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2 12:34:22

한푸 운동

1. 개요2. 역사3. 논란과 비판
3.1. 결론
4. 외부 링크5. 둘러보기


漢服運動 / 漢服復興運動

1. 개요



한푸 운동 또는 한푸 부흥운동은 한족들의 전통 복장을 의미하는 한푸를 입거나 장려하는 운동이다.

중국 공산당 정부에서 주도하는 관제 민족주의 운동이 아니라 중국 내부의 한족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주도되는 일종의 풀뿌리 민족주의 운동으로, 한푸 운동의 지지자들은 치파오 등 청 시대의 전통 옷들은 '가짜 중국옷'이기 때문에 명나라와 그 이전 시대의 한족들이 입었던 '진짜 중국옷'을 입자고 주장한다. 최근 중국의 명절이나 SNS에서 치파오/창파오 대신 한푸를 입는 중국인들(특히 한족들)이 많아지고 있다.

2. 역사

근대 이후 중국이 서구화, 근대화되어감에 따라 치파오 등 일부를 제외한 중국 전통 복식은 양복, 정장이나 인민복 등 서양의 영향을 받은 옷들이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한푸도 구시대의 취급을 받아 명절 때나 관광지에서나 입는 전통 복장이 되었다. 그러다가 개혁, 개방 이후 중국의 정치 경제적 사정이 호전되고 중국의 민족주의가 흥기함에 따라 중국의 전통 의복, 그 중에서도 중국의 주 민족 한족의 전통 복장인 한푸에 대한 관심도 되살아나기 시작했다.

2006년 베이징대학 역사학과 학생들이 한푸를 복원하여 홍보한답시고 자기들 주장으로는 한푸랍시고 입고 시민들과 만났으나 결과물은 고려양의 개량 버전이었으며 한나라 시절의 한푸와 전혀 다른 것은 물론이고 송나라 시절의 한푸와 비교해도 매우 다른 것이었다. 그래서 당시 중국 시민들은 대장금의 인기와 한류의 영향에 의한 한복의 인지도 상승 등으로 '한푸가 아니라 한복이네’ 또는 '대장금에서 본 옷이다'라고 인지한 경우가 상당수라고 한다.#[1] 중국에서 이런 반응이 나온 것은 우선 청나라 때 변발정책과 더불어서 복장도 바꿀 것(체발역복)을 강제했기 때문에 전통적인 한푸가 거의 300년 단절된 것도 있고 여기에 추가로 마오쩌둥 시절의 문화대혁명 때문에 전통문화와 단절된 문제가 굉장히 심각하기 때문이다. 어차피 명나라 초기 베이징 일대의 고려양 한푸야 고려옷과 교류하여 영향을 받은 것이라서 한복으로 착각한다고 이상한 건 아닌데 당나라 복식을 가지고 기모노 아니냐 일본인 코스프레하냐고 묻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현대의 중국에서는 한족들의 민족주의 의식의 고취와 더불어 한족의 한푸를 입자는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국시대부터 이민족들의 옷(호복)이 유입되어 중국 역사가 흘러가면 갈수록 원본에 가까운 치마형 한푸보다는 바지저고리 형태의 실용적인 의복을 착장하는 경향이 점점 더 심해지는데 이유야 당연히 활동이 편해서다. 실제로 호복 유입 전의 한푸의 모습은 많이 다르다. 현재 한푸라고 홍보되고 있는 중국 고중세 복식들은 한족의 한푸의 원형에 호복의 양식이 깊이 들어간 형태다. 상고 한족의 한푸는 한국의 심의 비슷한 옷이다.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의 검색어 ‘#한푸’는 클릭 수가 21억 6천만 건을 기록했다. 2020년 7월 17억 3천만 건에서 2020년 10월에만 4억여 건이 폭등했다. 짧은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에 올라온 한푸 영상은 350만 건, 중국이 차단한 인스타그램에도 #한푸 해시태그를 단 게시물이 4만 5천 건에 이른다. 한푸 열풍이 전세계 화교 사회로 번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중국의 환구시보는 '중국 내에서 한푸 입기 열풍이 일어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몰타오바오의 관계자는 "송나라 배경의 드라마 <녹비홍수>가 인기를 끌면서 2020년 3월 한푸 판매량이 전년보다 146% 급증했다." 하고 말했다. 타오바오가 발표한 '2019 중국 패션 트랜드 보고'에 따르면 여성복 인기검색어 3위, 남성복 인기검색어 10위에 '한푸'가 올랐다. 중국 최초의 한푸 브랜드 '중회한당'은 올해 10월까지 13개 매장을 새로 오픈했다. 올해 1분기 매출액이 지난해 전체 매출에 육박할 정도로 인기가 급상승중이다. 한푸 관련 포스트

2010년 이후로 아이치이, 텐센트 비디오 등의 OTT들이 등장했는데 이 플랫폼들이 만든 사극드라마들이 엄청난 대히트를 기록하며 한푸에 대한 중국 인민의 인기는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제작되는 사극드라마들의 수도 엄청나게 많아졌으며 대부분의 사극은 청나라가 아닌 시대를 배경으로 제작되고 있다.[2] 한푸를 입는 중국인들도 많아졌고 더우인이나 비리비리 같은 곳에서 한푸를 입은 영상이 인기영상에 최소 한두개 정도는 올라오며 예능에서 MC 빼고 한푸만 착용하거나 출연자 전원 한푸만 착용하는 프로그램까지 생겼다.

3. 논란과 비판

단순히 잃어버린 역사를 찾자는 좋은 취지의 운동이 아니고 한족 중심의 민족주의가 심화되는 것 아니냐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아닌 게 아니라 실제로 국수주의 성향 중국인, 즉 분청우마오당들이 자국의 한푸를 사랑하는 수준을 넘어서 중국 영토에서 출토되는 것들은 물론, 중국의 소수민족이 입는 모든 양식의 의복들을 싸그리 다 한푸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심지어 한복기모노 등 주변국의 전통복장들도 모조리 한푸라고 주장한다.

한푸 부흥운동은 치파오를 비롯한 청나라의 문화에 반발하여 한족 중심 민간단체가 시작했다. 그런데 한족이 아닌 다른 민족들의 복식의 영향을 받았거나 한족과 한족 외 타 민족이 지배계층이었던 시절 중국인들이 입어 온 위진남북조, 당나라, 송나라, 요나라, 금나라, 원나라, 명나라 복식 모두 호복이거나 호복의 영향을 짙게 받은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런 복식들은 물론 중국 소수민족의 옷들까지 전부 한푸(汉服)라고 부르지만 유독 만주족의 영향을 받은 치파오만은 한푸가 아니라고 하니 과연 한푸가 무엇인지부터 따져야 할 판이다. 사실 민간 주도 한푸 부흥운동은 한족주의를 경계하는 민족주의에 대한 중국 정부의 입장과도 차이가 있다. 만주족을 배제하고 한족 중심의 사상을 주장하는 것은 쑨원오족공화[3]와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관점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이러한 모순점은 현대 만주족이 언어·문화적으로 한족에 동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한족과 별개의 민족인 만주족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더더욱 강해지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당장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은 표면적으로는 중국 여러 민족들의 하나의 중국을 주장하는 중화주의를 내세우고 한족 민족주의인 대한족주의를 반대한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만주족의 치파오만을 유독 배제하고 한족의 한푸를 내세우는 것은 중국의 현행법을 정면으로 저촉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중국공산당 측은 한푸 부흥 운동을 대놓고 밀어주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적극적으로 제재하지도 않는 애매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한족 민족주의자들은 청나라를 만악의 근원으로 취급하고 이들 사이에선 만주족과 연관된 음모론까지 등장했는데 만주족들이 중국공산당 및 그와 연계된 조직을 모두 은밀히 조종하고 있으며 계획생육정책한족을 소수민족들과 혼혈시켜 말살하기 위한 계획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중국의 대한족주의자들은 한푸도 호복을 비롯한 주변 복식의 영향을 받아 왔고 한복과 기모노, 아오자이 등 주변국들의 의상들이 한푸와 교류하면서도 독자적인 발전계보를 탔다는 역사를 무시하거나 부정하며 증거를 가져다줘도 외면한다. 트위터인스타그램 등지에서는 VPN을 사용하는 중국 네티즌들과 한국, 일본, 베트남 등 다른 나라의 네티즌들이 설전을 벌이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한복을 그리는 국내 작가들이 중국인들의 공격을 당하는 일도 시도때도 없이 일어난다. 특히 고고학, 복식학을 주로 다루는 우용곡 작가가 한동안 중국 네티즌들의 집중적인 공격을 당하기도 했다. 조금이라도 주변국의 전통복장과 닮은 부분을 찾아내기 위해서 신장 위구르 자치구 같은 지역의 전통복식을 들고와서 한푸를 배꼈네 마네 하는 모습을 보면 황당할 정도다. 특히 원말명초 고려양 문제에 관해서는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거론하면 열폭 분노한다.

실제로 2020년에 샤이닝니키 한복 사태를 위시한 중국의 한복 왜곡 논란, 소위 '한복공정'이 일어나면서 우려는 현실이 되었다.

3.1. 결론

https://www.encyclopedia.com/fashion/encyclopedias-almanacs-transcripts-and-maps/traditional-dress
Traditional dress may be defined as the ensemble of garments, jewelry, and accessories rooted in the past that is worn by an identifiable group of people. Though slight changes over time in color, form, and material are acknowledged, the assemblage seems to be handed down unchanged from the past.Traditional dress or costume is a phrase used widely both by the general public and writers on dress.
"약간의 형태 색깔 재료의 변화가 인지되더라도 과거로 부터 변치않고 전수되어진 것"
고려양 한푸인 밍푸는 당시 명나라에서 중국의 전통으로 보지 않은 이민족의 문화로 보아 민관을 가리지 않고 빠르게 중국에서 도태시켰다. 현 한족 민족주의자의 문화공정이 시작부터 잘못된 이유이기도 하다.


파일:Screenshot_20240614_120517_Instagram.jpg

한푸는 시대별로 그 차이가 큰것이 인지되지만 한복은 그 계통이 조금의 변화만 있을뿐 그대로 내려온것이 보인다

It conjures up images of rural people dressed in colorful, layered, exotic clothing from an idealized past in some faraway place. This notion of traditional dress has been scrutinized and found inadequate by many researchers and scholars, but its uncritical use continues into the twenty-first century.
어떤 아득히 먼 이상적인 과거로 부터의 화려하고 겹겹이 이국적인 옷을 입은 시골 사람들을 상기하는데 전통옷의 이러한 개념은 많은 연구자와 학자들에 의해 면밀히 조사되었고 부적절함을 발견했다. 그러나 그것의 무비판적 이용은 21세기에 계속되고 있다.

현재 엄연히 과거 한푸를 계승한 전통 한푸인 칭푸가 있음에도 한족 민족주의자들은 만주족의 영향을 받은 칭푸를 되려 탄압하는 모순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traditional costume."
In Webster's Third International Dictionary, tradition is defined as "an inherited or established way of thinking, feeling or doing: a cultural feature preserved or evolved from the past" (1993, p. 2422; italics by author).
계승되고 확립된 생각 느낌 행위이며 과거로부터 보존되고 진화한 문화적 특징이다.

한푸는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보존되어 진화한 근거가 있어야 하지만 한푸를 계속 강조하는 민족주의자들은 계승 복장인 칭푸를 인정하지 않고 화려한 한푸인 탕푸를 중심으로 자꾸 계승을 시도한다는 문제가 있다.
Often made in the family for personal use, traditional dress uses materials commonly available where the maker lives. These materials and styles are often assumed to have evolved in response to environments-wool in cold climates, cotton in warm. But traditional dress often also incorporates imported materials obtained by trade. Exotic fabrics or notions can be incorporated into a people's dress and become "traditional," as Indian madras has for the Kalabari Ijo of the Niger Delta. Although no one knows where it originated, a print cloth called ondoba, said to have arrived with the Portuguese in the fifteenth century, "belongs" to the Nembe Ijo of the Niger Delta.
비록 그것이 어디로부터 기원한지 아무도 모름에도 15세기 포루투갈인과 함께 들어왔다고 말해지는 날염 원단 온도바는 니제르 델타의 넴베 이죠의 전통에 속한다

아무리 기원이 외국산이라도 누대가 그 지역이나 그 나라에서 대중이 널리 사용해 왔다면 그 지역의 전통에 속한다. 즉, 관복과 면복이 원래 한족과 관계 있는 중원 복식이어도 한반도 왕조들에게 사용되어 그것이 조선 왕실로부터 대동종약원과 청학동 유림 각 성씨 종가들에게까지 사용되므로 그 전통은 한국에 속한다. 이건 만주족의 영향을 받으면서 성장한 현 한푸인 칭푸에게도 적용되며 치파오의 영향은 받았지만 이 복장은 엄연히 한족의 것이다. 전술한 고려양 한푸인 밍푸도 어쨌건 한푸로는 보는 이유도 이것으로, 고려의 영향은 받았지만 그 옷은 한복이 아닌 중국 한푸인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해당 옷은 단절되었기 때문에 현 전통복이 아닌 것일 뿐이다.

4. 외부 링크

5. 둘러보기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권 보수주의 관련 문서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파일:마카오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관련 이념 국가자본주의 (당국 자본주의) · 삼민주의(일부) (다이지타오주의 · 장제스의 학설)중국 국민당 · 중화제국주의 · 중화민족주의 (극단민족주의(極端民族主義) · 한(漢)민족주의) · 신권위주의 · 신유교주의 · 초보수주의
연관 개념 대한족주의(일부) · 반자유주의 · 법가 · 아주가치(亞洲價值) · 유가/유교 · 중화민족 · 중화사상 · 하나의 중국/양안통일
지역별 대만 · 홍콩
주요 정당* 1949년 이전 진보당△ · 중국국민당당내 우파 (남의사 · 서산회의파)
중화인민공화국 중국공산당◎ · 중국민주당
중화민국/대만 (범람연맹)* 신당 · 중국국민당 · 중화민족치공당 · 친민당
홍콩 (건제파)* 민주건항협진연맹 · 서구룡 새로운 힘 · 신민당 · 신세기논단 · 실정원탁 · 자유당 · 홍콩 경제민생연맹 · 홍콩 공회연합회** · 홍콩 교육 노동자 연맹** · 홍콩 및 구룡 노동조합 연맹** · 홍콩섬각계협합회 · 홍콩신방향
마카오 (건제파) 광둥마카오동맹 · 마카오 고용주이익협회 · 마카오공회연합총회** · 마카오발전신연맹 · 마카오부녀연합회 · 마카오 전문가 이익연회 · 마카오주민회연합총회 · 문화체육연합 · 민중건오연맹 · 사회복무교육촉진회 · 종업원단체연합
싱가포르 인민행동당
주요 인물 1949년 이전 량치차오 · 셰츠 · 쉬충즈 · 쑨커 · 쑹메이링 · 장제스 · 위안스카이 · 캉유웨이 · 후한민
중화인민공화국 덩샤오핑◎ · 량수밍(梁漱溟) · 시진핑◎ · 왕후닝◎ · 양상쿤◎ · 장시공(强世功)◎ · 후시진(胡錫進)
중화민국/대만 (범람연맹)* 마잉주 · 쑹메이링 · 쑹추위 · 장완안 · 장제스 · 장징궈 · 주리룬 · 허우유이
홍콩 (건제파)* 레지나 입 · 렁춘잉 · 성룡 · 스태리 리 · 존 리 · 캐리 람 · 퉁치화
마카오 (건제파) 페르난두 추이 · 호얏셍
싱가포르 고촉통 · 리콴유 · 리셴룽
언론 중국시보 · 중앙일보 · 중국 텔레비전 · 환구시보
단체, 그룹 건제파 · 범람연맹 · 왕왕 그룹
관련 사건, 시기 4.12 상하이 쿠데타 · 개혁개방◎ · 국공내전 · 국광 작전 · 국민혁명 · 국부천대 · 난징 십년(南京十年) · 당국 체제 · 동치중흥(同治中興) · 백색 공포 (대만 계엄령) · 신생활운동 · 양무운동*** · 의화단 운동 · 중국몽 · 중화제국(1915~1916) · 홍콩 국가보안법
그 외 N세대 · 소분홍 · 분청 · 시노필리아 · 중국 위협론 · 중체서용 · 친중화민국 · 통일전선 · 한푸 운동 · 홍콩의 민국파
소멸된 정당은 △ 표시 / 중국 본토의 경우 신권위주의 계열 정당과 인물, 조직 등은 ◎ 표시.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1] 다만 '명나라 복식'을 의미하는 밍푸는 고려양의 영향을 받아서, 그리고 '한복'의 스타일에 가까운 한푸라서 한복과 헷갈릴 우려가 더 있다. 중국에서도 인식이 잘 되어 있는 한나라나 송나라 복식을 재현했다면 이런 반응은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2] 청나라 드라마는 제작비에 비해서 인기가 없는데 주요 원인은 여자시청자들이 변발을 싫어해서(...)라고 한다. 그래서 청나라 황실 스토리만 따와서 가상국가로 인명을 바꾸고 치파오 대신 한푸를 입히거나 적어도 변발은 뺀 시대극 드라마를 만들기도 한다.[3] 한족, 만주족, 몽골족, 회족(위구르족 포함), 티베트족이 평등한 관계에서 서로 협력하는 공화국을 건설해야 한다는 쑨원의 구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4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