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9 15:50:20

형산파

<keepall> {{{#!wiki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cdcdc, #fff 20% 80%, #dcdcdc); color: #000"
[[문파|
파일:20210614035618.png
무림의 세력
]]{{{#!wiki style="padding-top: 5px; min-height: calc(1.5em + 10px); border-top: 1px solid #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colbgcolor=#010101><colcolor=#fff,#e0e0e0>정파
(무림맹)
<colbgcolor=#808080,#43454d><colcolor=#fff,#e0e0e0>무림세가남궁세가 · 모용세가 · 사천당가 · 제갈세가 · 하북팽가 / 황보세가 · 산동악가 · 진주언가
구파일방개방 · 소림사 · 무당파 · 아미파 · 화산파 · 곤륜파 · 종남파 · 공동파 · 점창파 · 청성파 · 해남파
정교전진교
기타모산파 · 형산파
사파
(사도련)
흑도녹림 · 장강수로채 · 하오문 · 살막
사교마교 (천마신교 · 천마) · 혈교 (혈마) · 배교 · 밀교 · 명교 · 일월신교
기타 세력황실동창 · 금군 (금의위)
새외무림남만 · 광풍사 · 북해빙궁 · 동영 · 해동 · 포달랍궁 · 뢰음사 · 장백파
기타표국 · 신비세력 (암중세력)
문파 · 틀:무협 용어 · 틀:무공의 경지 · 분류:무협 용어 · 무공/목록}}}}}}}}}}}}

1. 개요2. 형산이란3. 무공4. 등장 작품

1. 개요

衡山派

무협물에 나오는 문파. 중국오악(五岳)의 하나인 남악(南岳) 형산에 위치한 문파이다. 숭산파, 태산파, 항산파, 화산파 등 오악 산에 위치한 다른 문파들과 함께 오악검파로 분류되며 오악문파 중에서는 화산파 다음으로 비중이 크다. 다만 구파일방의 거대 문파로 자주 등장하는 화산파와는 다르게 조역, 단역급 비중이거나 혹은 악역 중소문파로 등장한다. 그나마 비중이 클 때는 구파일방의 말석으로 등장하며 주인공 문파로 등장하는 경우는 드물다.

2. 형산이란

형산파의 본산인 형산은 그 산색이 수려하여 오악독수(五岳獨秀)라 불리며 청나라 문인 위원은 '항산여행(恒山如行), 태산여좌(泰山如坐), 화산여립(華山如立), 숭산여와(嵩山如臥), 유유남악독여비(唯有南岳獨如飛)'라는 문구로 형산의 수려함을 칭송했다.

형산은 불교와 도교의 공동 성지이며 주희주자학 이전 유학의 큰 흐름 중 하나였던 호상학파(湖湘學派)의 발상지이며 중국 사대 서원으로 꼽히는 악록서원이 소재한 악록산(岳麓山)이 형산 72개 봉우리 중 하나이다. 그래서 형산파는 일반적으로는 도교이지만 때때로 불가(佛家)나 유가(儒家)의 문파일 때도 가령 있으며 혼합되기도 한다.

형산은 남악에 꼽히는데 남방은 화(火)를 상징하고 형산제일봉의 이름이 불의 신, 축융의 이름을 딴 축융봉이며 아예 축융씨가 죽어 형산에 묻혔다는 전설에 더해 강남제일묘라 불리는 남악대묘와 축융전이 존재함으로 형산파의 주신은 축융이며 따라서 형산파의 공력은 온후하고 양강한 경우가 잦다. 따라서 형산파가 등장히지 않을 땐 세외의 축융신궁(祝融神宮)이 형산에 소재하기도 한다.

형산은 수산(壽山), 수악(壽岳)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축융이 인간의 목숨(壽)와 인연, 복락을 관장하는 신이기 때문이로고 이러한 연유로 장수를 기원하기 위해 해마다 많은 사람들이 형산의 도관과 사찰을 찾는다. 수악형산이라 적혀있는 만수대정(萬壽大鼎)이 있다.

남악팔경을 대표적인 명승으로 꼽으며 근처에 동정호가 있다.

3. 무공

4. 등장 작품


[1] 북에서 날아오던 기러기가 여기에 이르러 되돌아간다하여 회안봉(回雁峰)이라 하는 형산의 봉우리에서 착안한 듯 싶다.[2] 상수강에 의해 형산 자락에는 운무가 자욱하게 걸치는데 이를 형산 연운(煙雲)이라 부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