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20:05:48

핀란드 의회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03580>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역사 역사 전반 · 핀란드 대공국 · 핀란드 왕국 · 핀란드 내전 · 겨울전쟁 · 계속전쟁 · 라플란드 전쟁
정치 정치 전반 · 핀란드 대통령 · 핀란드 총리 · 핀란드 부총리 · 핀란드 의회 · 정부 · 국가행정조직 · 행정구역
외교 외교 전반 · 핀란드 여권 · 유럽연합 · 북유럽 협의회 · 북극이사회 · 파시키비-케코넨 독트린 · 핀란드화
경제 경제 전반 · 핀란드 마르카(폐지) · 유로 · 노키아 · 슈퍼셀
교통 철도 환경(노선) · 헬싱키 노면전차 · 헬싱키 지하철 · 탐페레 노면전차 · 고속도로 · 국도
국방 핀란드군 · 북대서양 조약 기구 · 징병제/핀란드
치안·사법 핀란드 경찰
교육 교육 전반 · 윌리오필라스툿킨토 · 헬싱키 대학교 · 알토 대학교
언어 핀란드어 · 스웨덴어 · 사미어 · 카렐리야어 · 발트핀어군
문화 요리 ·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 핀란드 신화 · 칼레발라 · 핀란디아(장 시벨리우스) · 자일리톨 · 헤스버거 · 사우나 · 무민 · 산타클로스 · 킬유 · 살미아키 · Ievan Polkka · 요우힉코 · 헤비사우르스 · 나이트위시 · 스트라토바리우스 · 루터교회(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민족 핀인 · 핀란드/인구 · 스웨덴계 핀란드인 · 러시아계 핀란드인 · 핀란드계 미국인 · 핀란드계 캐나다인 · 카렐인(핀란드계 러시아인) · 핀란드계 스웨덴인 · 핀란드계 호주인
}}}}}}}}} ||
핀란드 의회
Suomen eduskunta | Finlands riksdag
파일:핀란드 의회 로고.svg
<colbgcolor=#014b9f><colcolor=#fff> 핀란드어 명칭 Suomen eduskunta
스웨덴어 명칭 Finlands riksdag
구성 단원제, 다당제
의장 유시 할라아호 / (핀인당)
제1부의장 파울라 리시코 / (국민연합당)
제2부의장 타르야 필라토프 / (사회민주당)
국회의원 파일:2023년 핀란드 의회 의석 현황.png
정원 200석 중 재적 200인
여당(109):
국민연합당 (48석)
핀인당 (46석)
스웨덴인당 (10석)
기독교민주당 (5석)
야당(91):
사회민주당 (43석)
중앙당 (22석)
녹색동맹 (13석)
좌파동맹 (11석)
지금 움직이다 (1석)
무소속 (1석)
임기 4년
의사당 핀란드 국회의사당
최근 선거 2023년 핀란드 의회 총선거
차기 선거 2027년 핀란드 의회 총선거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파일:플리커 아이콘.svg

1. 개요2. 역대 선거3. 임기 및 선출4. 원내 구성

[clearfix]

1. 개요

핀란드의 입법을 담당하는 입법기관. 단원제를 채택하고 있다. 전신은 1906년 핀란드 대공국 당시 창설된 의회이다.

2. 역대 선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핀란드 의회 총선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임기 및 선출

핀란드 국회의원의 임기는 4년이다. 핀란드 대통령이 총리 및 의회 교섭단체와의 협의를 거쳐 의회를 해산하고 조기 총선을 시행할 수 있으며 2000년 개헌 이전까지도 의회 해산권이 전적으로 대통령에게 있었다. 다만 핀란드에서 의회 해산은 1975년 이래 일어난 적이 없다.

핀란드 의회의 의석은 총 200석으로, 비례대표제 선거를 통해 의회를 구성한다. 18세 이상의 핀란드 시민들이 선거권 및 피선거권을 가진다.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채택하고 전국을 13개 선거구로 나눠 인구비례로 의석을 할당한다. 이 선거구 중 올란드 제도는 1석을 선출하므로 사실상 소선거구제를 시행하며, 그 외에는 7석에서 36석까지의 의석이 배정되어 있다. 완전한 불구속명부식 비례대표제를 택하고 있어 유권자는 자신의 선거구 후보자 중 원하는 정당과 그 정당 내 후보자를 결정한다.

4. 원내 구성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30px><tablebordercolor=#fff> 파일:핀란드 의회 로고.svg핀란드 의회
원내 구성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페테리 오르포 내각
(2023 ~ 현재)
연립 여당
파일:국민연합당 로고.svg
국민연합당

48석
파일:핀인당 로고.svg
핀인당

46석
파일:핀란드 스웨덴인당 로고.svg
스웨덴인당

10석
파일:기독교민주당(핀란드) 로고.svg
기독교민주당

5석
야당
파일:핀란드 사회민주당 로고.svg
사회민주당

43석
파일:핀란드 중앙당 로고.svg
중앙당

23석
파일:녹색동맹 로고.svg
녹색동맹

13석
파일:좌파동맹 로고.svg
좌파동맹

11석
파일:지금 움직이다 로고.svg
지금 움직이다

1석
재적
200석
}}}}}}}}}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0
, 3.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0 (이전 역사)
문서의 r4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