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20:55:25

콘돌리자 라이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c224,#db9e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토머스 제퍼슨 에드먼드 제닝스 랜돌프 티모시 피커링 존 마셜
<rowcolor=#ffc224,#db9e00>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임스 매디슨 로버트 스미스 제임스 먼로 존 퀸시 애덤스
<rowcolor=#ffc224,#db9e00>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헨리 클레이 마틴 밴 뷰런 에드워드 리빙스턴 루이스 맥래인
<rowcolor=#ffc224,#db9e00>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존 포시스 대니얼 웹스터 에이벌 P. 업셔 존 C. 칼훈
<rowcolor=#ffc224,#db9e00>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임스 뷰캐넌 존 M. 클레이턴 대니얼 웹스터 에드워드 에버렛
<rowcolor=#ffc224,#db9e00>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윌리엄 L. 마시 루이스 카스 제레미아 S. 블랙 윌리엄 H. 수어드
<rowcolor=#ffc224,#db9e00>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엘리후 B. 워시번 해밀턴 피시 윌리엄 M. 에버트 제임스 G. 블레인
<rowcolor=#ffc224,#db9e00>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프레드릭 T. 프레링후이슨 토머스 F. 바야드 제임스 G. 블레인 존 W. 포스터
<rowcolor=#ffc224,#db9e00>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월터 Q. 그레셤 리차드 올니 존 셔먼 윌리엄 R. 데이
<rowcolor=#ffc224,#db9e00>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존 헤이 엘리후 루트 로버트 베이컨 필랜더 C. 녹스
<rowcolor=#ffc224,#db9e00>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윌리엄 J. 브라이언 로버트 랜싱 베인브리지 콜비 찰스 에번스 휴스
<rowcolor=#ffc224,#db9e00>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프랭크 B. 켈로그 헨리 L. 스팀슨 코델 헐 에드워드 스테티니우스 주니어
<rowcolor=#ffc224,#db9e00>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제임스 F. 번즈 조지 C. 마셜 딘 애치슨 존 포스터 덜레스
<rowcolor=#ffc224,#db9e00>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크리스찬 허터 딘 러스크 윌리엄 P. 로저스 헨리 키신저
<rowcolor=#ffc224,#db9e00>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사이러스 밴스 에드먼드 머스키 알렉산더 헤이그 조지 P. 슐츠
<rowcolor=#ffc224,#db9e00>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임스 베이커 로렌스 이글버거 워런 크리스토퍼 매들린 올브라이트
<rowcolor=#ffc224,#db9e00>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8대
콜린 파월 콘돌리자 라이스 힐러리 클린턴 존 케리
<rowcolor=#ffc224,#db9e00> 제69대 제70대 제71대
렉스 틸러슨 마이크 폼페이오 토니 블링컨
}}}}}}}}} ||

미합중국 제66대 국무장관
콘돌리자 라이스
Condoleezza Rice
파일:Rice_Condoleezza.jpg
<colbgcolor=#172172><colcolor=#ffc224> 출생 1954년 11월 14일 ([age(1954-11-14)]세)
미국 앨라배마 주 버밍햄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직업 정치인
재임기간 제66대 국무장관
2005년 1월 26일 ~ 2009년 1월 20일
서명
정당

종교 개신교 (장로회)
학력 St. Mary's Academy (졸업) (-1971년)
덴버 대학교 (정치학과 / 학사) (1971년-1974년)
노터데임 대학교 (석사) (1974년-1975년)
덴버 대학교 (박사) (-1981년)
경력 스탠퍼드 대학교 교무처장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국무장관

1. 개요2. 생애3. 평가
3.1. 이라크 전쟁 과정의 행적
4. 기타5. 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1954년 11월 14일생으로 미국국무장관을 지낸 정치인이다. 콜린 파월의 뒤를 이어 2기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지냈으며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로는 콜린 파월에 이어 2번째, 여성으로서는 매들린 올브라이트에 이어 2번째 국무장관이었다. 공화당 소속이다.

콘돌리자는 미국에서 흔하지 않은 이름이라 "콘디 라이스"라는 애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2. 생애

인종차별이 만연한 미국 남부의 앨라배마 주 버밍햄 출신이다. 콘돌리자라는 이름은 음악 용어인 이탈리아어 Con dolcezza(부드럽게 연주할 것)에서 따 왔다. 아버지는 목사였고 어머니는 교사였다. 초등학교 동창생이 백인 우월주의자들의 테러에 의해 죽기도 하였다. 아버지가 덴버 대학교에서 일하게 되어 콜로라도 주 덴버로 이주하여 성장했다.

아버지의 직장인 덴버 대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주로 소련을 연구하였고 러시아어체코어에 능통하였다. 스탠퍼드 대학교의 정치학과 교수로 임용되어 교편을 잡아서 소련관련 강의를 하다가, 소련통으로 인정받아 조지 H. W. 부시 대통령 시절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에서 소련 및 동유럽 담당 보좌관으로 재직했다. 덕분에 당시에 진행되고 있던 동유럽의 공산권 붕괴, 소련 해체를 비롯한 냉전 종식을 정책 일선에서 경험할 수 있었다.

이후 스탠퍼드 대학교로 복직, 부총장을 지냈다. 아들 부시 대통령 시절에는 1기에는 국가안보 보좌관을 지냈고, 2기에는 사퇴한 콜린 파월의 뒤를 이어 국무장관이 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ndoleezza_Rice_Colin_Powell_George_W._Bush_Donald_Rumsfeld.jpg
국가안보보좌관 시절. 가장 왼쪽이 콘돌리자이며 오른쪽으로 콜린 파월 당시 국무장관, 조지 W. 부시 대통령,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이다.

2020년 미국 대선에서 조지 W. 부시콘디 라이스의 이름을 적어 냈다고 한다. 라이스도 이를 알고 있는데 농담삼아 자기가 대통령에 당선되도 그 자리를 수락하지 않을거라 했다고. 이런걸 보면 이래 저래 일이 많았지만 아직도 부시와 잘 지내는듯 하다.[1]

3. 평가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 국가안보보좌관, 국무장관을 차례로 역임하며[2] 부시 행정부 외교안보 정책을 대표했던 인물로 평가받는다.[3] 하지만 그 반대급부로 부시 행정부가 저질렀던 대외정책상의 여러 실책들에 대한 책임자로 비판받는 대가도 치르고 있다. 기본적으로 그의 전문 분야는 러시아 등 동유럽쪽으로 냉전기에는 가치를 인정받기에 좋았지만, 부시 행정부는 9.11 테러와 이라크전 등 중동에서의 테러 문제가 대외정책상 우선순위로 부각되었고, 여기서 라이스의 역량 부족이 드러난 셈이었다.

국무장관 시절 새로운 외교가 필요하다며 변환 외교(Transformational Diplomacy)을 개념으로 제시, 주장했다. 이라크전처럼 미국이 무력 개입까지 불사하며 테러 지원 세력과 소위 불량 국가(rogue states)들의 정권교체를 강제하여 패권을 공고히 해야 한다는 게 골자. 한마디로 네오콘식 외교를 옹호하고 나섰던 것. 하지만 뉴욕 타임즈의 엘리자베스 버밀러는 변환외교의 이상이 외교 현실을 견디지 못하고 좌초했다며 탁상공론으로 결론지었다. 그나마 이는 점잖은 평가로 워싱턴 포스트의 글렌 케슬러는 대놓고 장관 장관 취임 직후 자신만의 차별화되는 외교를 갈망하던 라이스가 전통적 외교를 벗어나려다 대학을 갓 졸업한 인턴 수준의 아이디어를 냈다고 평가절하했다.

이상돈 교수는 8년동안이나 요직인 국가안전보좌관 및 국무장관으로 재직했음에도 뚜렷하게 보여준 성과가 없으며 이라크 전쟁에 책임을 지려고 하지도 않는다며 그를 미국 역대 최악의 외교관 중 하나라고 비판한 바 있다.[4]

3.1. 이라크 전쟁 과정의 행적

전쟁이 준 기회를 놓치지 말자
이라크 전쟁의 대표적인 찬성자였다. 부시 행정부가 국민을 오도해 이라크 전쟁을 일으켰다는 비판에 대해 "전쟁을 할 만한 이유가 있었다"고 변론을 하였다. #

이라크 전쟁에 대해 전술적 실수만 있을뿐 전략적 판단은 옳았다고 강변했지만,[5] 전 영국 외무장관 더글라스 허드는 콘돌리자 라이스의 주장에 대해 정당화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라크 전쟁의 문제점, 이후 전후 처리문제로 이라크가 이라크 내전으로 접어들자 현실부정을 시전하며 “이라크가 내전으로 빠져들고 있다는 주장은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때 피터 페이스 합참의장과 존 아비자이드 중부군 사령관이 상원 청문회에서 ‘이라크 내전’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해 워싱턴 정치권에 충격을 줬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서도 이라크 전쟁은 명분과 침공을 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 명확해지면서 갈수록 거센 비판이 일었다. 결국 이 일로 연설 사례금 3만5천 달러를 지급받기로 한 대학 졸업식 축사에서도 이라크전쟁을 찬성한 정치인 따위가 연설을 해서는 안된다는 반발이 커져 학생, 교수간의 갈등으로 커지자 스스로 초청 거절의사를 밝혔는데 그와중에서도 나라를 위해 봉사한 것을 영예롭게 생각한다며 이라크 전쟁을 찬성한 과거를 변명했다. #

엘리자베스 버밀러 뉴욕 타임즈 기자가 쓴 ‘Condoleezza Rice: An American Life (콘돌리자 라이스: 한 미국인의 삶)’의 작가 또한 콘돌라스의 장점들에 대해 분명하게 호평하면서도 콘돌리자의 이라크 전쟁 관련 책임에 대해서는 "거의 맹종에 충성심은 결국 재능있고 야심찬 한 여성의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거론하며 라이스 장관은 부시 대통령 1기 당시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내면서 이라크의 대량파괴무기 관련 정보에 대해 일체의 의혹도 제기하지 않아 결국 미국을 이라크 전쟁의 늪에 빠지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지적했다. #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 밑에서 3년 간 백악관 대변인으로 일했던 '부시의 입' 스콧 매클렐런 전 백악관 대변인은 콘돌리자 라이스 당시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 등 측근들도 이라크 침공이 낳을 엄청난 결과를 제대로 설명하지 않은 채 부시의 전쟁 결심을 부추겼으며, 이라크 침공과 WMD 정보 왜곡 등 자신의 책임 하에 일어난 일들에 대해서도 교묘하게 책임을 면하는 놀라운 능력을 지닌 인물이라고 기술하며 역사의 가혹한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까지 평가했다. 실제로 이라크 전쟁은 오늘날 실패한 전쟁이라는 평가를 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4. 기타

5. 매체에서



[1] 조지 W. 부시는 인간성 하나는 좋아서 아직도 딕 체니, 칼 로브 등 자신의 정권에 있었던 사람과 친하게 지내는걸로 유명하다.[2] 이러한 경력은 1970년대 미국 외교를 주름잡았던 헨리 키신저가 역임했던 경로를 그대로 재현한 것이었다.[3] 콜린 파월은 부시 행정부의 1기 국무장관을 끝으로 공직을 떠났고, 럼즈펠드 국방장관은 2006년 중간선거 패배 직후에 경질되었다. 부시 행정부의 외교안보 인사들 가운데 8년 임기를 끝까지 함께 했던 인물은 라이스가 사실상 유일했다.[4] 이상돈은 리처드 닉슨, 제럴드 포드, 로널드 레이건 등 공화당 대통령들을 고평가하는데 조지 W. 부시만큼은 아주 강력하게 비판한다.[5] 시간이 지나면서 정 반대의 평을 듣는다. 이라크 전쟁은 오히려 전술적으론 과연 미군이라는 평을 들을 정도로 3주만에 바그다드를 함락시키며 후세인 정권을 제거했지만, 명분없는 전쟁으로 미국의 이미지를 추락시키고, 전후 통제에 실패 이라크 내전,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의 준동의 원인중 하나라고 평을 받는등 전략적으로는 엄청난 판단착오임이 드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