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2 08:50:54

스트리트 파이터(영화)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로고 블랙.png파일:스트리트 파이터 로고 화이트.png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본편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colbgcolor=#eee,#000>
파일:sf1 아이콘.svg파일:sf1 아이콘 블랙.png
파일:sf2 아이콘.svg파일:sf2 아이콘 블랙.png
파일:sf0 아이콘.svg파일:sf0 아이콘 블랙.png
파일:sf4 아이콘.svg파일:sf4 아이콘 블랙.png
파일:sf6 아이콘.png파일:sf6 아이콘 블랙.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기타 작품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min-width: 70px"
<colbgcolor=#eee,#000><colcolor=#000,#fff>합본II 터보 · II 대쉬 플러스 · SFC1 · SFC2 · III 더블 임팩트 · 애니버서리 · ZeroFG · 25th · 30th · CFC1 · CFC2
외전작
파일:sfex 아이콘.svg파일:sfex 아이콘 블랙.png 시리즈:
스트리트 파이터 EX · EX2 · EX3
더 무비 · 리얼 배틀 온 필름
모바일:
SF4 아레나
기타
게임
관련 시리즈 : 파이널 파이트 · 사립 저스티스 학원
자사 크로스오버 : VS. 시리즈(XvSF · MvSF · MvC1 · MvC2 · MvC3 · MvCI · CvS1 · CvS2 · TvsC · SFxTK) · PF · CFJ · SFxMM
타사 크로스오버 : SvC MotM · SvC Chaos · SSB4 · SSBU
미디어
믹스
영상물:
실사 · 춘리의 전설 · 전설의 귀환 · 2 극장판 · TV판 · 가두쟁패전 · 거리의 무법자 · 초급학교패왕 · 스트리트 파이터(2026)
만화:
힘내라 사쿠라 · 류 파이널 · 스트리트 화이터 III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colbgcolor=#eee,#000>플레이어블 캐릭터만 처음 등장한 시리즈 부분에 나열됨 · 그 외는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등장인물 문서 참조
파일:sf1 아이콘.svg파일:sf1 아이콘 블랙.png
·
파일:sf2 아이콘.svg파일:sf2 아이콘 블랙.png
가일 · 달심 · 블랑카 · E.혼다 · 장기에프 · 춘리 / M.바이슨 · 발로그 · 사가트 · 베가 / 디제이 · 캐미 · 페이롱 · T.호크 / 고우키 · 진 고우키 / 세뇌당한 켄
파일:sf0 아이콘.svg파일:sf0 아이콘 블랙.png
아돈 · 버디 · 가이 · 소돔 · 찰리 내쉬 · 로즈 · / · 롤렌토 · 사쿠라 / 코디 · R.미카 · 카린 · 율리 · 유니 /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 이글 · 마키 / 잉그리드
파일:sfex 아이콘.svg파일:sfex 아이콘 블랙.png
독트린 다크 · 스컬로 매니아 · 크래커 잭 · 풀룸 플루나 · 호쿠토 · 다란 마이스터 · 블레어 데임 · 앨런 스나이더 · 카이리 / 가루다 · 사이클로이드 베타/감마 · 피의 봉인을 푼 호쿠토 / 샤론 · 하야테 · 나나세 · 섀도우 가이스트 / 볼케이노 롯소 · 에어리어 · 베가 2 / 에이스
알렉스 · · · · 이부키 · 엘레나 · 더들리 · 오로 · 네크로 · / 휴고 · 유리안 / 마코토 · Q · 트웰브 · 레미
파일:sf4 아이콘.svg파일:sf4 아이콘 블랙.png
C.바이퍼 · 루퍼스 · 엘 포르테 · 아벨 · 세스 · 고우켄 / 하칸 · 한주리 / 광기의 오니 / 포이즌 · 디카프리
네칼리 · 라시드 · 라라 · F.A.N.G / 콜린 · 에드 · 아비게일 · 메나트 · 제쿠 / 팔케 · G / 카게나루모노 · 루시아 / 아키라 · 루크 · 일레븐
파일:sf6 아이콘.png파일:sf6 아이콘 블랙.png
제이미 · 마농 · 킴벌리 · 마리사 · 릴리 · JP / A.K.I. / 테리 (콜라보) · 마이 (콜라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min-width: 70px"
<colbgcolor=#eee,#000><colcolor=#000,#fff>관련 문서기술 · 성우 · 월드 투어 · 풍림화산류 (고우테츠 · 살의의 파동) · 사이코 파워 · 무신류 · 샤돌루 · 매드 기어 · 딤프스 · 아리카 · e스포츠(CPT · SFL)
고유 시스템슈퍼콤보 2~ · 오리지널 콤보 · 세이빙 어택 4 · 울트라콤보 4 · V 시스템 5 · 드라이브 시스템 6 · 모던 컨트롤 6
기술표2 시리즈 · 제로 (제로 2 · 제로 3) · 3 시리즈 · 4 시리즈 · 5 시리즈 · 6 시리즈
}}}}}}}}} ||
<colbgcolor=#191919><colcolor=#ffffff> 스트리트 파이터 (1994)
Street Fighter
파일:attachment/스트리트 파이터(영화)/street_fighter.jpg
장르 액션
감독 스티븐 E. 드 수자[1]
각본
원작 캡콤스트리트 파이터
제작 에드워드 R. 프레스먼
츠지모토 겐조
주연 장 클로드 반담
라울 훌리아
밍나 원
카일리 미노그
웨스 스투디
촬영 월리엄 A. 프랭커
편집 에드워드 M. 애브롬스
앤서니 레드먼
로버트 F. 슈그루
돈 애론
음악 그래임 레빌
촬영 기간 1993년 ~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에드워드 R. 프레스만 프로덕션
파일:일본 국기.svg 캡콤 Co. Ltd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콜럼비아-트라이스타 픽처스
배급사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유니버설 픽처스
파일:세계 지도.svg 콜럼비아-트라이스타 필름 디스뷰터스 인터내셔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콜럼비아-트라이스타 픽처스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12월 2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년 12월 24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5년 5월 6일
화면비 1.85 : 1
상영 타입 필름
상영 시간 102분
제작비 3,500만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 $99,433,436 (1995년 12월 23일 기준)
북미 박스오피스 $33,423,521
대한민국 총 관객 수 89,633명 (최종 기준)서울 극장
스트리밍
[[Apple TV+|
Apple TV+
]]
#!if 링크 != null
[[https://tv.apple.com/|▶]]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tv.apple.com/|▶]]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tv.apple.com/|▶]]
#!if 주석2 != null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초기.svg 12세 이상 관람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13 로고.svg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
4.1. 엔딩
5. 기타

1. 개요

대전 격투 게임의 명작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를 영화로 만든 미국 영화.

특기할 점은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를 기반으로 만들었지만 영화 제목은 <스트리트 파이터>다.

원작 게임 제작사인 캡콤과 정식으로 판권 계약을 한 후 제작됐다. 국내에서 제작된 가두쟁패전 같이 홍콩의 '천하만화'[2]라는 이상한 만화 회사와 판권 계약을 해서 제작한 특촬물이 절대 아니다.

게임 원작 영화 중에서도 손에 꼽히는 괴작 중 하나지만, 이와는 별개로 상업적 성공을 거둔 최초의 게임 원작 실사 영화이다.

2. 예고편

메인 예고편

3. 시놉시스

가일 대령이 이끄는 연합동맹군은 동남아시아 샤달루 제국에 파견된다. 샤달루의 독재자 바이슨 장군이 죽음의 시간으로 주어진 72시간 내에 63명의 인질을 구해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바이슨 장군이 철두철미하게 숨겨놓은 비밀 요새를 찾아내려 하지만 접근할 수가 없다. 하지만 도중에 켄 마스터즈와 류 호시 두 스트리트파이터의 도움으로 가일 대령과 영국 전략장교 캐미는 바이슨과 그의 오른팔 빅터가 이끄는 샤달루 범죄집단을 물리칠 묘략을 세운다. 주어진 시간은 흘러가고 위기가 고조되지만 텔레비전 여기자 춘리가 사건의 실마리를 제공하며 홀연히 등장하는데, 그녀는 단순히 글로벌 뉴스의 기자로서만이 아닌 비밀스런 임무를 띠고 있어 가일 대령 일행을 혼란스럽게 할 뿐이다.

4. 등장인물

게임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를 기준으로 페이롱을 제외한 전 캐릭터가 등장하... 지만 원작 재현도는 글쎄... 페이롱은 성룡을 캐스팅했으나 최종 단계에서 결렬되었다는 후문. 또한 캐릭터의 컨셉 자체가 이소룡이었기 때문에 초상권 문제로 포기했다는 설도 있다. 이소룡의 아들 브랜든 리를 캐스팅하려고 했으나, 하필 브랜든 리가 크로우 촬영 중에 사망해서 포기했다는 루머도 있다.

아래에 소개된 캐릭터들의 풀네임은 오로지 영화에서만 사용된 것으로, 일부 캐릭터를 제외하고는 오리지널 게임과 관계가 없다.

4.1. 엔딩

나름대로 해피 엔딩, 개그 엔딩, 배드 엔딩(?)이 어우러져 있다.

5. 기타

거기에다 큰 이익을 남길 정도로 흥행하기도 하였으니, 완전히 흑역사라고 볼 수준은 아니다.

파일:external/img.photobucket.com/bison_dollar1.jpg
[1] Steven E. de Souza.[2] 天下漫畵, '스트리트 파이터 가두패왕'(街頭覇王)을 제작한 만화 회사이다.[3] 아놀드는 개그 캐릭터나 로봇, 야만인 등 어눌한 발음이 어색하지 않은 역할을 주로 맡기라도 했지만, 여기서 가일은 제일 진지한 캐릭터 중 하나인 데다가 사기를 고취시키는 연설까지 하는데 꽈찌쭈에 준하는 발음으로 이상한 데서 터지게 만든다.[4] 사실 아놀드는 발음이 딱딱해서 그렇지 유럽인들이 어설프게 영어를 쓰는 데서 오는 괴상한 습관이 안 튀어나와 알아듣기는 꽤나 쉽다. 그러나 반담은 발음이 안 좋은 게 문제가 아니라 영어 좀 한다는 사람조차도 대관절 뭔 소린지 알아듣기가 굉장히 힘들다. 가일 대령이 병사들에게 하는 연설 장면처럼 각 잡고 하는 말이 아니라 마치 흘리듯 빠르게 지나가버리는 대사는 원어민이 들어도 헷갈릴 때가 많다.[5] 이 영화에 등장하는 연합군 장병들은 전부 유엔 평화유지군을 패러디한 Allied Nation(AN)군 소속이다. 전투복 왼팔엔 출신 국가의 국기를 부착하고 있고, 옷은 같지만 계급장은 자기 소속군의 것으로 달고 있어서 같은 계급임에도 계급장이 서로 다르다.[6] 여담이지만, 해당 영상을 편집해서 올린 유튜브의 베스트 댓글도 가관이다. "미군이 이라크 가는 것 같다."[7] 훗날 또 다른 망작 스피드 레이서 영화에서 후지 레이스 경기의 아나운서로 출연했다.[8] 그외에도 다이 하드 (1988년)에서 FBI요원, 007 살인면허 (1989년)에서는 호킨스 경사, 리썰 웨폰 2 (1989년)의 제리 콜린스, 엑소시스트 3 (1990년)에선 앳킨스 병장 역을 맡기도 했다.[9] 성룡의 썬더볼트에 소우(Saw, 쿠거와 한 패인 야쿠자 보스) 역으로 출연한적이 있다.[10] 사실 샤돌루와의 격돌을 주제로 본다면 류보단 가일이 주인공에 더 어울릴 수도 있다.[11] 다만 영미권에선 원래부터 라이우라도 했다. 정확히는 라이유가 아니라 라이우. Ry-u를 따로 발음하는 건데 저런 식으로 자음yu라고 되어있는 경우 원 의도대로 발음해주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대표적으로 hyundai인데 매우 발음하기 난감한 스펠링이다.[12] 김영선과 히라타 히로아키는 원피스에서 상디를 담당하고 있다.[13] 마침 원작에서 베가의 제복이 적색이란 점에 맞춘 것으로 보인다.[14] 사실 카를로스를 영국식 이름으로 고치면 찰스가 되므로 찰리라고 부르는 게 말은 된다.[15] 게다가 당시로서는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가 나오기 이전이라 찰리에 대한 언급은 가일 백스토리 및 설정이 전부.[16] 그런데 이건 이해해줘야 할 대목이다. 베가가 쓰는 필살기인 싸이코 크래셔의 모션을 자세히 보자면 블랑카가 구현하는 필살기인 롤링어택의 모션과 마찬가지로 구현하기가 불가능에 가까울만큼 어렵다. 공중에 뜬 채로 돌진하면서 계속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 그렇다면 그 대신 북두의 권에 나오는 바스크의 필살기 화산옥악조마냥 돌진만 하게 했드라면 좋았을 것을...[17] 한국에서는 주로 TV 미니시리즈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그 때만 해도 미드나 미국 미니시리즈가 지상파에 자주 나오던 시절이라... 영화로는 엘살바도르의 민주투사인 오스카 로메로 대주교의 삶을 다룬 영화 "로메로", 아담스 패밀리, 의혹 그리고, 1980년대 TV극 "무솔리니"와 "오나시스", "알라모"가 모두 KBS에서 방영해 준 그가 주연한 미니시리즈.[18] 1994년 10월 16일에 뉴욕의 오페라 하우스에서 열리는 연극에 참여했다. 그러나 그 후 복부에 통증을 느껴 병원으로 옮겨졌다. 그는 걱정하지 않은 채 자신이 출연할 영화인 데스페라도(안토니오 반데라스 주연)의 대본을 연습했지만, 발작을 일으켰고 4일 후인 20일에는 혼수상태에 빠졌다. 결국 또 4일 후인 1994년 10월 24일, 뇌출혈로 세상을 떠났다.[19] 밀라 요보비치도 남동생이 너무 좋아하는 바람에 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에 출연했다. 이후 시리즈 전체가 큰 성공을 거둬 게임 원작 영화 중에서 그나마 기본은 한다는 평을 받는다. 감독인 폴 W. S. 앤더슨과 결혼한 것까지는 덤.[20] 히트, 딥 라이징 등 여러 액션 영화에서 조연을 맡았지만, 출생과 경험을 살려 아메리카 원주민 관련 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21] 스트리트 파이터 세계관의 러시아 대통령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대학 후배이고, 대전 승리 대사에서 러시아 문학 도서나 차이코프스키의 음악을 추천하는 지적인 면모를 보여준다.[22] 춘리 일행이 바이슨의 일당을 공격하는 것을 TV 실황 중계로 보여주는데, 그것을 직접 막을 생각은 안 하고 "어서 채널을 딴 데로 돌려!!"라고 흥분한다. 이 병맛스러움에 바이슨을 비롯, 좌중 전부가 죄다 넋이 빠져버린다(...).[23] 보디빌더 출신으로 배트맨 리턴즈에서 맥스 슈렉의 아들 칩 슈렉으로 나왔었고 2003년작인 공포영화 텍사스 전기톱 학살의 리메이크에서는 레더페이스를 연기했다.[24] 이 둘에서 선정된 영화들은 대동소이한데,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윙 커맨더, 왕의 이름으로, 히트맨, , 블러드 레인, 레지던트 이블 아포칼립스, 더블 드래곤, 스트리트 파이터, 모탈컴뱃 어나힐레이션,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어둠 속에 나 홀로, 데드 오어 얼라이브, 파 크라이 등이다.[25] 해외에선 세금 및 지사 수익 분배 및 극장 외 수익창구들을 고려해서 극장에서 제작비의 2배 이상을 벌어야 안정적으로 손익분기점을 넘긴다.[26] 다만 모탈 컴뱃의 경우는 애초에 게임에서부터 캐릭터들이 죄다 실사로 나오기 때문에 영화로 촬영했을 경우 위화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었고 그게 성공 요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27] 위에서 각주로 언급된 영화들 중에서 볼이 연출한 영화가 5편이나 된다.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왕의 이름으로, 블러드 레인, 어둠속에 나홀로, 파 크라이.[28] 사실 퀄리티가 낮은 건 맞는데, 나름 터지는 개그도 있고 망작들 특유의 허세가 없이 깔끔하게 쌈마이 구성으로 가서 그냥 B급 영화라고 보면 의외로 재미는 있다. 물론 당시 꽤 주가 높던 장클로드 반담이나 라울 훌리아같은 무게감 있는 배우를 데려다놓고, 무엇보다 액션으로 레전드가 된 게임을 영상화하면서 형편없는 액션에(사실 이게 결정적이다) B급 개그만 돋보이는 작품을 만든 건 문제지만.[29] 이후 2002년 11월 9일에 재방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