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15:47:15

13 공포증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에 대한 내용은 13 공포증(매직 더 개더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공포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DD,#555> 숫자, 기호, 단어 <colcolor=#000,#ccc>4 · 8 · 13 · 17 · 666 · · · 일부 수학기호(π, 등) · 길이가 긴 단어
인물 (외적) 광대 · 노인(틀딱) · 대인 · 사회 · 아동() · 외국인(백인, 유대인, 흑인 등) · 정치인 · 창녀 · 코미디언
인물 (내적) 공산주의자 · 기독교도 · 무슬림 · 무신론자 · 사탄주의자 · 채식주의자 · 페미니스트
성적 지향, 젠더 남자 · 동성애자(게이, 레즈비언) · 아동성애자 · 양성애자 · 여자 · 트랜스젠더
공간 거대 · 고소 · 광장 · 무대 · 비행 · 심해 · 폐소(밀실, 어둠) · 학교 · 화장실
행동 고독 · 고문 · 공포 · 구토 · 배움 · 스마트폰 금지 · 전화 · 죽음(사형, 살인 등) ·
대상 귀신 · 시체 · 적색육(개고기, 고양이고기, 인육 등) · 첨단(가위, 주사기, 등) · · 화학 · · 히잡
동물 대상 · 거미 · 다지류(돈벌레, 지네) · 맹수(사자, 호랑이 등) · 바퀴벌레 · · · 벌레 · 상어
}}}}}}}}} ||

1. 개요2. 원인3. 사례4. 관련 문서

1. 개요

Triskaidekaphobia[1]

이탈리아를 제외한 서양에서 숫자 '13'을 불길하게 생각하여 13에 대한 공포를 느끼는 것으로 중세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13일의 금요일에 대한 공포증은 'Friggatriskaidekaphobia' 로 부른다.

2. 원인

주로 13일의 금요일이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12보다 1 큰 수이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더 많다. 흔히들 기독교예수가 죽은 날이라고 한다.

3. 사례

4. 관련 문서


[1] 발음은 [ˌtɹɪskaɪdɛkəˈfəʊbi.ə\] '트리스카이데카포비아'다. 열셋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τρεισκαίδεκα(트레이스카이데카)에 공포증을 뜻하는 phobia가 결합되었다.[2]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는 어느 아파트 단지에는 4동은 당연히 없고 13동도 없는(!) 곳이 있다.지도 보기[3] 이 경우 12층에서 바로 14층으로 간다.[4] 모든 서양권이 그렇진 않고 예외적인 케이스로 등번호 13번이 선호받는 경우는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독일 대표팀에서 13번은 에이스의 번호로 게르트 뮐러, 미하엘 발락, 토마스 뮐러가 대표적이다.[5] 4자 금기 때문에 4번뿐 아니라 44번, 244번도 없는 것과 달리, 113번은 있다.[6] 퇴근시간대 만원 열차가 제동불량으로 종점인 스미노에코엔역을 50m 지나쳐 선로 단말에 충돌하는 사고가 일어나 무려 217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사진[7] 원래대로라면 'Moses und Aaron'으로 표기해야 한다.[8] 그런데 점쟁이가 그에게 '7+6=13'이니 76세에 조심해야 한다고 조언한 적이 있다.[9] 그런데 그의 사망일은 7월 13일로, 심지어 요일도 금요일이었다. 그는 한평생 13이란 숫자를 노이로제 수준으로 두려워하고 기피했지만 결국 13일의 금요일에 숨을 거두고 말았다.[10] 일본항공은 A350-900을 총 16대 도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