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19:42:14

일본의 어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bgcolor=#BD0029><nopad> 소재(↓) <bgcolor=#BD0029><nopad> 용도(→)
어소
<colbgcolor=#FFEFA7,#8D0038>
(없음)
(없음)
}}}}}}}}}}}}


[[일본 황실|
파일:일본 황실 금색.svg
일본 황실
관련 문서 · 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DCA600,#8C003B><colcolor=#FFF> 신위 천황 (역대 천황 · · 계보) · 황후 () · 황태후 · 태황태후 · 상황 () · 상황후 · 섭정 () · 황사 [황태자 · 황태손] · 황사비 \황태자비 · 황태손비] · 친왕 · 친왕비 · 내친왕 · · 왕비 · 여왕
칭호 어칭호 · 미야고(궁호)
분가 미야케(궁가) () · 구황족 ( · 가계도 · 계보 上 · · ) · 세습친왕가 ()
가계도 천황 계보 · 황실 가계도 · 구황족 계보 \ · · ] · 구황족 가계도 · 내정 가계도 · 아키시노노미야 가계도 · 미카사노미야 가계도 · 다카마도노미야 가계도 · 지묘인통과 다이카쿠지통
상징 십육엽팔중표국 · 니시키노미하타
거주 일본의 어소 () \[황거 · 교토 어소] · 일본의 이궁 ()
능묘 모즈·후루이치 고분군 · 쓰키노와능 · 후카쿠사 북릉 · 후시미모모야마능 · 무사시 능묘지
신화 신대 (역대 신 틀) \[아마테라스 · 지신오대 · 히무카 삼대] · 아라히토가미 · 이세 신궁 · 천양무궁의 신칙
의식 · 행사 즉위의 예 · 대상제 · 가가쿠 · 일반참하 · 황기 2600년 봉축곡
보물 삼종신기 () · 정창원
축일 기원절 · 천황탄생일
기년법 연호 () · 황기
제도 황실전범 \구 황실전범] · 황적이탈 ()
조직 궁내청 (역대 장관 틀) · 내대신부 (역대 내대신 틀) · 추밀원 (역대 의장 틀) · 황궁경찰본부 \[황궁호위관] · 황실회의 (의원 틀)
역사 결사팔대 · 남북조정윤론 · 다이카쿠지통 (계보) · 만세일계 · 북조 천황 () · 인세이 · 지묘인통 (계보) · 추존 천황 ()
교육 가쿠슈인 \[가쿠슈인대학]
문제 여성 천황 · 후계자 대책 }}}}}}}}}}}}



1. 개요2. 호칭3. 어소의 종류4. 역사
4.1. 아스카 시대 이전4.2. 아스카 시대4.3. 나라 시대4.4. 헤이안 시대~에도 시대4.5. 메이지 유신 이후(황거)

1. 개요

어소([ruby(御所, ruby=ごしょ)])는 일본에서 천황이나 황족 등이 거주하는 장소를 가리키는 호칭이다. 즉, 황궁을 뜻하는 단어이다.

2. 호칭

황거(皇居)란 황제가 거주하는 장소를 이르는 말로, 일본에서 황거라는 명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보편화되었다. 그 때문에 현재 천황이 머무르는 장소를 황거라고 호칭하고 있는 것. 어소(御所)는 천황이 거주하는 장소로서 각종 공식행사와 정무를 보는 궁전과 궁내청사 등이 황거에 있다.

교토 어소는 금리(禁裏), 내리(內裏) 등으로 불렸다. 교토에서 도쿄천도한 뒤 현재의 교토 어소라는 명칭으로 바뀌었다. 영어명은〈Kyoto Imperial Palace〉. 역사가 긴 곳이라서 헤이안 시대의 양식을 간직한 정전 자신전(紫宸殿)과 일상생활을 하던 어상어전(御常御殿) 등이 보존되어 있다.

동아시아에서 궁궐을 뜻하는 호칭이 매우 많았듯 일본에서도 천황이 머무르는 장소의 호칭이 많았다. 어소(御所)도 그 중 하나. 내리(內裏), 어소(御所), 대내(大內), 구중(九重), 궁중(宮中), 금중(禁中), 금리(禁裏), 황궁(皇宮), 황성(皇城,) 궁성(宮城)처럼 동아시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던 호칭도 있고 대내산(大內山), 백부(百敷), 자지정(紫之庭), 봉동(蓬が洞), 대궁(大宮), 운지상(雲之上), 운거(雲居) 등 일본 고유의 명칭도 있다.

3. 어소의 종류

4. 역사

궁()은 신분이 높은 사람의 주거의 의미로 출발하여 황실의 처소라는 의미로 압축되었다.

고대에는 천황의 처소를 궁이라 불렀다. 《고사기》와 《일본서기》에는 4세기~6세기에 걸쳐 궁전의 다수가 나라분지 동남쪽 대지에 조영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당시에는 천황이 바뀌면 궁궐을 새로 지었기에 천황 1명당 궁궐도 1개씩 존재하였다.

4.1. 아스카 시대 이전

기록상 이 시기 궁전들은 다음과 같다.

4.2.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관련 문서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BD0029> 역사 <colcolor=#212529,#E0E0E0>다이카 개신 · 다이호 율령
국가원수 천황
행정구역 야마토국 (아스카쿄 · 후지와라쿄) · 오기칠도
문화 시텐노지 · 아스카사 · 호류지 (호류지 금당벽화) · 다카마쓰 고분 · 성덕태자 초상화 · 육식 금지령
종교 신토 · 대승 불교
인물 쇼토쿠 태자 · 오노노 이모코 · 소가노 우마코 · 소가노 에미시 }}}}}}}}}

592년 스이코 천황이 즉위한 풍포궁([ruby(豊浦宮, ruby=とゆらのみや)])에서 694년 지토 덴노가 후지와라쿄로 천도하기까지 약 100년간, 나라의 남쪽 대지 아스카에 다수의 궁전이 조영되어 아스카쿄라고 불리었다. 이 시대 이름을 아스카에서 따와서 아스카 시대라 한다.

이 시기 궁전들은 다음과 같다. 볼드체는 아스카에 위치하였던 어소이다.
이 시대 궁은 지면에 구멍을 파 기둥의 뿌리를 고정시킨 굴립주 건물이다. 이 중 7세기 이후의 건물에서는 남향을 정면에 둔 중심건물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참고로, 비조강본궁(飛鳥岡本宮) 비조판개궁(飛鳥板蓋宮), 비조정어원궁(飛鳥浄御原宮)은 이름만 다른 같은 궁궐이다.

4.3. 나라 시대

중국 당나라율령제를 들여와 그 형식으로 도읍을 조영했고, 천황은 도읍 중 내리(內裏)에 터를 잡아 궁으로 삼았다. 694년에 조성된 등원궁([ruby(藤原宮, ruby=ふじわらのみや)])은 본격적인 중국식 궁성의 시작이었으며, 이후 710년에 나라로 천도하면서 국정을 총괄하는 평성궁 조당원([ruby(平城宮, ruby=へいぜいきゅう)] [ruby(朝堂院, ruby=ちょうどういん)])을 비롯하여 중앙관아는 내리에 함께 두었고, 이들을 아울러 궁성(宮城)이라고 불렀다. 또한 이 시기부터 궁궐이 고정되기 시작한다. 이 시대 이름을 나라에서 따와 나라 시대라 한다.

이 시기 궁전들은 다음과 같다.

4.4. 헤이안 시대~에도 시대

794년 간무 천황은 나가오카쿄에서 헤이안쿄로 천도한다.

960년 궁이 소실되었고, 궁이 재건될 때까지 냉천원(冷泉院)을 임시 궁으로 삼았다.

976년 다시금 궁이 소실되어 후지와라노 가네미치의 저택 굴하전(堀河殿)을 임시 궁으로 삼았다.

헤이안쿄의 궁은 자주 소실되었기 때문에 중신과 외척 등의 저택을 임시 궁으로 삼는 일이 많았다. 그래서 헤이안 말기부터는 궁과 임시 궁을 별도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1227년 궁성이 소실되자 궁을 재건하지 않고 중신의 처소를 임시 궁으로 삼아 전전하였다.

남북조 시대인 1331년 북조 코곤 천황이 북어문 동동원전(北御門 東洞院殿)에서 즉위식을 갖고 궁으로 삼았다. 이후 궁은 북어문내리(北御門內裏)라고 불리었고 이 장소가 현재의 교토 어소이다.

이 시기 궁궐은 다음과 같다. 사실상 특수한 시기를 제외하면 전부 교토 어소가 어소로 작용하였다.
이하 남조. 공식적으로는 남조가 정통이었으며, 이 시기에도 정궁은 교토 어소였다.

4.5. 메이지 유신 이후(황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황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기록유실로 인해 언제 천도했는지 알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