사면 옆으로 위계가 낮은 고분들이 분포한다.

주로 구덩식 덧널무덤 같은 대형 무덤은 구릉 능선부의 좋은 자리에 위치한 반면 중소형 무덤들은 구릉의 사면과 주변 평지에 있어 지배계층의 묘역과 피지배계층의 묘역이 분리되고 있다. 지배계층의 초대형 덧널무덤은 모두 순장이 확인되는데, 고령 지산동 대가야 고분군처럼 수십 명씩 묻은 대규모는 아니고 몇 명을 같이 묻은 정도. 보통 도굴꾼은 값진 부장품을 노리므로 메인 덧널만 털고 가느라 현대 발굴로는 오히려 순장자 덧널에서 더 많은 정보를 알 수 있는 경우가 많았다. 순장 유골들을 조사해 본 결과 평균 키는 남성 155.7 cm, 여성 150.8 cm였다고 한다.

광개토대왕이 남정한 서기 400년으로부터 약 20년이 지난 시점부터 초대형급 무덤과 별도의 딸린 덧널이 더이상 만들어지지 않고 최대 규모가 줄어든다. 부장품도 전성기의 금동제장식마구와 왜계 위세품이 더이상 부장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 무렵부터 금관국이 쇠퇴했다고 추정한다. 부산대 학파는 광개토대왕의 남정이 직접적 계기가 되어 금관국이 쇠퇴한 게 아니며 전성기가 조금 더 이어졌다고 주장한다.

2.1. 주요 고분

3. 사적 제341호

국립김해박물관과 김해 수로왕릉 사이의 동서로 뻗은 구릉지대에 있는 가야의 무덤들이다. 길이 약 300m, 높이 20m정도의 구릉 지대로, 경사가 완만해 무덤이 있기에 매우 적합하다. 고분군에 인접하여 고분 박물관이 건립되어 있다.

발굴조사 결과 1∼5세기에 걸친 지배집단의 무덤 자리로 고인돌을 비롯하여 널무덤(토광묘), 덧널무덤(토광목곽묘),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 등 가야의 여러 형식의 무덤이 발견되었다. 구릉 주변 평지에는 1∼3세기 무덤이 밀집되어 있고, 구릉 정상부에는 4∼5세기 무덤이 밀집되어 있어, 삼한시대 구야국 단계에서 금관가야 시기까지의 무덤이 발견되고 있다.

덧널무덤은 나무판을 조립하여 널(관)을 만든 것으로, 이전에 통나무관을 이용하던 것에서 나무판널을 사용하는 시기로의 전환이 1세기경임을 보여준다. 유물로는 토기류와 철기류, 목류, 중국제 거울 등이 출토되었다.

우리나라 고대무덤 형식의 변화 과정을 보여주며, 중국제 거울이나 토기류에서 한·중·일의 문화교류 상황을 밝혀주고 있어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4. 여담

5. 교통

5.1. 버스

김해교육지원청 경유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일반
공영
}}}}}}}}} ||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
, 9.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2. 도시철도

6. 관련 영상


7. 관련 문서

8. 외부 링크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史蹟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파일:가야의상징이라고칩시다심볼할게없네.png 가야의 중심 고분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금관가야
(금관국)
김해 대성동 고분군
거칠산국 부산 복천동 고분군
부산 연산동 고분군
대가야
(반파국)
고령 지산동 고분군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
다라국 합천 옥전 고분군
아라가야
(안라국)
함안 말이산 고분군
소가야
(고자국)
고성 송학동 고분군
비화가야
비지국
창녕 교동 고분군
성산가야
벽진국
성주 성산동 고분군
하기문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6가야
6가야 이외의 가야
가야권 국가 자체의 논란이 있는 고분군
}}}}}}}}}

[1]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2] 처음 지정될 당시 사적 제341호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문화유산에 번호를 매기는 것이 유산의 중요도로 오인될 수 있음을 고려해 따로 번호를 매기지 않고 있다.[3] 2023년 9월 10일~9월 24일[4] 파형동기(巴形銅器)라고 한다. 88호분에서 13점, 13호분에서 6점, 2호분에서 1점, 23호분에서 2점이 출토되었으며 한국에서는 대성동 고분군 이외에서 출토되지 않았다.[5] 경남 FC의 엠블럼에 표현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