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8:57:30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선거 과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
민주당 · 공화당
(결과 / 결과)
선거 과정
개표 · 선거 결과 분석
변수
여론조사
북동부 · 남부 · 중서부 · 서부 · 본토 외부주 · 워싱턴 D.C.

1. 개요2. 선거 전 예상
2.1. 경합주 판세 예상
3. 선거인단 변화4. 전당대회
4.1. 민주당
4.1.1. 대통령 후보: 조 바이든4.1.2. 부통령 후보: 카멀라 해리스
4.2. 공화당
4.2.1. 대통령 후보: 도널드 트럼프4.2.2. 부통령 후보: 미정
5. 토론
5.1. 예비 토론회(6월 27일, CNN 주최)5.2. 1차 토론회(9월 16일, 텍사스주)5.3. 2차 토론회(10월 1일, 버지니아주)5.4. 3차 토론회(10월 9일, 유타주)
6. 투표
6.1. 사전투표6.2. 본투표
7. 개표8. 선거 결과 분석

1. 개요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선거 과정에 대해 서술한 문서.

2. 선거 전 예상

무엇보다도 전현직 대통령들간의 격돌이 벌어질지의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손꼽힌다. 2023년 기준으로 도널드 트럼프조 바이든 모두 표면적으로 차기 대선에 출마를 선언한 상황이며, 두 사람의 양자대결을 상정한 여론조사 결과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다만 조 바이든의 출마선언은 나이가 나이인지라 실제로 출마해 재선을 노린다기보다 레임덕을 방지하고 국정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전략일 가능성이 있고, 도널드 트럼프의 경우에도 무언가 여의치 않은 상황이 생길 경우 자신의 대안후보를 내보낼 가능성도 있어서 좀 더 지켜봐야 할 듯 하다.

그럼에도 현재로선 일단 두 후보가 각 경선에 나오기만 한다면 후보가 될 가능성이 높기에 리매치 성사를 예상하는 이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듯 둘 다 나이가 너무 많아서 건강 문제로 인해 다른 젊은 후보가 나와야 된다는 말도 꽤 지지를 얻고 있는 상태고 이를 의식해서인지 두 명을 제외한 각 당의 후발주자들은 운동 영상을 종종 올리고 있다. #

한편 콜로라도메인주가 수정 헌법 제14조에 따라 도널드 트럼프를 경선 및 본선 투표용지에서 배제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2024년 3월 4일, 미국 연방대법원이 트럼프의 대선 출마 자격을 유지하는 판결을 내렸고, 트럼프가 개별 주에서 후보 자격을 상실할 가능성은 사라졌다.

2.1. 경합주 판세 예상

조지아주, 애리조나주, 위스콘신주, 펜실베이니아주, 미시간주, 네바다주, 노스캐롤라이나주 이렇게 총 7개의 경합주 93인의 선거인단이 차기 미국 대통령을 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 각기 선거인단 16명을 차지하는 조지아주노스캐롤라이나주는 7곳의 경합주 중에서 트럼프 후보의 탈환 가능성이 가장 높게 점쳐지는 경합주들이다.[1]

2024년 6월 19일 기준, 주요 경합주들에서 트럼프가 모두 경합우세 내지는 넉넉한 우세를 점하고 있다. 개별 기관들의 여론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가중 평균을 산출하는 RealClearPolitics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명 선거인단 트럼프 바이든 격차
위스콘신 10 47.4 47.3 +0.1
애리조나 11 48.3 43.7 +4.6
조지아 16 48.5 43.7 +4.8
미시간 15 47.0 46.7 +0.3
펜실베이니아 19 47.8 45.5 +2.3
노스캐롤라이나 16 47.8 42.5 +5.3
네바다 6 48.3 43.0 +5.3
선거인단 수 예상 총합 312 226

심지어 2020년에 바이든이 비교적 여유있게 승리했던 미시간, 네바다에서까지 트럼프가 앞서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역전된 이유에 대해서는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변수를 참고할 것.

3. 선거인단 변화

2020년 인구조사 결과 텍사스는 하원의원 2석, 콜로라도, 오리건, 노스캐롤라이나, 몬태나, 플로리다가 각각 1석씩 추가되었다. 반면 캘리포니아, 뉴욕, 일리노이, 미시간, 오하이오, 펜실베이니아, 웨스트버지니아는 1석씩 감소했다. 이에 따라 해당 주들에 배정되는 선거인 수 또한 마찬가지로 변경되었다.

4. 전당대회

4.1. 민주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년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1. 대통령 후보: 조 바이든

<colbgcolor=#0044C9>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조 바이든 (Joe Biden)
파일:President Joe Biden.jpg
출생 1942년 11월 20일 (81세)
펜실베이니아주 스크랜턴
현직 제46대 미합중국 대통령
1988년 대선 민주당 경선 후보 사퇴
2008년 대선 민주당 경선 5위
민주당 부통령 후보 지명
본선 1위 (52.93% / 365명, 민주당)
2012년 대선 민주당 부통령 후보 지명
본선 1위 (51.06% / 332명, 민주당)
2020년 대선 본선 1위 (51.31% / 306명, 민주당)

현 제46대 미합중국 대통령, 전 제47대 미합중국 부통령. 198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대통령 경선에 출마했다가 중도 사퇴했으며, 2008년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대통령 경선에 출마했으나 버락 오바마 등에게 밀려 5위로 낙선했다. 그리고 같은 해 부통령 후보로 지명되어 당선되었고, 2012년에 민주당 부통령 후보로 출마해 재선, 2020년에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4.1.2. 부통령 후보: 카멀라 해리스

<colbgcolor=#0044C9>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카멀라 해리스 (Kamala Harris)
파일:Vice President Kamala Harris.jpg
출생 1964년 10월 20일 (60세)
캘리포니아주 앨러미다 카운티
현직 제46대 미합중국 부통령
2020년 대선 본선 1위 (51.31% / 306명, 민주당)

현 제49대 미합중국 부통령.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부통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4.2. 공화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년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 경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1. 대통령 후보: 도널드 트럼프

<colbgcolor=#E81018>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 도널드 트럼프 (Donald Trump)
파일:President-Trump-Official-Portrait.jpg
출생 1946년 6월 14일 (78세)
뉴욕주 뉴욕시
2016년 대선 본선 1위 (46.09% / 304명, 공화당)
2020년 대선 본선 2위 (46.86% / 232명, 공화당)

전 제45대 미합중국 대통령.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대통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었고, 2020년에 공화당 대통령 후보로 재선에 도전했으나 조 바이든에게 밀려 2위로 낙선했다.

4.2.2. 부통령 후보: 미정

미 현지시각 27일, 조 바이든과의 첫 토론에서 부통령 후보를 데리고 공개할 것이라는 예측과는 달리 데리고 오지 않음으로써 아직도 공석 상태이다.

5. 토론

5.1. 예비 토론회(6월 27일, CNN 주최)


동부 미국 표준시 기준 오후 9시 경 토론이 시작되었다. 초반부에는 최근 미국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낙태 문제에 대한 질문과 이민 문제 등에 대해 토론을 하였다.

트럼프는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에 관한 질문에 "폭동이 발생한 1월 6일 미국의 경제는 어느 때보다 좋았고 국경은 어느 때보다 안전했다", "바이든이 자신의 정적에 대한 공격만 이어가고 있다"는 등의 동문서답을 하였다. 이후에도 질문을 회피하고 바이든에 대한 공격에만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 이후 사회자의 제지를 받자 의회를 공격했던 이들은 애국자이며 자신은 "평화적으로, 애국적으로 (peacefully, and patriotically)"이라고 밖에 하지 않았으니 스스로 책임이 없다고 주장했다.[2] #

바이든은 트럼프가 참전용사들을 "Suckers"라는 욕설을 사용하며 조롱한 것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라크전 참전 용사인 장남 보 바이든을 거론했는데, 동시에 트럼프를 향해 "어리버리한 사람은 내 아들이 아니라 당신이다. 당신은 패배자야!(My son was not a sucker. You’re a sucker. You’re the loser.)"라고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 #

바이든은 토론 시작과 함께 목을 거듭 가다듬거나 여러 번 기침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쉰 목소리로 토론회를 이끌어 가면서 고령으로 인한 체력 문제를 불식하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이에 미국·영국의 주요 언론에서는 "최악의 밤이었다" "비참했다"는 등의 혹평을 남겼다.# 반면 트럼프는 2020년 토론 때와 비교해 절제하는 모습이 보여 노련해 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 #

CNN이 27일(현지시각) 첫 TV 토론회가 끝난 후 여론조사 기관 SSRS에 의뢰해 실시한 조사 결과, 응답자 67%는 이번 토론에서 트럼프가 승리했다고 답했다.#

미국 언론들은 양측의 발언을 실시간으로 검증했다. #

5.2. 1차 토론회(9월 16일, 텍사스주)

5.3. 2차 토론회(10월 1일, 버지니아주)

5.4. 3차 토론회(10월 9일, 유타주)

6. 투표

6.1. 사전투표

6.2. 본투표

7. 개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선거 과정/개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선거 결과 분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선거 결과 분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조지아주는 2023년 5월 이후 시행된 주단위 여론조사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트럼프와 동률 포함 우세를 보인 사례가 전무한 상황이며 노스캐롤라이나주는 7곳의 경합주 중 공화당 수성이 다소 예상되는 경합주로 분류된다.[2] 실제로 트럼프는 "힘을 보여줘라(show strength)"라는 말로 시위대를 선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