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21:19:32

H&K VP70

VP70에서 넘어옴
VP70
Volkspistole 70
70년식 국민권총
파일:attachment/VP70/vdf.jpg
전기형 VP70
파일:vp70z_profile 0.jpg
후기형 VP70Z
파일:vp70m_w-stock.jpg
개머리판이 부착된 후기형 VP70M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자동권총
기관권총
원산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서독|]]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70년~불명
개발 헤클러 운트 코흐
생산
생산년도 1970년~1989년
사용국
[[포르투갈|]][[틀:국기|]][[틀:국기|]]

[[파라과이|]][[틀:국기|]][[틀:국기|]]

[[모로코|]][[틀:국기|]][[틀:국기|]]
기종
원형 HSc
HK4
파생형 VP70M
VP70Z
제원
탄약 9×19mm 파라벨룸
9×21mm IMI (VP-70Z 한정)
급탄 18발
작동방식 공이 직동식
단순 블로우백
더블 액션[1]
격발방식 단발
3점사 (개머리판 필요)
총열길이 116mm
전장 204mm (개머리판 제외)
504mm (개머리판 포함)
중량 820g
발사속도 2,200RPM (3점사 기준)
유효사거리 50m }}}}}}}}}
1. 개요2. 상세
2.1. 역사2.2. 특징
3. 종류
3.1. VP703.2. VP70M3.3. VP70Z
4. 기타5. 등장 매체
5.1. 게임5.2. 영화 & 드라마5.3. 애니메이션 & 코믹스
6. 에어소프트 건7. 참조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Vp70z.jpg
Forgotten Weapons의 VP-70M 리뷰 및 사격 영상

헤클러 운트 코흐 사에서 개발된 최초의 합성수지(Polymer) 자동권총이자 기관권총[2]

2. 상세

2.1. 역사

파일:vp70z_ad 0.jpg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패배를 목전에 둔 독일군국민돌격대 지급을 위해 마우저 사가 국민권총 개발을 계획했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나치 독일의 항복과 함께 양산되지 못한채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곧이어 세계에는 이념 대립에 따른 냉전이 시작되고 마우저 사 출신의 장인들에게서 설립된 헤클러 운트 코흐 사는 무기 도입 예산이 넉넉치 않은 신생국 또는 중소국에게 어필하기 좋은 저가형 권총으로 VP70을 개발하였다.

1970년의 첫 생산 이후에 1979년 미국 플로리다 주의 에글린 미 공군기지에서 진행된 미군 합동제식소화기사업(JSSAP) 직전의 초기 심사에 제출되기도 했는데, 부품의 숫자를 최대한 줄이려는 시도에서 비롯된 근본적인 결함으로 인해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했다.[3] 뿐만 아니라 혁신적인 합성수지(Polymer) 소재에 맞춘 대규모 생산 설비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탓에 해외 수출에도 차질이 빚어지면서 포르투갈이나 모로코에서의 소량 도입을 제외하고 25,000정 생산을 끝으로 1989년에 단종되고 말았다.

2.2. 특징

파일:vp70-patent_drawing 0.jpg

과거의 국민권총과 설계 사상에 유사성이 있는데, 바르샤바 조약기구독일을 시작으로 서유럽이 침공당한 상황에 징집될 일반 국민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최대한 간략하게 만들어졌다. 때문에 내부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만들고 부품 숫자도 최대한 적게 줄였으며, 생산성을 위해 슬라이드 부분은 단순한 철판인 반면, 하부 프레임은 세계 최초로 합성수지(Polymer) 소재로 이루어졌다. 좌우로 교차되어 삽탄되는 복열식 탄창의 기본 장탄수도 18발이어서 1970년대 기준으로 다른 기종들에 비해 대용량을 자랑했다.

파일:vp70_package 0.jpg

무엇보다 독특한 요소로는 권총집(Holster) 겸용의 플라스틱 개머리판이 하부 프레임의 두 끝부분에 결착된다는 것. 물론 권총에 장착하는 개머리판이야 브룸핸들 마우저나 스테츠킨 등의 다른 기관권총에도 쉽게 볼 수 있는 요소지만, VP70은 권총 자체로는 단발만 가능하고 개머리판에 기계장치와 단발/3점사 조정간이 들어 있어 개머리판을 장착하면 3점사로도 쏠 수 있었다. 구조적으로 단순하다보니 연사속도는 분당 2200발로 매우 빨랐다.

파일:vp70z_disassembled 0.jpg

그러나 저비용 생산을 염두에 둔 탓에 더블 액션으로만 작동하는데다가 격발에는 외부에 돌출된 공이치기(Hammer)가 없는 일종의 스트라이커 방식을 따르면서 방아쇠의 압력이 높아 당기기가 힘들었으며,[4] 슬라이드는 크고 무거워 조작하기에도 불편했다.

또한 총열이 프레임에 고정된 단순 블로우백(Straight Blowback) 구조였기 때문에 체감 반동이 컸으며, 총열에 깊게 파인 강선은 발사 시 총구로 가스가 새어나가서 압력을 약하게 하는 바람에 결과적으로 탄속이 10% 이상 느려지는 결과를 초래하여 호신용에나 쓰이는 .380 ACP에 가까울 정도로 위력이 떨어지게 되었고 비정품 탄약을 쓰면 종종 작동불량을 일으켜서 유지비가 많이 드는 반면에 명중률은 그리 높지않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었다.

반동이 크다보니 군용 VP70M의 경우에는 반동 제어와 명중률을 높이기 위해 3점사가 아닌 단발로 사용한다고 해도 웬만하면 개머리판을 장착한 뒤 사용하는 방식이 정석이었고 본체만 쓴다는 것은 급한 상황에서나 하는 짓이었다. 민수형 VP70Z의 경우에는 결착 부위가 막혀 있었기 때문에 개머리판을 달 수 없다보니 사용자가 반동을 제어하는데 익숙해지는 것 밖에 방법이 없었다.

이렇게 수많은 단점을 그대로 남기고 자취를 감춘 실패작이지만, 합성수지(Polymer) 소재의 하부 프레임과 공이치기가 생략된 스트라이커 격발 방식처럼 생산 효율성을 위해 채택된 획기적인 요소들은 이후 글록을 비롯한 여러 기종에게 계승되어 현대 자동권총 시장의 판도를 바꾸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3. 종류

3.1. VP70

파일:vp70(early)_w-stock 0.png

첫 양산된 전기형으로, 슬라이드의 각인과 빗금 형태의 서레이션이 포함된 돌출부에서 차이를 찾을 수 있다.

3.2. VP70M

파일:vp70m_w-stock.jpg

군용(Militär) 후기형으로, 슬라이드 및 하부 프레임의 외관이 간략하게 바뀌고 개머리판 결합을 통한 3점사 기능이 유지되었다.

3.3. VP70Z

파일:vp70z_profile 0.jpg
파일:vp70-vp70z_comparison 0.jpg
전기형 VP70(좌)와 후기형 VP70Z(우) 비교 모습

민수용(Zivil) 후기형으로, 슬라이드 및 하부 프레임의 외관이 간략하게 바뀌고 개머리판 결합 부위가 막히면서 단발 발사만 가능하다. 생산 분량 중 400정이 9×19mm 파라벨룸 사용이 규제된 이탈리아 수출을 위해 9×21mm IMI에 맞추어지기도 했다.

4. 기타

파일:vp70-safety 0.jpg
파일:vp70-front 0.jpg
방아쇠 뒤의 원형 버튼은 산탄총 등에서 자주 쓰이는 크로스 볼트 안전장치이며, 탄창의 고정과 분리는 손잡이 아래의 레버형 장치에서 이루어진다. 두꺼운 가늠쇠 후면은 흑색의 본체와는 다르게 유광 은색인 동시에 중간 부분이 길게 파여 있어 사용자의 빠른 조준을 돕는다.

5. 등장 매체

5.1. 게임

5.2. 영화 & 드라마

파일:external/www.imfdb.org/600px-Aliens_VP70.jpg}}} ||
파일:external/www.imfdb.org/600px-ALIENS-HKVP70-3.jpg
||

5.3. 애니메이션 & 코믹스

6. 에어소프트 건

이쪽에도 에어소프트건으로도 시판된 적이 있었다! 일본의 MGC라는 곳에서 모델건으로 시판된 적이 있었고 이후에는 요네자와에서 에어코킹식으로 타니오코바에서 블로우백 가스건으로 발매된 적이 있다.# 개머리를 부착하면 반자동과 3점사가 작동되는 것까지 제대로 재현하였는데 모델건 시절에 시판한 건 블로우백이 불안정해서 3점사에서 2점사로 작동하는 식으로 문제가 있었기에 가스건으로 제작할 적에는 약한 블로우백으로도 확실하게 작동되도록 개선하였다고 한다. 타니오 코바의 VP70M은 슬라이드는 초기형, 프레임은 후기형인데 해당 모델이 실총에서도 소량으로 주문생산한 모델이 존재하기에 고증에 어긋나진 않는다.

2021년 현재 타니오 코바에서도 단종된지는 오래되었고 블랙홀 등의 밀리터리 쇼에서 개머리나 탄창 등의 재고를 판매한 적이 있었다. 현재 일본 옥션에서는 시가의 몇 배의 가격으로 나와있으며 국내에서는 입수가 하늘의 별따기.

7. 참조

8. 둘러보기

냉전기의 독일 연방군(서독군) 보병장비
파일:독일 정부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독일 연방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Kar98k, SSG 69, SP66, Gewehr M1903, Gewehr Lee-Enfield, MAS-36
반자동소총 G3SG/1, WA2000, PSG1, WSG2000, Gewehr M1, Karabiner M1
자동소총 StG44, G1, G2, G3, G4, HK32, HK33, G8, G41, RH-70, HK36, Mauser G11, H&K G11
기관단총 MP40, MP1, MP2, PM9, MP3, MP4, MP5, KP/-31, M1A1, DUX-53, DUX-59
산탄총 HK512, M870
권총 P08, PPK, P1, P2, P3, P4, P5, P6, P7, P9, P11, VP70, P51/52, M19
조명총 P2
지원화기 기관총 M1918, MG1 ,MG2, MG3, MG8, HK23, M1919, M73, MG50
유탄발사기 HK69, HK79
대전차화기 PzF44, PzF3, MBB Armbrust, M40, MILAN, M20, RL-100, M72 LAW, BGM-71 TOW, Leuchtbüchse 84 mm
맨패즈 Fliegerfaust 1, Fliegerfaust 2
박격포 Esperanza
유탄 DM21, DM41, DM51
지뢰 PARM 1
냉병기 총검 Arbeitsmesser, KCB-77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현대 포르투갈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6600>



<colbgcolor=#006600> '''[[소총|
소총
]]'''
<colbgcolor=#006600> '''[[돌격소총|
돌격소총
]]'''
SCAR-L STD | SCAR-H STD | 갈릴 (AR/ARM)R | m/962R | m/961 | m/963R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SCAR-H PR | PSG1G
'''[[저격소총|
저격소총
]]'''
마우저 86SR
기관단총 MP5(A3/A5) | FBP m/948R | 우지 m/961R | 비뉴롱 m/961R
산탄총 베넬리 M4 | 베넬리 슈퍼노바 | 모스버그 590 | 레밍턴 M870
권총 글록 17 Gen.5 FS | 베레타 92R | P228R | USP9R | 발터 m/961R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2|
경기관총
]]'''
미니미 Mk.3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미니미 7.62 | FN MAG | M60(D/E3) | MG3 | HK21R
'''[[기관총#s-5.1|
중기관총
]]'''
M2HB 브라우닝
유탄발사기 FN40GL | GMG | Mk.19 Mod 3 | LAG SB M1 | HK79A1R | M79R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무반동총|
무반동포
]]'''
칼 구스타프 M3
로켓 M72A3 LAW
미사일 참고: 틀:현대전/포르투갈 유도무기
맨패즈
박격포 FBP m/68 | L16A2 | m/84 탐펠라 B
견인포 L119 LG | M101A1 | M114A1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MCX | HK416(A5/A7) | G36(C/K/KE) | M16A2 | SG543R | AR-10 m/961R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HK417A2 | G28E | MSG90
'''[[저격소총|
저격소총
]]'''
AW | AWM | AWSF | AWSM | AXMC | AW50 | 바렛 M95 | 바렛 M107A1
기관단총 MP9 | P90 | UMP45 | MP5SD6 | MP5KA4
산탄총 STF-12 | SDASS 택티컬 | SPAS-12 | SPAS-15
권총 P30 | 데저트 이글 | SIG SP2022 | SIG GSR | 글록 19 | P226R
기관총 MG4
유탄발사기 MGL Mk.1 | HK269 | M203 | HK69
'''[[폭발물|


]]'''
'''[[수류탄|
수류탄
]]'''
살상탄 m/321 | m/963
연막탄 m/979
화학탄 m/968 CM | CS/MOD M7 | 트리플렉스 CS
폭약 PE4E 플라스틱 폭탄
※ 윗첨자R: 퇴역 화기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현대 파라과이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373a3c><colbgcolor=#CE1126> 현대의 파라과이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colbgcolor=#0038A8> 돌격소총 FN FAL, CQ-A 카빈*, M16A1*, T65K2, M4A1
저격소총 M24 SWS, M107A1
기관단총 MP5, UZI, KRISS Vector^
권총 브라우닝 HP35, 베레타 92, PT92, VP70Z
지원화기
기관총 네게브, FN MAG, HK21E, M1919A4, M2 브라우닝, Vz.26 brno
유탄발사기 M79, M203
대전차화기 M40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72 LAW, M18 무반동포, M20
박격포 브랑 Mle 27/31, M30, M120 BMS
예비용 화기 G3
*: 소수만 채용되어 운용중
^:경찰특공대에서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파일:h&k-logo 0.png 헤클러 운트 코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fff,#000> 헤클러 운트 코흐 제품 라인업
권총 <colbgcolor=#fff,#000> 자동권총 HK4 · P9 · VP70 · P7 · USP · Mk.23 · P2000 · UCP · HK45 · P30 · VP9
기타 P2 · P11
기관단총 MP5 (MP5-N) · UMP · MP7
산탄총 CAWS · HK512 · FP6
소총 반자동 PSG1 (MSG90) · WSG2000 · SL8 · SLB2000 · G28 (M110A1)
자동 G3 (HK32 · HK33 · HK53 · G41) · G11 · HK36 · G36 · XM29 (XM8) · SA80A2 · HK416 (M27) · HK417 · HK433
기관총 HK21 (HK23) · MG4 · MG5 · HK421
유탄발사기 HK69 · HK79 · GMG · AG36 (M320) · XM25
탄약 4.6×30mm
}}}}}}}}}}}} ||


[1] 후술하다시피 스트라이커 방식 권총임에도 더블 액션으로 격발할 수 있다. '스트라이커 방식 + 더블 액션' 조합을 가진 또 다른 권총으로는 발터 P99가 있고 이 권총은 디코킹 기능까지 탑재되었다.[2] 화기 분야 중에서는 1959년에 출시된 레밍턴 사의 나일론 66에 가장 먼저 쓰였다.[3] 이때 P9S가 함께 제출되었으며, 이후의 XM9 호신용 권총(PDW) 사업의 정식 심사에는 P7A10가 쓰였다.참조[4]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비상시에 시민을 무장시킬 목적으로 만든 총이다보니 안전사고를 막기위해 의도적으로 높게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5] 이름은 영화 레옹의 주인공 파트너 '마틸다 란도'에게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