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c0c0c0,#1f2023>라이즈 오브 네이션즈에 등장하는 국가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대륙 | 오리지널 | 확장팩 | ||||||||
아메리카 | 마야 | 아즈텍 | 잉카 | 라코타 | 미국 | 이로쿼이 | |||||
아시아 | 몽골 | 일본 | 중국 | 터키 | 한국 | 인도 | 페르시아 | ||||
아프리카 | 누비아 | 반투 | 이집트 | ||||||||
유럽 | 그리스 | 독일 | 러시아 | 로마 | 스페인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포르투갈※ | ||
※: 세계정복 캠페인(신대륙 발견) 전용 플레이 가능 국가. |
1. 개요
게임 라이즈 오브 네이션즈에 등장하는 프랑스에 관해 서술한 문서.2. 특성
뛰어난 통솔력의 힘.- 요새를 건설할 때마다 장군 1명을 무료로 받는다.
- 숨은 효과로 장군의 에너지가 2배 빠르게 회복된다.
- 보급 차량이 부대를 치료한다.[1] 공성 무기 제조소나 공장을 건설할 때마다 보급 차량 1대를 받는다.
- 공성 무기 제조소 및 공장의 유닛 생산 비용이 15% 적게 들고 생산 속도도 25% 빠르다. 생산된 유닛은 다른 국가의 같은 종류의 유닛보다 이동 속도가 20% 빠르다.
- 게임을 시작할 때부터 제제소를 소유하고 제제소에서 파생되는 자원 관련 기술을 무료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벌목장 주민 슬롯이 1 늘어난다. 목재의 상업 한계치가 10% 높다.
나폴레옹이 나폴레옹 전쟁에서 그의 전술과 병참술로 유럽 전역을 뒤흔든 것이 설정 배경이다. 나폴레옹의 통솔력에 영향을 받은 탓인지 장군을 확보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전반적으로 보조 유닛들인 요새와 공성 무기 제조소 및 공장에서 생산되는 유닛에 관한 보너스가 주된 특성이다. 공성 무기 제조소 건물에서 생산되는 유닛의 이동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다른 병사들에게 쉽게 뒤처지지 않으면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보급 차량이 아군 및 동맹군을 치료하는 것이 프랑스의 가장 큰 장점이다. 참고로 불가사의 베르사이유 궁전을 건설하면 프랑스처럼 보급 차량이 부대를 치료할 수 있으나, 프랑스는 중첩시킬 수 있다.
경제적으로는 목재에 대한 이점도 있는데, 역사적으로 보급 및 공성 유닛을 생산하는 데에 목재가 많이 쓰였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이 반영된 듯하다. 일단, 벌목장이 더 많은 주민 자리가 있고, 강화하는 제제소 하나 가지고 시작하며 업그레이드도 무료다. 거기에 이 나무를 전부 얻을 수 있게 산업 한도도 주어진다. 목재는 목재 생산건물을 제외한 다른 민간 건물들에 중심으로 쓰는 만큼 초반에 경제를 폭발시킬 때 가장 급한 자원이라 인도나 마야처럼 도시 활성화가 빨라진다.
전반적으로 목재 보너스로 초반 경제 이득이 있으며, 강력한 중기병과 회복시켜주는 보급마차로 공격을 시작할 시점이 되면 강력하지만 중요한 재화 보너스나 초반 견제가 없어서 한계가 온다.
3. 특수 유닛
고급 기동 유닛에 특수 유닛이 존재한다. 전부 아주 조긍 빠르고 강하다자세한 내용은 라이즈 오브 네이션즈/특수 유닛 참조.
4. 추천 불가사의
국가 특성 및 특수 유닛과 잘 맞는 효과는 굵게 표시한다.- 피라미드(고전 시대) : 프랑스는 도시 활성화에 쓰이는 목재가 풍부해서 추가 도시를 잘 써먹는다.
- 식량과 재화에 대한 상업 한계치가 50만큼 더 높아진다.
- 도시 건설 한계치가 1만큼 더 높아진다. 도시 건설 비용이 33% 줄어든다.
- 식량 수집률이 20% 향상된다.
- 자금성(중세 시대) : 피라미드와 비슷한 이유로 좋은 불가사의
- 도시 건설이 가능한 곳에 건설할 수 있다. 완성 즉시 거대도시로 간주되며, 건설을 마칠 때까지 도시 건설 위치가 적에게 발각되지 않는다. 자금성 자체가 도시로 간주되기 때문에 자금성에 부속되는 다른 불가사의를 하나 더 건설할 수 있다.
- 도시의 기본 식량/목재 수집량이 10이 아닌 50이다. 그리고 자금성의 경제 반경에 있는 시민과 학자의 자원 채취 효율이 25% 상승한다.
- 수도 탈환 타이머가 플레이어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티칼 사원(화약시대) : 목재 특화 프랑스와 시너지가 있다. 다만 이 정도 목재를 쓸 곳이 따로 없다는 딜레마가 있다.
- 목재 채취 효율이 50% 증가한다.
- 목재 상업 한계치가 100 증가한다.
- 사원의 도시 국경, 체력, 사거리에 주는 보너스가 50% 증가한다.
- 베르사이유 궁전(계몽 시대) : 프랑스의 특성을 비슷하게 주는데, 상대가 따라잡는 것을 막고 역으로 중첩시켜 괴물같은 회복과 속도를 낼 수 있다.
- 라이브러리 기술의 지식 이외의 가격이 50% 감소한다.
- 보급 차량이 범위 내의 유닛을 치유한다.
- 공성 유닛과 보급마차의 이동속도가 25% 증가한다.
5. 추천 정부
자유-군주제-사회주의강력한 중기병을 쓰는 만큼 군주제와 시너지가 뛰어나고, 애국자오라를 받은 고유 유닛들은 위협적이다. 독재자가 특수 중기병을 동반한 견제는 보급마차 회복 효과도 봐서 상당 강력하다. 하지만 공화제도 좋은 상호작용이 많은데, 일단 공성 공장 지어도 보급마차 받는 만큼 보급 효과가 덜 급하며, 우호영토에서 보급마차와 의원의 회복이 중첩된다. 높은 상업한도도 나무 생산과 시너지내서 경제활성화가 가속된다.
6. 도시 목록
★는 최초의 도시이자 수도를 의미한다[2]. 도시 이름은 가나다순이다.- 파리 ★
- 나르본
- 낭트
- 님
- 디종
- 랭스
- 로리앙
- 루엥
- 르아브르
- 리옹(Lyon)
- 리옹(Riom)
- 릴
- 마르세유
- 물랑
- 바욘
- 방돔
- 베르사이유
- 보르도
- 불로뉴
- 브레스트
- 브장송
- 블루아
- 셰르부르
- 수아송
- 아미엥
- 아비뇽
- 앙굴렘
- 엑상프로방스
- 오뷔송
- 오를레앙
- 캉
- 칼레
- 투르
- 툴롱
- 툴루즈
- 트루아
- 푸아티에
도시의 이름은 플레이어를 불문하고 중복되지 않는다. 위 목록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의 도시가 생기면 해당 도시의 이름은 국가명+숫자다(예: 프랑스40).
7. AI 플레이어 이름 목록
- 기타
[1] 초당 0.75[2] 단, 한 게임에 같은 국가가 둘 이상 있으면 하나의 플레이어만 이에 해당된다. 도시 이름은 중복되지 않기 때문이다. 나머지 국가는 무작위[3] 곤치긴 붐첸드.[4] 수흐바타린 얀즈마.[5] 소노민 루브산.[6] 국가 이름은 몽골이며, 프랑스의 국가 특성을 그대로 들고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