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トヨタ・クイックデリバリー |
1. 개요
일본의 자동차 제조사인 토요타에서 1985년에 배달용으로 출시한 소형 트럭.2. 모델별 설명
2.1. 1세대 (1982~1985)
|
퀵딜리버리 1세대 |
토요타자동차가 야마토운수의 요청에 의해 내놓게 된 스텝밴 형태의 차량이다. 토요타 다이나와 토요에이스, 토요타 하이에이스와 플랫폼을 공유하는 차량이다. 후륜구동 혹은 4륜구동 방식으로 차량이 구동된다고 한다. 승차정원은 2인승이며, 운전석 시트가 있고, 조수석 시트는 낚시의자 크기의 접이식 시트이다.
타미야 모형에서 1983년 1/24 프라모델로 출시했다. #
2.2. 2세대 (1985~1999)
|
퀵딜리버리 100 2세대 |
|
퀵딜리버리 200 2세대 |
1985년 12월 1세대의 마이너체인지 모델로 출시되었다. 종전의 100(1.25톤)과 함께 200(2톤) 모델도 새롭게 출시되었으며 1987년에는 4륜구동 옵션도 추가되었다. 1995년 배출가스 기준의 개정으로 100은 2.8L, 200은 3.4L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토미카에서 1995년 다이캐스트로 출시했다. 당시 번호는 93호로 현재는 단종되었다.
2.3. 3세대 (1999~2016)
|
퀵딜리버리 3세대 |
1999년에 풀체인지 모델로 출시되어 쭉 생산되다, 2011년에 일반용이 단종되고 모두 야마토 운수용 차량만 생산됐다.
2016년에 야마토 운수용 차량도 모두 단종되고 퀵딜리버리의 빈자리는 기존에 있던 라인업인 다이나가 채워넣었다.
3. 기타
항공자위대 소속 토요타 퀵딜리버리 2세대
일본 자위대에서 사용하는 민수용 차량들 중 하나이다. 자위대 특유의 무광 카키색으로 도색한 것이 특징이며, 유틸리티 정비차량으로 사용한다는 듯.
한국의 토요타 퀵딜리버리
한국에도 일부 개체가 등록되어 있는데, 제주도에 번호판이 말소된 분홍색 개체 한 대[1][2]와, 전라북도 마이산 입구에 하늘색 개체 한 대가 존재하고 있다.[3] 현재까지 확인된 한국의 퀵딜리버리들은 번호판이 말소된 상태로 방치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경쟁차량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5951><tablealign=center>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6px; min-width:3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차급 | 판매 차량 | 단종 · 판매 중단 차량 |
경차 | 픽시스 밴 · 픽시스 트럭 · 픽시스 에포크 | 포르테 · 픽시스 메가 · 픽시스 조이 | |
세단 | 미라이 · 캠리 · 프리우스/프리우스 PHV · 코롤라 악시오 | 마크 Ⅱ · 코로나 · 코르사 · 아발론 · 프로나드[OT] · 프로그레 · 오리진 · 플라츠 · 셀시오 · 카디나 · 벨타 · 어벤시스 · 마크 X · EXiV · 프레미오 | |
왜건/해치백 | 프리우스 알파 · 아쿠아 | 이스트 · 블레이드 · 오리스 | |
스포츠카 | 86 · GR 수프라 | 소아라 · 사이노스 | |
SUV | 해리어 · C-HR · 라이즈 | 카미 · 러시 · 하이럭스 서프 · 뱅가드 | |
MPV | 알파드 · 에스콰이어 · 시엔타 | 오파 · 입섬 · 마크 X 지오 · 락티스 · 탱크 | |
LCV/상용차 | 석시드 · 저팬 택시 | 그랜드 하이에이스 · 투어링 하이에이스 · 석시드 왜건 · 레지우스 | |
오사카 토요페트 한정 | 토요타 하이에이스 왜건/밴/커뮤터 · 다이나/토요에이스 · 랜드 크루저 · 랜드 크루저 프라도 · 코스터 · 하이메딕 | 센추리 · 크라운 · 브레비스 · 알리온 · 하이럭스 서프 · 에스티마 · 이시스 · 퀵딜리버리 | |
| |||
| |||
| |||
다이하츠의 차량 | |||
히노의 차량 | |||
사이언의 차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