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002561> | KBO 리그 역대 2차 드래프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color: #181818" | KBO 리그 2차 드래프트 | ||||
2012년 | 2014년 | 2016년 | 2018년 | 2020년 | |
2024년 | 2026년 |
1. 개요
2025년 말에 개최될 제7회 KBO 리그 2차 드래프트를 정리한 문서이다.2. 시행 방식 및 변화점
2025년 3월 25일 열린 KBO 이사회에서, 다음과 같은 개정 사항이 확정되었다. #우선 자동 보호 대상이 입단 4년 차 소속 선수 중 군입대 보류, 육성군보류 이력이 있는 선수까지 확대되었다.
가장 많이 바뀐 부분은 의무 등록 규정 관련 부분이다.
- 의무 등록 기간은 1군 부상자 명단 및 퓨처스리그 치료, 재활 명단에 30일 이상 등재된 시즌도 예외로 인정한다.
- 2년 이내 의무 등록 기간을 충족하지 못해 임의해지된 선수는 복귀 시까지 의무 등록을 유예하고 복귀 후 잔여 기간 내 의무 등록을 충족하게 한다.
- 의무 등록 기간 미충족 선수가 FA 보상선수나 차기 2차 드래프트로 양도, 양수된 경우 기준 충족 의무는 최종 구단이 가지며 양도금 반환은 최초 2차 드래프트 양수 구단 간 진행한다.
- 2차 드래프트로 이적한 선수의 트레이드가 1년 동안 전면 불가능했던 것이 완화되어, 의무 등록 기간을 충족했거나 3라운드 이하 지명 선수는 트레이드가 가능하게 되었다.
3. 지명
3.1. 지명 이전
3.2. 지명 결과
* 볼드 표시는 이적 구단에서 WAR 1 이상을 기록한 선수.<colbgcolor=#002561><colcolor=#fff> RD | | |||||||||
키움 | ||||||||||
1 | ||||||||||
2 | ||||||||||
3 | ||||||||||
4 | 지명권 없음 | |||||||||
5 |
원 소속 구단별 지명 현황 (정렬은 피지명 선수가 많은 순. 피지명 선수 수가 같은 경우 2025 시즌 순위 역순.)
<rowcolor=#fff> 원 소속 구단 | 선수 수 |
합계 |
수비 위치별 지명 현황 (지명 구단 기준, 정렬은 2025 시즌 순위 순.)
<rowcolor=#fff> 지명 구단 | 선수 수 | 합계 | |||
<rowcolor=#fff> 투수 | 포수 | 내야 | 외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키움 히어로즈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4. 지명 당시 평가
5. 이적 선수의 활약
5.1. 키움 히어로즈
키움 히어로즈 | ||
<rowcolor=#fff> 라운드 | 지명자 | 평가 |
1R | ||
2R | ||
3R | ||
4R | ||
5R | ||
종합 평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