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독일어 단어 Heil
독일어로 "만세"란 뜻[1]. 본래 '안녕'이란 뜻도 있었으나, 나치식 경례에 경례구호로 쓰인 이후 지금은 아무도 '안녕'이란 의미로 쓰지 않는다. 현재 독일에서는 나치 관련 여러 상징들을 비롯해 일상언어에서 이 단어를 꺼내는 것 자체가 금기시된다.창작물에서 독일어를 안쓰는 악역 집단임에도 이 구호와 경례를 쓰기도 한다. 영어에서는 'Hail'로 적는데 2014년 개봉된 캡틴 아메리카 2의 흥행으로 "하일 하이드라!"가 유행하기도 하였다. 구글검색
IDW 트랜스포머 G1 코믹스에서도 <올 하일 메가트론>이라는 시리즈를 냈었고, 2016년에는 <올 하일 옵티머스> 시리즈가 출간된다고 한다. 이건 Shattered Glass가 아니며, 본편에 이어지는 내용이다.
네이버 웹툰 어글리후드에서도 작중 유일신인 야마누스를 숭배할 때 “하일 야마누스”라 한다. 독자들은 작가인 미애(웹툰 작가)를 넣어 “하일 미애누스”라 하기도 한다.
일상언어에서는 안 쓴다 할지라도 역사적으로 원래 귀족을 칭송할 때 쓰였던 단어이기 때문에, 귀족이나 왕족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여전히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한다. 사극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나치 관련해서 사용하지만 않는다면 써도 된다. 예를 들어 '공작님 만세'라는 뜻으로 alles heil herzog 라는 단어가 쓰인다 해도 이 경우에는 전혀 문제 삼지 않는다. 원래 이렇게 쓰던 단어였기 때문이다.
영어로도 all hail king , queen 라는 단어가 쓰인다. 영어도 언어학적으로 서게르만 어군이고 영국 왕조도 하노버 왕조라 족보상 독일계 가문인데도 여왕이 공식행사에 참가할 때 어순변경도 없이 똑같이 쓴다. 네덜란드 덴마크등 왕정국가 전부가 이렇다. 이걸 귀족이 아닌 사람, 혹은 개념에 불과한 국가 등에 사용함이 금기시되고, 고전적인 용법으로 한해서 허용된다. 다만 현재 독일은 공화국이므로 이 단어가 쓰인다면 사극이나 역사극 정도이다. 그 외에는 월척을 낚았을 때 Petri Heil이라고도 하는 경우가 있는데, Petri는 Petrus의 소유격이다. 즉 직역하면 '베드로 만세'라는 뜻. 참고로 베드로의 직업은 어부다. 교황의 반지를 어부의 반지라고 하는 이유.
80년대 이전까지는 베르크하일(berg heil: 산 만세 → 산 구호)라는 말이 일본을 통해 들어와 산악인들 사이에서 흔히 쓰인 적이 있다. 이건 산에서 만세를 부른다는 게 아니고 메아리(echo)를 이용해 동료를 부르는 의사 소통방법을 이른다. 흔히 쓰는 야호~ 대신에 산악회의 구호를 넣는 식으로 이해하면 된다. 무전기, 휴대전화가 차례로 보급된 이후로는 잘 쓰이지 않는[2] 용어이다.
영어 버전인 hail은 명맥이 남아 있다. 미국의 비공식 국가 Hail, Columbia 등등.
2. 사우디아라비아의 도시
하일 관련 틀 | ||||||||||||||||||||||||||||||||||||||||||||||||||||||||||||||||||||||||||||||||||||||||||||||
|
시내 중심부의 아리프 성채 (1840년 건설)
아랍어 حَائِل
영어 Haʼil
부르잔 궁전 (1808년 건설) | 키슐라 궁전 (1940년대 건설) |
사우디아라비아 중북부에 위치한 하일주 주도이다. 메디나에서 동북쪽으로 350km, 리야드에서 서북쪽으로 500km 떨어져 있다. 인구는 60만명이고, 네지드 고원 북쪽 끝자락이 앗 나푸드 사막과 만나는 곳에 위치한다. 시리아-이라크 지역과 가까워 다른 네지드 지역과 달리 역사적으로 근동을 지배한 세력의 영향력이 미치는 경우가 잦았다. 따라서 비교적 성벽과 궁전 등 유적이 많은 편이다.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반 사우디 북부를 지배한 라시드 왕조의 자발 샴마르 (하일 토후국)의 수도였다. 그러다 1921년 네지드 아미르 압둘 아지즈 빈 사우드에게 정복되어 현재에 이른다. 샴마르 산지에서 흘러 내리는 물을 이용한 관개 농업을 실시하여 부라이다, 두마툴잔달과 함께 사우디 북부에서 농업 생산량이 높은 지역 중 하나다.
3. 동명이인
3.1. 방송인 하일
3.2. 야구선수 하일
3.3. 대한민국의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 이학일의 닉네임
4. 대한민국의 지명
- 경상남도 고성군 하일면.
- 춘천시 동면 북쪽의 옛 지명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면 장학리의 북쪽(장학2리 쪽)을 하일이라고 부른다. '하일종점' '하일입구' 등의 정류소명이 예전부터 쓰이고 있으며, G1방송 본사, 춘천삼육초등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의 옛 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