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21:39:27

헨리 8세/생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헨리 8세|헨리 8세]]


1. 개요2. 초기 통치
2.1. 플로든 전투2.2. 이혼과 잉글랜드 종교 개혁2.3. <수장령>2.4. 수도원 통폐합2.5. 반발과 반란2.6. 수도원 철폐
3. 후반 통치

1. 개요

16세기 잉글랜드 왕국 튜더 왕조의 국왕 헨리 8세의 생애를 정리한 문서.

2. 초기 통치

헨리 7세의 차남으로 태어났으나 왕위 계승자인 형 아서가 15세에 요절하여 새로운 왕위 계승자가 되었다. 1503년에는 어머니 요크의 엘리자베스를 여의었고 1509년 아버지 헨리 7세가 승하하면서 18세의 나이로 잉글랜드의 국왕이 되었다. 전임인 헨리 7세가 가혹한 징세로 인기를 많이 깎아 먹었던 탓에[1] 젊은 국왕 헨리 8세가 새로운 시대를 열 것이란 기대가 높았다. 헨리 8세도 그런 민심에 부응하여 헨리 7세 시절 악명이 높았던 징세관 에드먼드 더들리와 리처드 엠프슨을 체포하여, 런던 시내에 조리돌림을 한 후 처형하여 인기가 상승했다.

젊은 시절부터 사냥, 마상 창 시합, 춤, 예능 같은 야외 활동을 좋아했고, 심지어 정무를 보는 것보다 더 즐겼다. 말년을 제외하고는 여색도 엄청 밝혀 체념한 캐서린의 묵인 하에 문란한 성생활을 일삼았다. 마상 창 시합 등 스포츠나 무예에서 연승한 건 참여한 사람들이 왕의 체면을 세워주려고 일부러 져준 것이었고, 젊어서는 놀기 바빠서 실제 정사는 토머스 울지 추기경에게 일임했다. 그러니 치세 초반의 업적은 상당수가 울지 추기경의 공인 셈이다.

이런 면모 때문에 가려졌지만 동시에 당시 왕족들 중에서 공부도 상당히 잘해 라틴어스페인어, 프랑스어가 유창했고, 당대의 석학들과 천문학과 신학을 토론했다고 하며, 최고의 지성이었던 네덜란드에라스뮈스조차 칭찬할 정도였다.

헨리 8세의 초기 치세때 이탈리아반도에서는 전쟁이 한창이었다. 교황 율리오 2세교황령을 회복하기[2] 위해 전쟁을 벌였고, 풍요로운 이탈리아 내의 권리를 서로 주장한 프랑스 왕국카를 5세가 격렬하게 이탈리아 전쟁을 벌이는 중이었다. 이때 헨리 8세는 교황에 맞선[3] 발루아 왕조 프랑스에게
"모든 기독교인아버지이며, 신성하신 그 분에게 감히 전쟁을 일으키지 말라."
고 경고했다. 당연히 프랑스는 가뿐히 씹었다.

이에 헨리 8세는 교황청 및 합스부르크 왕조 신성 로마 제국과 동맹을 맺고, 프랑스와의 전쟁에 돌입했다. 막시밀리안 1세 치세의 합스부르크 가문은 통일 스페인의 최전성기를 개막시킨 트라스타마라 왕가와 결혼을 통한 동맹 중이었는데, 스페인은 프랑스와 단독강화하고, 언제든지 잉글랜드의 뒤통수를 칠 위험이 있었다. 그래서 먼저 선수를 쳐 프랑스의 대서양 함대 기지인 브레스트에 함대를 파견하여 선제공격했으나 실패했다. 결국 헨리 8세가 직접 대륙으로 건너가 친정에 나서 막시밀리안 1세와 합류했는데 그의 꼬임에 넘어가 합스부르크 가문과 연합해 프랑스와의 일전에서 선봉으로 나서 운좋게 이겼다. 그러나 전쟁 자체는 별 성과가 없었고, 잉글랜드의 재정만 엄청나게 탕진했다.

이 시절의 헨리 8세는 오히려 종교개혁을 노골적으로 반대하는 노선을 걸었다. 성사를 옹호하고, 마르틴 루터의 신학을 공격하는 내용이 골자인 《Assertio Septem Sacramentorum》의 출판과 함께 교황청으로부터 신앙의 수호자 라는 어마무시한 칭호를 받은 것이 이 시절의 이야기이다.

2.1. 플로든 전투

대륙에서의 원정은 실패했으나 국내에서 그 실책을 어느 정도 만회했다. 같은 브리튼 섬 국가인 켈트스코틀랜드 왕국스튜어트 왕조 국왕 제임스 4세는 헨리 8세의 누나인 마거릿 튜더와 결혼하여 헨리 8세의 매형이 되었지만 프랑스 왕국발루아 왕조 편을 들어 잉글랜드와 전쟁 중이었다. 그러나 헨리 8세는 국경지대인 플로든 평원에서 스코틀랜드군과의 혈전 끝에 매형이었던 제임스 4세와 스코틀랜드 귀족 상당수를 포함한 1만 명을 전사시키고 스코틀랜드군을 거의 전멸시키며, 수도 에든버러까지 약탈하는 대전과를 거두었다. 또한 이 플로든 전투의 패배로 큰 타격을 입은[4] 스코틀랜드 국내에서는 잉글랜드와의 국력 격차를 실감하며 '잉글랜드 적대-프랑스 우호' 정책에서 전환한 대(對) 잉글랜드 주화파가 생겨나게 되었다.

정통성 위협에 시달려 헨리 8세가 플랜태저넷 혈통들을 많이 처형했다는 말이 있는데 어느 정도 사실을 오인한 면이 있다. 사실 플랜태저넷 왕조의 후손들은 30년 동안의 장미 전쟁으로 거의 도륙나 있었던 상태였기에, 이미 아버지 대인 헨리 7세 때부터 살아남은 사람이 거의 없을 지경이었다. 당시 잉글랜드의 플랜태저넷 혈통은 요크 왕조 말기인 리처드 3세 때, 10여 명 남은 부계 혈통 중 8명을 죽였고, 남은 서넛 명은 튜더 왕조를 연 헨리 7세 때 처형당하거나 외국으로 도망갔다. 사실 랭커스터 왕조요크 왕조 모두 시조인 에드워드 3세의 아들들의 작위명에서[5] 왕조의 이름이 유래됐을 뿐, 본가는 모두 플랜태저넷 왕조였으며 실제 성씨도 플랜태저넷이었다. 후대에 들어서면서 랭커스터와 요크로 구분하는 거지, 서로 자신들이야말로 진정한 플랜태저넷이라고 싸운 것이 바로 장미 전쟁이었다.

이러한 잉글랜드의 왕위 계승전은 에드워드 3세의 장손, 흑태자 에드워드의 아들인 리처드 2세가 사촌 볼링브룩의 헨리에 의해[6] 폐위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폐위된 리처드 2세가 자식 없이 죽으면서 플랜태저넷의 본가는 절손되었고, 이후 볼링브룩의 헨리가 헨리 4세로 즉위하여 랭커스터 왕조를 개창했으며, 이후로도 헨리 4세의 아들인 헨리 5세와 손자인 헨리 6세가 연이어 즉위하면서 랭커스터 왕조가 계속 이어질 듯 했다. 하지만 제3대 요크 공작인 요크의 리처드가 정신병이 발병한 헨리 6세의 계속된 실정에 반발하고, 자신의 정통성을 내세우며[7] 왕위를 요구하면서 장미 전쟁이 시작되었다.

요크의 리처드는 왕이 되기도 전에 전투에서 패배해 처형당했지만, 그의 장남 에드워드 4세가 다시 세력을 결집시켜 요크 왕조의 첫 번째 왕으로 즉위했다. 이후 정신병으로 폐위된 헨리 6세의 외아들인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가 전투 도중에 사망하고, 헨리 6세 역시 유폐되어 있다가 암살이 유력한 죽음을 맞으면서 랭커스터 본가의 계열도 대가 끊겼다. 이리하여 에드워드 4세의 치세가 이어지면서 요크 왕조가 번성할 듯 보였다. 숙청당한 랭커스터 왕조의 지지자들은 헨리 6세의 이부동생 에드먼드 튜더와 플랜태저넷(랭커스터)의 몇 안남은 후손 마거릿 보퍼트[8]의 아들 헨리 튜더를 지목했다. 마거릿 보퍼트는 초대 랭커스터 공작 곤트의 존의 증손녀로, 헨리 튜더는 모계로 에드워드 3세의 현손이며 초대 랭커스터 공작의 고손자가 되었다. 사실 랭커스터와 요크 모두 에드워드 3세의 후손이라 튜더도 까마득하게 먼 방계라고 보기도 어렵다. 그 덕에 랭커스터 가문이 절손되자 꿩 대신 닭 격으로 추대된 것이지만, 랭커스터 지지자들은 헨리 튜더를 마지막 희망으로 삼고 왕위에 추대했다.

하지만 전쟁에서 승리한 요크 왕조마저 점차 자기들끼리 내분으로 망하기 시작했다. 에드워드 4세의 둘째 동생 클래런스 공작 조지가 형에게 반란을 일으켰다가 처형당하는 것을 시작으로, 마침내 셋째동생 글로스터 공작 리처드가 에드워드 4세 사후 그의 아들들을 살해하고 스스로 리처드 3세로 즉위하면서 정점을 찍었다. 이 찬탈에 요크 왕조의 지지자들마저 분열하면서 헨리 튜더를 지지하고 이후 보스워스 전투에서 리처드 3세를 전사시킨 헨리 튜더가 헨리 7세로 즉위하며 에드워드 4세의 장녀 요크의 엘리자베스와 결혼하면서 미약한 정통성을 보충했는데 이 두 사람의 아들이 바로 헨리 8세였다.

헨리 8세는 완전히 명맥이 끊긴 랭커스터 왕조의 혈통을 친할머니 마거릿 보퍼트에게서 물려받았고 요크 왕조의 혈통으로 봐도 에드워드 4세의 장녀 요크의 엘리자베스의 아들이라 에드워드 4세의 외손자였다. 때문에 요크 왕조의 잔당들이 반란의 수괴로 내세운 워릭 백작(클라렌스 공작의 아들)과 존 드라폴[9]보다 정통성에서 더 앞서 있었다. 게다가 워릭 백작은 헨리 7세 때 런던탑에 감금되었다가 성인이 돼서 탈옥하고 간수들을 매수하려다 처형당하고, 존 드라폴은 반란군을 이끌다가 전사해서 헨리 8세의 정통성을 위협할 만한 인물은 남아있지 않았다.

클라렌스 공작 조지 또한 형 에드워드 4세가 즉위하면서 덩달아 왕족으로 격상된 것이지 실제 계보는 에드워드 3세의 고손자에 불과했기 때문에 정통성이 미약한 건 매한가지였다. 형에게 반란을 일으켰다가 처형당한 클라렌스 공작의 후손이나 에드워드 4세의 누이의 아들보다, 에드워드 4세의 장녀 요크의 엘리자베스의 아들인 헨리 8세가 지닌 요크 혈통이 더 우선이었다. 그나마도 헨리 7세 시기에 요크 왕조의 잔당들이 대거 숙청되었고 남은 사람들마저 거의 대부분 헨리 8세가 숙청하면서 기존의 튜더 가문보다 까마득하게 먼 방계로 어설프게나마 왕조의 피를 이은 가문 몇 개만 살아남았기 때문에 정통성에 큰 위협은 되지 않았다.

결정적으로 헨리 8세의 숙청은 혈통을 가리지 않았다. 그는 왕가 혈통이 섞이지 않은 전통 대귀족들도 대거 숙청했다. 그 결과 다음 다음 대인 엘리자베스 1세 시절에 잉글랜드의 전통 귀족 가문은 남작까지 합쳐야 수십 개 가문에 불과했고, 공작 가문은 장자 서리 백작이 처형당하고 손자도 훗날 처형당하는 노퍽 공작 하워드 가문 하나만 남을 정도였다.

그러던 중 대륙에서는 막시밀리안 1세의 손자 카를 5세가 즉위했다. 헨리 8세는 신성 로마 제국스페인을 통치하며 프랑스와 대치 중이던 젊은 황제 카를 5세를 지지했으며 여전히 프랑스 영토에 대한 욕심이 있었지만, 교황 레오 10세와 토마스 울지 추기경의 설득 하에 일단 런던에서 불가침 조약을 맺으며 후에 프랑수아 1세를 초청하여 칼레에서 연회를 열었다. 한편으로는 카를 5세가 이탈리아 전쟁의 분수령이었던 파비아 전투에서 프랑스를 캐바르고 프랑수아 1세를 사로잡는 등, 군사력이 날로 강해질 무렵 헨리 8세는 울지 추기경의 주도하에 모어 성에서 프랑스와 강화 조약을 맺었다.[10]

2.2. 이혼과 잉글랜드 종교 개혁

헨리 8세의 이혼과 종교개혁의 원인은 복잡한 정치적 상황 때문이었다.[11] 마침 헨리 8세 치세에는 종교개혁 열풍이 대륙에서 불고 있었는데, 헨리는 마르틴 루터가 종교개혁 시기 발표한 논문에 대한 대한 반박문을 작성하기도 하는 등 가톨릭 신앙을 유지하며 교황의 정치적 동반자이기도 했다.[12] 이 공로로 1521년 8월에 헨리 8세는 레오 10세로부터 신앙의 수호자(Fidei Defensor), 영어로는 'Defender of Faith'라는 거창한 칭호를 받았다. 이 'Fidei Defensor'라는 칭호는 현재 찰스 3세에 이르기까지도 영국 국왕의 공식 타이틀로 유지되고 있다.

훗날 헨리 8세가 잉글랜드 국교회를 세웠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아이러니해 보일 수도 있다. 그런데 헨리 8세의 <수장령> 선포와 일련의 종교개혁 조치는 사실 교리, 교회 조직, 성사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었다.

2.3. <수장령>

헨리 8세의 <수장령>을 비롯한 일련의 조치는 잉글랜드의 왕과 법률 기관이 '교회의 자산 운용을 감찰할 권리와 성직자에 대한 형사 재판 권한이 있음'을 선언한 것뿐이었다. 표현을 그대로 옮기자면 '그(교황)는 로마의 주교일 뿐, 관할권을 벗어난 초법적이며 불법적인 통치를 종식시킨다'는 명분으로 더 이상 잉글랜드 교회(Church of England)에 간섭하지 말라는 뜻에 불과했다. 교회의 방향이나 정체성과 관련된 신학적, 전례적, 교리적 논쟁은 계속해서 벌어졌다. 자세한 것은 성공회 문서 참고.

헨리 8세는 자기 형 아서 튜더의 약혼자였던 아라곤의 카탈리나와 결혼했다. 캐서린은 헨리 8세의 형 아서가 결혼한 지 20주만에 병에 걸려 죽었지만 계속 잉글랜드에 남아있었다. 왕권 강화를 위해 구두쇠였던 시아버지 헨리 7세가 캐서린의 지참금 20만 두카트를 스페인 압스부르고 왕실에 반환하기 싫었기 때문이었다. 이때 차남 헨리가 형 아서의 약혼자 캐서린과 결혼하는 것은 당시 윤리상으로도 문제가 있었는데, 교회법상으론 근친혼에 해당했기 때문이었다. 사실 유럽 왕실들은 촌수로는 거의 죄다 근친혼이었지만 교황청에선 거의 예외 없이 그리스도교 군주 사이 결합을 대의로 인정했기에 이번에도 교황의 관면이 뒤따랐다. 헨리 8세는 즉위한 지 2개월 만에 교황 율리오 2세에게 관면을 받아 결혼하였다.

그런데 불행히도 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들은 줄줄히 요절이나 사산이 되었고, 딸인 메리 공주만 살아남고 캐서린이 더 이상 아이를 낳기 어려운 나이가 되자 큰 문제가 일어나게 되었다. 메리 공주를 당시 풍속대로 외국 왕가에게 시집보내면 하나 남은 계승권이 외국에 넘어가는 셈이었고, 아들이 없는 상황에서 헨리 8세가 죽을 경우, 헨리 7세 치세 이전 근 30여년 간 벌어졌던 왕위 계승 다툼인 장미전쟁이 재현될지도 모를 지경이었다. 단순히 아들을 보고 싶은 것뿐이었다면 정부를 두면 될 일이고, 실제로 1519년 정부(첩) 엘리자베스 블런트에게서 헨리 피츠로이라는 남자 사생아를 얻어 공작 작위 2개와 백작 작위 1개를 퍼주었다. 그러나 사생아는 사생아일 뿐 왕위 계승자가 될 수는 없는 법이었고, 헨리 피츠로이도 요절했다.

중세 시절, 자식이 없어서 왕조가 끊기거나 아들 없이 딸만 있어서 가문의 영지가 다른 나라로 넘어가는 일이 없지는 않았다. 그러나 여계 계승은 남자 계승자가 없을 경우 예외적으로 두는 수단이었고, 그나마도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경우는 보기 힘들었다. 일단 대륙의 프랑크 왕국 계통의 신성 로마 제국과 프랑스 왕국은 <살리카법>이 엄격하게 적용되어 남계가 절손되면 상위 군주에게 영지가 몰수되거나 아주 먼 친척에게 새로 분봉되었다. 프랑크 왕국 계통이 아닌 유럽 국가에서도, 딸에게 무사히 물려주는 경우보다 후계자가 어리거나 여성인 경우 무력으로 찬탈하는 것이 다반사였다.

이베리아 반도의 카스티야와 아라곤과 같은 동군연합을 예로 들자면, 아라곤 왕국의 페르난도 2세는 카스티야 왕국의 공동 통치자로 명목상 인정받긴 했지만 어떠한 권력도 누리지 못했다. 여기에 페르난도가 이사벨 1세 사후에 재혼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들이 요절하여 외손자인 카를 5세(카를로스 1세)에게 계승권이 넘어간 것일뿐 당시 풍속에선 여성 승계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합스부르크 가문만 봐도 보헤미아 왕국-헝가리 왕국-크로아티아 왕국 야기에우워 왕조와의 결혼을 통해 러요시 2세 전사 후 정당한 계승권을 주장할 수 있었으나, 이 경우에도 동부 에르데이 지역을 중심으로 한 헝가리 귀족들이 왕위 계승을 인정하지 않았던 데다가 오스만 제국의 간섭으로 인해 북부와 서부 일부만 가져올 수 있었고, 보헤미아 왕국에는 여러 이권과 자치권을 퍼줘야 했다.

네덜란드와 벨기에를 통치한 발루아-부르고뉴 공작가만 보더라도 부르고뉴 전쟁용담공 샤를이 낭시 전투에서 처참하게 전사하고, 외동딸인 마리 드 부르고뉴만 남은 상태에서 여계 승계를 금지하는 <살리카법>을 근거로 프랑스 왕이 상위 군주의 권한으로 영지 몰수를 시도하자 당시 부르고뉴 궁정에서 합스부르크 가문막시밀리안 1세에게 SOS를 쳐서 무력으로 저지한 것이지, 결혼으로 온전히 왕국이 상속되는 경우는 일반적이지 않았다.[13] 더군다나 잉글랜드는 역사상 헨리 1세(노르만 왕조 제3대 왕)가 자신의 외동딸인 마틸다(잉글랜드)에게 왕위를 물려주었음에도 여계 승계에 부정적인 신하들 덕에 쫓겨났고, 그 이후로도 당시 기준으로는 여왕이 없었다.[14]

30여 년에 걸쳐 왕위 계승을 두고 장미전쟁을 벌여 피를 흘린 역사적 경험 때문에, 헨리 8세의 아래에 있는 신하들도 하나 남은 왕위 계승권이 외국으로 유출되는 사태를 극도로 염려했다. 메리 1세 같은 여자 임금은 남편에게 강력히 영향을 받는다고[15] 생각했기 때문에 신하들은 헨리 8세가 새 장가 들기에 찬성했다. 보통은 혼인무효를 교회에서 승인받으면 기존 자식들에게는 계승권을 인정하고 기존 왕비에게는 막대한 재산을 하사해서 좋게 내보내거나, 쫓아내더라도 수녀원으로 유폐하고 끝냈다. 헨리 8세처럼 무일푼으로 쫓아내거나 목을 쳐버리는 경우는 드물었다.

게다가 잉글랜드는 다른 유럽 국가들과 달리 이미 국왕의 나라가 아니라 잉글랜드 자체로 국가 정체성이 뚜렷해진 상황이라, 외국인 왕이 들어앉아서 잉글랜드의 이익에 반하는 정책을 폄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상황이었다. 특히 아라곤의 카탈리나의 친정인 스페인 왕실[16]과 메리 공주의 지지 기반은 종교적으로 가톨릭 세력과 외세인 스페인이었기 때문에 메리에게 왕위가 넘어갈 경우 합스부르크 가문과 결혼할 확률이 높았으며(실제로 그러했고) 그렇게 된다면 잉글랜드는 국익과 무관하게 합스부르크 가문의 대외정책에 일방적으로 끌려가게 되는 형편이 되기에 잉글랜드 내부에서 그런 상황을 받아들일 리 만무했다.

결국 헨리 8세는 중세 군주들이 이혼을 원할 때처럼 교황청에 혼인무효[17]를 요청했다. 그러나 교황청에선 헨리 8세의 요구를 들어줄 수 없는 상황이었다. 명분으론 '전임 교황의 결정을 번복할 수 없다.'는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아라곤의 카탈리나의 친정 조카가 스페인 국왕이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카를로스 1세(카를 5세)였기 때문이었다. 황제도 황제지만 이 시기는 사코 디 로마(로마 대약탈), 즉 황제군에 의해 로마가 잿더미가 되고 이탈리아 르네상스가 막대한 타격을 입으며 쇠락한 상태여서, 로마 교황이 도저히 황제의 심기를 거스를 수가 없었다.

결국 이 문제는 소송전으로 발전하여 헨리 8세는
"캐서린이 전 남편 아서와 부부관계를 맺었기 때문에 나와의 결혼은 무효다!"
라고 주장했고, 캐서린은
"나는 아서와 부부관계를 맺은 적이 없기 때문에 이전 결혼은 정당한 사유로 무효가 되었으며, 따라서 헨리와의 결혼 역시 적법하다."
라고 주장했다. 《구약성경》의 <레위기>가 어쨌니 저쨌니 하는 지리한 재판 끝에, 교황청에선 결정에 따른 정치적 부담을 들어 재판을 무기한 연기하거나 로마에 와서 시비를 가리라는 쪽으로 결정이 났다. 이는 합법적으로 이혼이 불가능해졌다는 걸 뜻했다.

1529년 8월, 혼인무효가 무산된 책임을 물어 재상 토머스 울지 추기경을 궁정에서 쫓아내 요크로 돌려보내고[18] 토머스 모어가 대법관에 임명되었다. 그리고 혼인무효에 이론적 근거[19]를 제공한 종교개혁 성향의 신하들을 총애하기 시작했는데 마침 캔터베리 대주교가 사망하자 대륙 신학을 공부하고 와서 교황청과의 단절을 주장한 토머스 크랜머를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했다.[20] 최후의 시도로 교황청에 영국 대사를 보내봤지만, 이미 클레멘스 7세사코 디 로마로 카를 5세에게 사로잡혀 산탄젤로 성에 감금된 처지라 아무 것도 해줄 수가 없었다.

마지막 시도까지 빗나가자, 1534년 11월. 헨리 8세는 이미 잉글랜드 교회에서 싹튼 종교개혁 성향 성직자 귀족들의 지지를 배경으로 <수장령>(Acts of Supremacy, 首長令)을 선포했다.[21] 그리고 나서 잉글랜드 종교개혁의 후속조치로 <수장령>에 이어 <반역법>(Treason Act)을 제정하여, 잉글랜드 통치자에게서 나온 처분을 외국에 상소함을 반역으로 선언했다. 더불어 이런 권한을 부인하는 것까지 반역으로 선언했다.

잉글랜드 교회 내부의 전통주의 성향의 성직자들은 일단 <수장령>에 몇몇 조건을 거는 정도로 반항시도를 하다가, 헨리 8세의 뜻이 워낙 강경했기에 <수장령>을 받아들였다. 이 당시까지도 독실한 가톨릭 성향 교도들은 '임금님이 교황과 적당히 싸우다 말겠지' 하는 생각이 강했다. 중세 유럽 군주들도 일시적으로 난리치다가 교황청과 화해하던 것이 다반사였기 때문이었다. (종교개혁 성향의 젠트리 계층은 헨리 8세의 조치를 완전히 환영했다.)

그러나 <수장령>을 죽어라고 거부한 신하들이 둘이나 있었다. 헨리 8세의 심복이자 대법관으로 대륙 신학의 영향을 받은 신교도 성향의 신하들을 탄압하는데 등용했던 토머스 모어[22]와 존 피셔 주교[23]를 1535년에 처형하고 수도원을 파괴하자 더 이상 참지 못한 교황 클레멘스 7세는 1538년 12월에 헨리 8세를 파문에 처했다.[24]

그런데 신앙의 수호자이며 모든 그리스도인의 아버지교황님에게 개기지 말라고 말해서 교황청으로부터 칭찬(?)까지 받은 헨리 8세가 왜 이리 갑자기 변하며 여자 하나에 빠져 교황에 뒷통수를 쳤나라는 의문점이 들 수 있다. 당연히 앤 불린보다 아들 낳기 염원이 큰 것이었고, 원래 헨리 8세 이전의 역대 잉글랜드 국왕과 로마 교황와의 사이는 그다지 사이가 원만한 편이 아니었다. 앙주(플랜태저넷) 왕조 시절인 존 왕 치세때도 수도원과 교회를 털고, 성직자들의 수입을 가로챘다가 파문당하기도 했고, 그 아버지인 헨리 2세 시기에는 토마스 베켓을 죽이고 용서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막후 타협을 통해 대부분의 실리, 특히 성직자 처분권을 잉글랜드 왕이 가져갔으며, 에드워드 1세 시절에도 교회와 수도원 재산을 놓고 교황과 한바탕 싸웠다. 아비뇽 교황 시절에는 교황들을 프랑스 카페 왕실의 앞잡이로 생각하여 무시했으며, 백년전쟁 시기에는 실제로 아비뇽으로 대포를 끌고 가서 교황청을 협박해 돈을 뜯기도 했다. 또한 아비뇽-로마 교회의 대분열기에도 역시 대립교황들 사이에서 간을 보면서 고분고분하지 않았다.

헨리 8세 또한 교황청에 그다지 고분고분한 편은 아니었다. 헨리 8세는 즉위 초부터 잉글랜드 교회를 스스로 통제하고 싶어했고, 재상 토머스 울지 추기경을 영국 내에서의 '교황청의 사절'로 인정해달라고 계속 주장했으나 번번히 거부당했다. 교황청에서 보기엔 울지를 교황청 사절로 인정하면 사실상 잉글랜드 내에서 교황의 대리인이 되는 것인데, 울지는 헨리 8세의 충실한 신하이니 헨리 8세가 울지를 핑계삼아 잉글랜드 교회를 마음대로 다룰 것이 빤히 보였기 때문이다. 거기다 1516년 라이벌인 프랑스 왕 프랑수아 1세가 교황군을 격파하고 볼로냐 화약을 통해 프랑스 교회에서의 실질적인 권한을 취득하자 고까운 탓도 있었다. 교황청에서 세세한 명분들을 얻은 대신 프랑스 내 9개 대주교 자리를 포함하여, 주교, 수도원장ㆍ수녀원장 등 600여 개 성직 임명권과 교회 수입을 프랑스 국왕에게 양도하는, 사실상 교황청의 완전한 항복에 가까운 조치였기 때문이다.

잉글랜드 종교개혁의 결과인 잉글랜드 국교회(세계성공회의 모태)의 역사는 해당항목 성공회의 잉글랜드 교회의 역사 참조 바람.

2.4. 수도원 통폐합

이후 헨리 8세는 1535년 2월에 <수도원폐쇄령>(Act for the Dissolution of the Lesser Monasteries)을 의회에서 승인했다. 해당 법의 내용들을 뜯어보면 다음과 같다.[참조1]
그 와중에 교회니 수도원에서 성혈이 발현되었다니 뭐니 하면서 순례자들을 꼬이던 곳의 비밀이 알고 보니, 모두 닭이나 염소 피라는 게 낱낱이 폭로되면서 분노한 농민들까지 수도원을 때려 부수는 일이 일어나게 되었다.

2.5. 반발과 반란

수도원의 통폐합이 집행될 무렵, 잉글랜드 북부에서는 흉작과 그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이 일어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여러 가지 부작용이 야기되었다. 흉작으로 고통받는 농민들은 그나마 종교 행위로 심리적 위안을 얻고 있었는데 이를 방해받는 결과가 되었거나, 특히 환속수녀들의 경우에는 새출발을 위한 지원금이 모자라는 상황이 생겼다.[31] 게다가 수도원의 통폐합은 오늘날로 치자면 복지 시스템을 대격변 수준으로 갈아엎은 셈이었는데, 본당 단위로 관리되는 새로운 구휼 체계가 1536년도에 의회에서 통과되었다고는 하지만[32] 배고프고 불안한 상황에 그러한 교육이 제대로 될 리가 없었다. 인클로저 운동의 여파도 이러한 불만을 부추기면 부추겼지 잠재우지는 않았다.

한편 수도원의 통폐합 그 자체는 물론이고, <An Act Concerning the Uses and Wills>를 통한 부동산 소득 제한은 기득권의 불만을 야기했다. 또한 여러 교구를 소유하던 주교들은 한 교구만 빼고 수입을 완전히 몰수하며, 기존 교구 수입의 10%를 또 바치라는 법률도 통과되었다.
이로 인해 잉글랜드 북부에서는 여러 반란이 일어나게 되었고, 특히 1536년 10월의 은총의 순례로 그 절정을 찍게 되었다. 이때 지도자로 선임된 로버트 애스크(Robert Aske)는 정당성을 위해 나름대로 내부 규율을 엄격히 유지하고, 불만의 대상으로 국왕 헨리 8세 본인을 지목하는 것만은 철저히 막았다.[33] 그러자 헨리 8세도 타협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는지 폰트프랙트 성[34]에서 협상 자리를 만든 다음, 24개의 요구사항을 접수한 뒤 '이번만은 사면해 줄 테니 스스로 해산하라'고 명령하면서 애스크의 세력을 해산시켰다.

그런데 행정 처리 속도에 불만을 가진 프랜시스 비고드 경(Sir Francis Bigod)이 세력의 일부를 다시 규합해서 1537년 스카보로 성을 공격했다. 그러나 비고드 경의 세력은 요크셔의 베벌리에서 야습을 당해 궤멸되었고 비고드 경, 로버트 애스크를 비롯한 '은총의 순례' 수뇌부들은 모두 반역죄로 검거돼서 사형당했다.

2.6. 수도원 철폐

헨리 8세는 뜬금없이 후속 조치로, 1538년에 죽은 지 360년이 넘은 토마스 베켓(1118~1170) 캔터베리 대주교를 역모 혐의로 고발해 법정에 출두하도록 30일의 기간을 주었다. 물론 당연히 베켓은 나타날 리가 없었고, 이에 따라 베켓에게 유죄를 선고한 다음 켄터베리 대성당에 있는 그의 무덤을 부수고 유해를 불태운 뒤 무덤을 찾는 순례객들이 바친 막대한 보물을 몰수했다. 이는 헨리 8세가 가톨릭 신앙인이었을 때, 로테르담의 에라스뮈스의 영향으로 성유물이나 성해 공경 전통에 대해 매우 부정적이었던 영향도 있었다.

또, 은총의 순례 반란의 진압 이후로는 수도자들이 자발적으로 수도회 자산을 바치고 환속하는 현상도 관찰된다.[참조2] 결국 1539년의 <An Act for the Dissolution of the Greater Monasteries>를 통해, 통폐합된 대형 수도원들마저 모두 국유화되었다.

3. 후반 통치

윌리엄 틴들과 마일스 코버데일의 영어 번역본 《성경》이 존 로저스에 의해 출판되었다. 이후 재세례파 인사들도 반역죄 혐의로 처형시켰다.[36]

헨리 8세는 중년에 이르러서도 마상 창시합을 하다가 낙마 사고를 당해 한쪽 다리를 크게 다쳤고, 그로 인해 장애가 생기면서 예전과 달리 야외활동을 마음껏 즐길 수 없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생긴 스트레스 때문인지 나이가 들수록 생활태도가 방종해졌고, 과식을 일삼으면서 고도 비만이 되어 버렸다.[37]

원래 다혈질적이고 충동적인 성미의 소유자였지만 다리를 다치기 전에는 기분이 좋을 때 그나마 너그럽고 호탕한 면모라도 있었다. 하지만 다리를 다친 후로는 짜증을 잘 내고 신경질적인 성격이 되었다고 한다. 거기에 왕비를 둘이나 참수시키고 중용했던 관리들의 목까지 베어댔기 때문에, 신하들은 언제 헨리 8세의 심기를 거슬러 목이 날아갈까 두려움에 떨었다.[38] 정서적으로도 굉장히 불안정했으며 나이가 들면서는 병으로 인해 앓아눕는 일도 많아지기 시작했다. 또한 몸 곳곳에 종기와 수포가 자라 보기에 몹시 흉했으며 악취도 지독했다. 게다가 통풍을 심하게 앓았으며 낙마로 다친 다리의 상처는 크게 악화되어 그를 고통스럽게 했다.

한편 카를 5세프랑수아 1세가 다시 한 번 싸울 조짐을 보이자 마침 모어 성 조약에 따른 상납금을 받지 못하고 있던 참에, 카를 5세와 동맹을 맺고 프랑스와의 전쟁에 다시 돌입했지만 여기서도 별 소득이나 이득은 없었다. 심지어 카를 5세가 멋대로 프랑수아 1세와 화해하고 마무리짓자[39] 전비만 잔뜩 탕진하여 헨리 8세만 닭 쫓던 개 신세가 되었다.

앤 불린제인 시모어를 거쳐 신성 로마 제국의 개신교 제후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어 볼 생각으로, 토마스 크롬웰의 추천 및 주선하에 클레베의 앤과 4번째 결혼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절반은 앤에게 매력을 느끼지 못한데다 절반은 정치적 이유로[40] 크롬웰을 재판도 없이 처형해버렸다. 또한 클레베의 앤과의 결혼도 '첫날밤을 보내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어서 무효화시켰다. 하지만 크롬웰은 <수장령>에 적극적으로 협력했고, 심지어 재무에서도 독보적으로 유능했던 관료였던지라, 천하의 헨리 8세마저 크롬웰의 처형 후에야 그 공백을 느끼며 뼈저리게 후회했다.[41] 기껏 <수장령>으로 열심히 국유화한 교회 자산을 헐값에 처분하며 전비를 대다가 왕권이 기우는 단초가 본격적으로 눈에 띄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이다.

헨리 8세가 말년에 들인 마지막 왕비 캐서린 파도 아내라기보다는 까다로운 환자가 되어버린 늙은 남편의 실질적인 간병인이었다. 지금에야 영화나 드라마로 많이 미화되어서 드라마틱한 삶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그의 재위 말년 즈음에는 튜더 궁정의 모두가 미친 왕이 빨리 죽기만을 기도했고 그가 죽자 신하와 백성을 가리지 않고 모든 잉글랜드 사람들이 기뻐했다고 한다.


[1] 대신 헨리 7세가 그렇게 세금을 왕창 걷어놓고 사치도 부리지 않고 굉장히 아껴서 써서 헨리 8세 즉위 후엔 재정적으로 넉넉할 수 있었다.[2] 교회 대분열시기, 로마와 가까운 지역을 제외한 교황령은 거의 반 독립 상태로 떨어져 나갔고, 로마로 교황이 귀환했어도 세금 내기를 거부하며, 프랑스나 합스부르크 가문, 다른 이탈리아 도시들과 연맹하여 간섭도 거부했다.[3] 백년전쟁 참조.[4] 특히 플로든 전투 당시 스코틀랜드는 제임스 4세가 4만 명이나 되는 병력을 동원하고, 주요 귀족들이 참전했으며 이탈리아에서 갑주를 대량으로 수입하여 귀족들과 병사들을 무장시키는 등, 그렇지 않아도 가난한 국가의 역량을 총동원했다.[5] 초대 랭커스터 공작 곤트의 존(에드워드 3세의 3남), 초대 요크 공작 랭글리의 에드먼드(에드워드 3세의 4남).[6] 초대 랭커스터 공작 곤트의 존의 아들이다.[7] 3대 요크 공작 리처드의 친할아버지인 초대 요크 공작 랭글리의 에드먼드는 에드워드 3세의 4남으로, 에드워드 3세의 3남인 초대 랭커스터 공작 곤트의 존보다는 확실히 왕위 계승 순위가 낮았다. 하지만 에드워드 3세의 2남 앤트워프의 라이오넬의 유일한 여계 후손이(라이오넬은 외동딸밖에 없었다.) 3대 요크 공작의 어머니였기 때문에, 이를 통해 3대 요크 공작은 모계 혈통으로 보면 자신의 왕위 계승 순위가 랭커스터 왕조보다도 더 앞선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3대 요크 공작은 곤트의 존의 외손녀인 세실리 네빌과 결혼하면서, 그들의 자식들(에드워드 4세, 클라렌스 공작 조지, 리처드 3세)은 요크 왕조에 이어 랭커스터 왕조의 혈통까지 이어받게 되었다.[8] 보퍼트 가문은 곤트의 존과 그의 정부이자 세번째 아내인 캐서린 스윈포드의 자식들이 창시한 가문이다.[9] 에드워드 4세의 누이 서포크 공작부인 엘리자베스의 아들. 리처드 3세가 왕비 앤 네빌과 외아들 미들헴의 에드워드가 죽자 일단 추정 상속자로 지명한 인물이다.[10] 1년에 상납금 2만 파운드를 받으며 메리 튜더의 빚을 청산하는 댓가로, 프랑수아 1세의 구조를 돕고 칼레를 제외한 프랑스 영토에 대한 야욕을 버리는 것이었다.[11] 자세히 설명하자면 당시 유럽은 <살리카법>에 의하여 여성이나 여계 후손은 왕위를 이을 수가 없었는데, 헨리 8세는 아라곤의 카탈리나와의 사이에서 3남 3녀를 얻었지만 훗날 메리 1세가 되는 딸 하나만 남고 다른 아이들은 일찍 잃었다. 거기다 정부가 낳은 자식은 서자일 뿐 후계자가 되지 못해서 헨리 8세는 캐서린에게서 무조건 아들을 보아야 했다. 그러나 이미 당시 헨리 8세가 40세를 넘겼고, 그보다 여섯 살이나 연상인 캐서린도 더 이상 후사를 기대하기 힘들자 헨리는 새로운 왕비를 들여 아들을 보려 했던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캐서린에게 아무런 잘못이 없었고, 헨리의 무관심과 바람기도 참아줄 만큼 남편에게 헌신한 왕비였는데 그녀를 왕비 자리에서 폐위한 것이었다.[12] 사실 논문은 잉글랜드 주교들이 쓴 것을 헨리 8세의 명의로 발표한 것이었다. 당시 풍속에선 발표자의 명의가 주장을 뒷받침하는 데 중요했기에 흔한 일이었다.[13] 그나마도 절반은 프랑스 발루아 왕조에 뜯겼고, 손자대인 카를 5세 시절까지도 전쟁 상태였다가 결국 카를 5세가 프랑수아 1세에게 합스부르크 가문의 북이탈리아 지배권을 인정받는 조건으로 몰수된 영토를 포기했다.[14] 다만, 마틸다가 폐위된 이유에는 그것보다는 세금 문제가 한 몫하긴 했다. 그리고 프랑크족이 특수한 경우인 것이지, 다른 게르만족계들은 여왕이 종종 나오긴 했었다. 또한 그 이후에는 계승할 만한 여성 후계자가 없었고.[15] 사실 메리 1세가 스페인 압스부르고 왕조의 제2대 왕 펠리페 2세와 결혼했을 당시, 펠리페가 이전 결혼에서 낳은 돈 카를로스가 스페인과 이탈리아를 물려받고, 메리 사이에서 적자가 태어날 경우, 그 아이가 저지대와 잉글랜드 왕위를 물려받을 예정이었다. 스페인 대제국으로 통합될 예정은 전혀 아니었다.[16] 다만 캐서린의 친정은 트라스타마라 왕조로, 압스부르고 왕조 이전 카스티야 연합 왕국아라곤 왕국의 왕실이었다.[17] 가톨릭에서는 (오늘날까지도) 이혼(divorce)을 인정하지 않는다. 다만 몇 가지 경우에 '혼인무효'(annulment)라는 것은 가능하다. 자세한 것은 혼인성사 참조.[18] 울지는 원래 요크 대주교였다. 추기경임에도 불구하고 캔터베리 대주교가 왜 못 되었냐면, 울지 이전에 취임한 캔터베리 대주교가 80세 넘게 장수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 시기엔 주교들이 임지에서 벗어나 여러 교구를 소유하며 빨대만 꽂고 다른 곳에서 수입만 차지하는 경우가 잦았다.[19] 단순 어거지가 아니라 이미 교회법상으로 명백하게 근친상간이었다. 이 때문에 결혼 당시에도 이런 의견이 없는 게 아니었다. 또 개혁 성향 개신교 신학자들은 당연히 교황의 권위를 인정치 않은데다가, 개신교 신학에선 '결혼은 교회에서 주관하는 성사와 상관없다'는 게 통설이었기 때문에 주저없이 주장한 것이다. (반면 가톨릭에서 결혼(혼인성사)은 성사 중 하나로 매우 중요시된다.)[20] 교황청은 헨리 8세가 막 나갈 걸 방지하려고 했는지, 예상 외로 크랜머에게 임명장까지 보내주었다.[21] 실제로는 의회에서 통과되었기 때문에 령(令)이 아니라 법(法)이라고 해야 올바른데 잘못 번역되었다. <수장법>으로 바꿔 불러야 하겠지만, 워낙 <수장령>으로 자주 쓰였고 널리 알려졌기에 보통 <수장령>으로 쓴다.[22] 헨리 8세는 절친 토마스 모어를 시켜서 대륙 신학에 영향받은 옥스퍼드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신학교수 40명을 체포하고 6명을 화형시켰다. 그런데 헨리 8세가 이혼을 밀어부치자 모어는 이에 반대하며 1532년 5월, 대법관에서 사임했다.[23] 교황청에서는 피셔 주교가 헨리 8세에 의해 감금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설마 추기경을 처형하랴 싶어서 옥중에서 추기경으로 임명했으나 헨리 8세는 개의치 않고 피셔를 처형했다.[24] 관점을 완전히 돌린다면, 1천 년 이상 가톨릭 국가였던 잉글랜드를 한 순간에 반(反) 가톨릭 국가로 만든 국왕의 명령에 대해 단 2명(그것도 성직자는 오직 피셔 추기경 하나)만이 목숨을 걸고 반대했다는 것은 또 다른 면을 시사한다. 그만큼 잉글랜드 내에 종교개혁의 분위기가 무르익었다는 것이다. <튜더스> 같은 작품에서 <수장령>을 반대하는 신하가 둘 밖에 안 나오는데, 대표적인 인물 둘만 넣은 게 아니라, 정말로 둘 밖에 없었다.[참조1] Henry Gee,'Documents Illustrative of English Church History'[26] 'ornaments, jewels, goods, chattels'도 언급된다. 즉 부동산이나 금융 자산뿐만 아니라 십자가, 성상, 촛대 등 성물들까지 싸그리 긁어간다는 뜻이다.[영문1] 'use of his majesty without spoil, waste, or embezzling the same'[영문2] his highness shall satisfy, content, and pay all and singular such just and true of the debts which are owing to any person or persons by the chief governors of any the said religious houses, in as large and ample manner as the said chief governors should or ought to have done if this Act had never been made.[영문3] 'shall have their capacities, if they will, to live honestly and virtuously solved abroad, and some convenient charity disposed to them towards their living[영문4] it is ordained by the authority aforesaid, that the chief governors and convents of such honourable great monasteries shall take and accept them into their houses, from time to time, such number of the persons of the said convents as shall be assigned and appointed by the king's highness, and keep them religiously, during their lives, within their said monasteries.[31] '자립을 돕기 위해서는 경제 활동에 제약이 더 큰 쪽이 오히려 더 몫을 받아야지!'라고 할 수 있겠지만, 오히려 그러한 사고방식이 얼마나 대단하고 기발한 것인지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32] 빈민 기부를 위한 모금이나 물자는 본당의 모금함을 통해 모아야 하며, 구제를 받고 싶으면 이 모금함을 열 줄 아는 사람, 즉 동네 관리나 주임신부를 통해 빈민 기금을 받아가는 식이었다.[33] 수도원의 통폐합으로 인한 부작용이 얼마나 심하든간에 잉글랜드 역사상 최고의 절대왕권을 유지하고 있었던 헨리 8세를 비난하는 순간, '은총의 순례'에 가담한 사람들은 얄짤없이 반역죄로 목이 달아날 수 있었고 실제로도 그렇게 되었다.[34] 오늘날의 서요크셔에 있다.[참조2] 'Letters and Papers, Foreign and Domestic, Henry VIII, Volume 13 Part 1, January-July 1538'[36] 대놓고 이단 혐의로 순교하게 된 것은 가톨릭 복고 성향을 보인 메리 1세 치세에서의 이야기이다.[37] 특히 채소를 멀리하고 대신 독한 고기들을 마구잡이로 폭식하면서 비만이 더 심해졌다. 물론 당시 유럽 왕족귀족들이 채소가 가난한 하층민들이나 먹는 저급한 식재료라며 싫어했고, 고기를 마음껏 먹는 식생활이야말로 고귀한 습관이라고 여겼던 문화적 배경도 작용했다.[38] 물론 그만큼 헨리 8세 때 잉글랜드 국왕의 왕권이 강력해졌으며, 정점에 달했다는 뜻이 된다.[39] 카를 5세는 종교 개혁으로 인한 프로테스탄트 제후들의 이반으로 동생에게 전담시키던 신성 로마 제국 문제도 신경써야 했고,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도 있었기에 프랑스와 계속 싸울 수가 없었다.[40] 일단 클레베의 앤과의 결혼을 주선한 토마스 크롬웰에게 '배신감'을 느낀 듯한 정황이 있다. 또한 <수장령>에 반대하며 일으킨 반란이 제압당하면서 세력이 위축된 잉글랜드 북부 귀족들도 이 틈을 노려 하워드 가문을 중심으로 목소리를 키우기 시작했다.[41] 이후 신하들이 크롬웰을 모함했다는 식으로 역정을 냈다는 일화도 있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헨리 8세|헨리 8세]]}}}{{{#!if external != "o"
[[헨리 8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헨리 8세?uuid=r4510-r4525-r4700-r4715-d888ff3890gg|r86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헨리 8세?uuid=r4510-r4525-r4700-r4715-d888ff3890gg#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헨리 8세?from=861|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헨리 8세|헨리 8세]]}}}{{{#!if external != "o"
[[헨리 8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헨리 8세?uuid=r4510-r4525-r4700-r4715-d888ff3890gg|r86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헨리 8세?uuid=r4510-r4525-r4700-r4715-d888ff3890gg#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헨리 8세?from=861|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