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3 13:56:34

헹크 펠드메이어르

[[독일의 전쟁범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 전범과 재판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루돌프 헤스 | 마르틴 보어만궐석재판 | 발두어 폰 시라흐 | 발터 풍크 | 빌헬름 카이텔 | 빌헬름 프리크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알베르트 슈페어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알프레트 요들 |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 에리히 레더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카를 되니츠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 프리츠 자우켈 | 한스 프랑크 | 헤르만 괴링자살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볼프람 지퍼스 | 루돌프 브란트 | 발데마르 호펜 | 카를 겐츠켄

에르하르트 밀히

오스발트 폴 | 아우구스트 프랑크 | 게오르크 뢰르너 | 한스 뢰르너 | 프란츠 아이렌슈말츠

빌헬름 리스트 | 로타르 렌둘릭 | 발터 쿤체

울리히 그라이펠트 | 베르너 로렌츠 | 리하르트 힐데브란트

오토 올렌도르프 | 에리히 나우만 | 파울 블로벨 | 베르너 브라우네 | 에두아르트 슈트라우흐 | 마르틴 잔트베르거 | 오이겐 슈타임레 | 발데마르 클링겔회퍼 | 하인츠 요스트 | 구스타프 아돌프 노스케 | 프란츠 직스

헤르만 호트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게오르크 폰 퀴힐러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 | 빌헬름 케플러 | 에른스트 빌헬름 볼레 | 리하르트 발터 다레 | 한스 라머스 | 빌헬름 슈투카르트 | 오토 디트리히 | 고틀로프 베르거 | 발터 셸렌베르크 | 루츠 그라프 슈베린 폰 크로지크
별개의 재판
미국 마우트하우젠 재판

아우구스트 아이그루버 | 에두아르트 크렙스바흐 | 아돌프 추터
미국 부헨발트 재판

요시아스 추 발데크피르몬트 | 일제 코흐
미국 말메디 재판

요제프 디트리히 | 헤르만 프리스 | 요아힘 파이퍼
영국 하멜른 재판

카를 에버하르트 쇤가르트 | 요제프 크라머 | 이르마 그레제
영국 아우리히 재판

쿠르트 마이어
영국 헤롤트 재판

빌리 파울 헤롤트
네덜란드 리페르트 재판

미하엘 리페르트
소련 리가 재판

프리드리히 예켈른
프랑스 님스 재판

빌헬름 비트리히
프랑스 보르도 재판

하인츠 라머딩결석재판

아르투어 그라이저 | 아몬 괴트 | 요제프 마이징거 | 루돌프 회스 | 요제프 뷜러 | 알베르트 포르스터
폴란드 슈트로프 재판

위르겐 슈트로프
폴란드 코흐 재판

에리히 코흐
체코슬로바키아 리디체 재판

쿠르트 달루게 | 카를 헤르만 프랑크
서독 만슈타인 재판

에리히 폰 만슈타인
서독 부흐 재판

발터 부흐
서독 모아빗 재판

에리히 바우어
이스라엘 아이히만 재판

아돌프 아이히만
동독 블뢰체 재판

요제프 블뢰체
서독 뒤셀도르프 재판

프란츠 슈탕글
서독 트레블링카 재판

쿠르트 프란츠 | 빌리 멘츠
서독 소비보르 재판

쿠르트 볼렌더자살
서독 볼프 재판

카를 볼프
이탈리아 프리프케 재판

에리히 프리프케
프랑스 바르비 재판

클라우스 바르비
21세기 이후 나치 전범 재판

요제프 쉬츠
학살 사건 홀로코스트 | 독일 국방군의 전쟁 범죄 | 바빈야르 학살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벨라루스 점령 |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 말메디 학살 | 그래뉴 학살 | 르 파라디 학살 | 바르샤바 봉기 진압
종전 전 사망한
전쟁범죄
혐의자
아돌프 히틀러 | 요제프 괴벨스 | 마르틴 보어만 | 하인리히 힘러 | 리하르트 글뤽스 | 오딜로 글로보츠닉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이름프리트 에베를 | 쿠르트 폰 고트베르크 | 에두아르트 바그너 | 프리드리히 크뤼거 | 필리프 보울러 | 한스-아돌프 프뤼츠만 | 헤르베르트 바케 | 베른하르트 루스트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발터 모델 | 한스 크렙스 이상 자살
헤르만 페겔라인처형 | 아르투어 네베처형 | 카를 오토 코흐처형 | 에리히 회프너처형 | 빌헬름 카나리스처형 | 카를-하인리히 폰 슈튈프나겔처형 | 볼프 하인리히 그라프 폰 헬도르프처형 | 지크문트 라셔처형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암살 | 프란츠 발터 슈탈레커암살 | 테오도어 아이케전사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암살 | 페르디난트 폰 자메른 프랑케네크암살 | 오스카 디를레방어의문사 | 롤란트 프라이슬러폭사 | 프리츠 비트전사 | 카를 항케 | 에른스트 하인리히 슈마우저 | 프란츠 치라이스
실종된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리히 뮐러
기소되지 않은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츠 라이네파르트 | 쿠르트 발트하임 | 디트리히 폰 콜티츠
생체 실험 T4 작전
생체실험 관련인물
요제프 멩겔레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호르스트 슈만 | 아리베르트 하임 | 카를 클라우베르크 | 지크문트 라셔
강제수용소 틀:나치의 주요 절멸수용소 | 다하우 강제수용소
기타 라이헤나우 강조 명령 | 정치장교 명령 | 국방군 무오설 | 나치독일 피해자 만들기
나치 전쟁범죄 부역자 안테 파벨리치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비드쿤 크비슬링 | 이온 안토네스쿠 | 호리아 시마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스테판 반데라 | 안톤 뮈서르트 | 그러시 요제프 | 루돌프스 방게르스키스 | 페케테헐미-체이드네르 페렌츠 | 헹크 펠드메이어르 | 루스커이 예뇌 | 아민 알후세이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중립국
※ 문서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 서술. 기소 여부 및 판결에 대해서는 각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문서를 참고
※ 둘러보기: 틀:파시즘, 틀:나치즘, 틀:뉘른베르크 군사법정 전범재판 }}}}}}}}}
<colbgcolor=#000><colcolor=#fff> 요하네스 헨드릭 펠드메이어르
Johannes Hendrik Feldmeijer
'[1]
파일:펠드메이어르1.jpg
출생 1910년 11월 30일
네덜란드 드렌터주 아선
사망 1945년 2월 22일 (향년 34세)
네덜란드 국가판무관부 랄터
국적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학력
직업 군인
최종 계급 슈츠슈타펠 대령
무장친위대 대위
주요 서훈 철십자 훈장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1. 개요2. 초기 행적3. 정치 활동4. 제2차 세계 대전5. 최후

[clearfix]

1. 개요

파일:펠드메이어르2.jpg
헹크 펠드메이어르 (Henk Feldmeijer)
네덜란드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2. 초기 행적

네덜란드의 드렌터주 아선에서 육군 상사의 아들로 태어난 펠드메이어르는 중간 이름인 "헹크"만을 사용하여 헹크 펠드메이어르를 이름으로 썼다. 1928년에 고교를 졸업한 후 흐로닝언 대학에 입학해 수학물리학을 전공했다.

3. 정치 활동

1931년에 병역 의무로 휴학해 포병 장교가 되었다. 이 때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NSB)의 돌격대(WA)와 접촉하여 나치즘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1932년에 펠드메이어르는 NSB 당원이 되어 479번의 번호를 받았다. 최초의 1,000명 멤버 중 한 명으로서 NSB의 리더인 안톤 무세르트와 직접적인 연줄이 있었던 그는 흐로닝언 시내에서 연설하며 리더의 필요성과 민주주의에 대한 반발을 역설했다. 펠드메이어르의 화술은 곧 먹혀들어, 선전부의 요직에 취임해 독일과 이탈리아도 방문하여 SS 대원 및 파시스트 당원과도 접촉했다.

1935년에 대학에서 치러진 전공 시험에서 낙제하자 그대로 대학을 퇴학하여 이후 정규 당원의 자격으로 유트레히트의 본부에서 본격적인 나치즘 활동에 전념하게 되었다.

NSB에서 펠드메이어르는 네덜란드 역사속의 독일적인 요소를 개발하여 민족우월주의와 반유대주의적인 역사관을 고무시켰다. 그는 독일의 슈츠슈타펠과 많은 극비 라인을 가지고 있어,  NSB 내부에서 당 견해의 과격화를 주도했다. 펠드메이어르는 네덜란드인의 선조인 게르만 민족혈통의 유지를 이상화하여 1937년안톤 무세르트와 마찰을 빚어 지방으로 좌천되었다.

4. 제2차 세계 대전

1940년 5월 3일에 네덜란드 정부는 나치 독일에게 기밀을 누설한 혐의로 펠드메이어르를 체포하여 벨기에를 경유해 프랑스로 호송했지만 5월 30일에 칼레를 침공한 독일군에 의해 풀려났다. 6월 2일, 네덜란드 침공 직후 독일의 수중에 떨어진 네덜란드로 돌아온 그는 친위대 국가 지도자 하인리히 힘러 및 네덜란드 국가판무관인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와 만났다.
파일:펠드메이어르3.jpg
한스 라우터와 헹크 펠드메이어르
며칠 후, 펠드메이어르는 네덜란드 친위대 및 경찰 고급지도자였던 한스 라우터와 만났는데, 펠드메이어르의 열의와 카리스마에 감복한 라우터는 1940년 9월 11일 네덜란드 SS의 설립에 있어 그를 도왔다. 1942년 1월에 게르만 SS로 통합되기 전까지 네덜란드 SS는 최대 4,000명 규모의 조직으로 팽창해 있었다.

이 네덜란드 SS는 NSB의 하부 조직이었지만 나치 친위대의 하부 조직이기도 했다. 표면상의 책임자는 NSB의 수장인 안톤 무세르트였지만 실질적인 지도자는 펠드메이어르와 그를 지지한 힘러, 그리고 라우터였다. 펠드메이어르는 독일의 유럽 정복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여 자신도 최전선에서 종군했다.
파일:펠드메이어르4.jpg
무장친위대 소위 (하급돌격지도자) 헹크 펠드메이어르
1941년 4월부터 5월까지 제1SS기갑사단의 포수로서 유고슬라비아 침공 및 발칸 반도 전쟁에 참가했으며, 1942년 6월에는 제5SS기갑사단의 고사포 지휘관으로 독소전쟁에 참전했다. 1943년 3월에 알게마이네[2] SS에서 대령으로 승진한 후, 1944년 3월무장친위대 대위 계급도 받은 펠드메이어르는 1, 2급 철십자 훈장 및 전투 중 부상으로 인해 전상장을 수여받았다.
파일:펠드메이어르 대령.jpg
친위대 연대 지도자 펠드메이어르
펠드메이어르는 조직에 대한 집념으로 인해 주위의 NSB당원들과 여러 차례 권력 투쟁을 반복했다. 나치는 제3제국의 일부로서 네덜란드의 완전한 통합을 목표로 했지만 무세르트는 추축국의 일원으로 네덜란드의 존속을 원했다. 네덜란드 점령정부는 펠드메이어르를 무세르트의 감시역으로 세웠다. 펠드메이어르와 무세르트 양자의 대립은 극에 달하여 1943년 5월에 NSB와 나치 친위대의 결속은 사실상 완전히 결렬되었다.

펠드메이어르는 NSB의 저항활동에 대한 나치 독일의 보복 조치에 가세한 후, 1943년 9월부터 1944년 9월까지 레지스탕스 활동가들의 체포에 나서 적어도 20명 이상을 처형했다.

5. 최후

1945년 2월에 펠드메이어르는 제34SS의용척탄병사단 대대장으로 임명되었다. 2월 22일, 그가 출근하던 중 타고 있던 승용차가 연합국 전투기의 기총 소사를 받으면서 그 자리에서 사망했다.[3]


[1] Veldmeijer에서 Feldmeijer로 개명했다.[2] 일반친위대[3] 이를 안 힘러는 라우터에게 전보를 보내어, 펠드메이어르는 자신이 생각했던 네덜란드의 미래였다며 매우 애석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