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축함에 대한 내용은 충무함 문서 참고하십시오.
현대 대한민국 해군 함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1B69><colcolor=white> 잠수함 | <colbgcolor=#001B69><colcolor=#fff> SS | 장보고급, 손원일급, 도산안창호급, {KSS-III Batch-II} |
SSM | 비둘기/갈매기급정·R, 돌고래급R, 참고래나포·R, 가자미급나포, 범고래급정 | ||
SSN | |||
항공모함 | |||
아스널십 | {합동화력함} | ||
구축함 | DDG | 세종대왕급, {정조대왕급}, {KDDX} | |
DDH | 광개토대왕급, 충무공이순신급 | ||
DD | 충무급R, 충북급R, 대구·인천R | ||
호위구축함(DE) 고속수송함(APD) | 경기·강원R, 충남급R, 경남·아산R, 경북·전남R | ||
호위함 | FFG | 인천급, 대구급, {충남급}, {FFX Batch-IV} | |
FF | 울산급 | ||
PF | 두만강급R | ||
초계함 | PCC | 동해급R, 포항급 | |
경비함정 (PG, PCS, PC, PCE) | 충무공 313·315R, 수성급R, 백두산급(백두산함)R, 노량급R, 거진R, 신성급R | ||
유도탄고속함 | PKG | 윤영하급 | |
PGM | 백구/검독수리급R | ||
PKMM | 기러기 121·122R | ||
고속정 | PKM PKMR | 기러기 123R, 기러기/참수리급 참수리 211급 | |
PB SB FB PK | 올빼미급R 보라매급R 독수리급R 제비급R | ||
PT | 갈매기급R | ||
상륙함 | LPH | 독도급 | |
LST-II (LSD) | 천왕봉급 | ||
LST | 천안/용화급R, 안동R, 용비급R, 운봉급R, 고준봉급 | ||
LSM LSMR | 대초급R 시흥R | ||
상륙정 | LSF | 솔개 611R, 거북이 613급정·R, 솔개 621급, 솔개 631급 | |
LCU | 물개급 | ||
LCI LSSL | 서울/천안급R 영흥만급R | ||
기뢰부설함 | LSML MLS | 풍도·울릉R 원산, 남포 | |
소해함 | MSC MHC MHS | 금산급R, 남양급R 강경급 양양급, {MSH-II} | |
소해정 | YMS JMS AMS | 금강산/강진급R 대전급R 금화급R | |
군수지원함 | AOE | 천지급, 소양급 | |
수상함구조함 | ARS ATS | 창원·구미R 평택·광양R, 통영·광양 | |
잠수함구조함 | ASR | 청해진, 강화도 | |
훈련함 | ATH | 한산도 | |
정보함 | AGS | 신천지R, 신세기, 신기원, {AGX-III} | |
잠수정모함 | ASL | 남양정·R, 다도해R | |
수리함 | ARL | 덕수R | |
수송함 | AKL | 부산·인천/제물포R, 원산급R, 군산/천수급R | |
유조함 | YO AO AOR | 구룡R 천지·부전/부천R, 백연/화천R, 청평R 소양·진양R | |
예인함 | ATA | 인왕R, 용문R, 도봉R | |
전투근무지원정 | 전투정 | 다목적훈련지원정(MTB), 항만경비정(YUB/HP), 항만수송정(YF), {특수전지원함·특수침투정} | |
근무지원정 | 숙영지원정(QB)R, 냉동정(RCM)R, 고속정지원정(YPK-A), 잠수지원정(DB), 구조지원정(YDT), 항무지휘정(YSB/HCB), 예인정(YTL), 기중기정(YD), 청소정(OS), 청수정(AWT/YWS), 항무지원정(LCM/HUB), 헬기이착함훈련지원정(YHE) | ||
기타 | 단정, 주정 | 고속단정(RIB), 인원이송상륙주정(LCP), 상륙주정(LCVP), 고속상륙주정(LCM) | |
유인기 | 심해구조잠수정(DSRV) | ||
무인기 | 수중무인탐사기(ROV), 무인기뢰처리기-II(MDV), {무인잠수정(UUV)}, {무인수상정(USV)} {무인전력지휘통제함} | ||
타기관 함정 | 육군, 국과연 | 육군경비정육, 교량 가설 단정육, 선진과·R, 지심과, 미래과, 청해과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취역 예정 함정 ※ ※ 윗첨자정: 국군정보사령부 소속 함정 ※ 윗첨자육: 대한민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과: 국방과학연구소 소속 함정 ※ 윗첨자나포: 적으로 부터 나포한 함정 | |||
※ 둘러보기: 대한민국 해군 취역·퇴역 함정 일람 | 한국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1. 개요
PG-313 충무공함은 충무공급 초계정 1번함으로 한국해군이 최초로 건조한 배이다.2. 설명
일본이 2차 세계대전에서 패망 및 그로부터 3년 뒤인 1948년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대한민국 국군이 창설되었으나 해군에는 변변한 함정이 한 척도 없었다.[1]이와중에 진해해군 공창에 건조중 일본의 항복으로 건조가 덜 된채 방치된 어뢰운반선 역의 잡역 경비정 한척을 해군이 진해기지를 인수받으면서 발견했다. 이 함은 본래 1944년 9월 14일 일본이 운영하던 진해 공창에서 착공돼 어뢰발사기 4문과 5톤짜리 기중기를 갖춘, 비행기 구조 겸 어뢰 발사 및 운반용 함정으로 설계됐지만 일본의 패망으로 제작이 중단된 것이다.
이에 손원일 제독은 조선해안경비대[2] 기술진으로 꾸린 조함창은 1946년 7월 15일 다시 이 함정의 건조에 착수했다. 당시는 골격, 즉 용골 정도만 있을 뿐이어서 조함창으로서는 새로운 함정을 만드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조함창 기술진은 밤낮을 잊은 채 구슬땀을 흘려 7개월 만에 건조를 완료했다. 이로써 우리 손으로 만든 최초의 군함이 탄생했다.
이렇게 완성된 것이 본 문서의 '충무공함'이다. 비록 배수톤수 287톤, 길이 46.6m, 폭 6.7m, 최고속력 13노트에 불과한 경비정이었지만, 손원일 총사령관은 이듬해 2월 7일 이 경비정을 '충무공 이순신'의 시호에서 따와 '충무공정'이라 명명했고, 태극기를 게양, 초대 정장에 박홍철 중위, 부장에 함명수 소위를 임명했다. 이후 1947년 2월 7일 해군사관학교 1기 졸업식과 병행해 명명식을 개최함으로써 국민에게 첫선을 보였다.
충무공정은 다음 날 손원일 총사령관과 진해기지 장병을 태우고 진해에서 출발, 통영의 충렬사에서 참배하고 한산도에 돌아오는 기념적인 첫 항해를 했다.
공식적으로는 ‘정(艇)’급이었지만 해군의 전신인 ‘조선해양경비대’는 국내에서 건조한 첫 번째 함정이자 국내 최초의 기함(旗艦)인 만큼 지휘관 호칭을 ‘정장’이 아닌 ‘함장’으로 격상해 불렀다. 이 같은 호칭은 충무공정이 퇴역할 때까지 이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6.25 전쟁 중에는 기함 역할이 미제 PC-461급 구잠함인 백두산함과 동급인 PC-703 삼각산함으로 옮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