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
세계관 |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 |
상징 | 법륜 · 卍 | |
경전 | 불경 · 결집 | |
종파 |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 |
계율 | 5계 · 오신채 | |
사원 | 절(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 |
미술 | 불상 · 불화(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 |
법구 |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 |
의식 | 수계 · 예불 · 불공(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재(49재) · 참선 · 사경 | |
문화 | 법회(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 |
불자 | 승려(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 |
기타 | 가부좌 · 사리 · 파계(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 |
[clearfix]
1. 개요
팔정도(八正道) 또는 팔성도(八聖道)란 불교의 가르침 가운데 핵심으로, 석가모니가 가장 먼저, 또한 가장 마지막에 설법한 수행법으로 알려져 있다. 팔리어 원어로는 '아리요 아탕기꼬 막꼬(Ariyo-aṭṭhaṅgiko-maggo)'라고 하는데, 각각 '아리요(ariyo)'는 '성스러운', '막꼬(maggo)'는 '진리' 혹은 '도', '아탕기꼬(atthangiko)'는 '여덟 갈래'라는 뜻이다.불교입문맹세에도 포함되며, 불교의 상징 가운데 하나인 법륜(다르마차크라)의 여덟 개 가지 역시 팔정도를 상징한다.
2. 구성
팔정도는 다음 여덟 가지의 덕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빤나(지혜)
- 정견(正見: Samma-ditthi; right view): 올바른 시각(견해, 입장).
- 정사유(正思惟: Samma-sankappa; right thought): 올바른 의도(생각).
- 시라(윤리)
- 정어(正語: Samma-vaca; right speech): 올바른 말.
- 정업(正業: Samma-kammanta; right action): 올바른 행위.
- 정명(正命: Samma-ajiva; right livelihood): 올바른 생활(생계).
- 사마디(집중)
- 정정진(正精進: Samma-vayama; right effort): 올바른 수고로움(노력).[1]
- 정념(正念: Samma-sati; right mindfulness): 올바른 알아차림.
- 정정(正定: Samma-samadhi; right concentration): 올바른 집중.
3. 여담
- 동국대학교가 조계종 종립 학교이다 보니 학교 휘장에도 팔정도를 형상화한 도안이 그려져 있으며 학교 중앙부에 위치한 광장의 이름도 여기서 따왔다. 광장에서 뻗어나가는 갈림길 또한 그 이름에 걸맞게 8개다. 다소 고풍스러워 보이는 휘장을 대체하기 위해 새로 만든 로고도 D자로부터 8개의 빛이 새어나가는 형상임을 알 수 있다.
- 불교와는 전혀 관련없어 보이지만 입자물리학에서 팔정도는 쿼크로 이루어진 강입자(메손과 바리온) 분류법의 이름이기도 하다. 쿼크의 발견자인 머리 겔만이 8개의 입자를 전하와 기묘도로 분류하고 불교의 팔정도에서 따온 'Eightfold way'라고 명명한 것이 시초이며, 쿼크 모형의 발전에 공헌했다.
[1] 간혹 "정근"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