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명·지명 한자 약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륙 | |||||||
亞 | 歐 | 阿 · 非 | ||||||
아시아 | 유럽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
南 · 韓 | 北 · 朝 | 華 · 臺 · 台 | 中 · 漢 唐 | 日 和 | ||||
대한민국 | 북한 | 대만 중화민국 | 중국 | 일본 | ||||
蒙 | 美 · 米 | 英 | 加 | 濠 · 澳 | ||||
몽골 | 미국 | 영국 | 캐나다 | 호주 | ||||
佛 · 法 | 獨 · 德 | 墺 · 奥 | 伊 | 蘭 | ||||
프랑스 | 독일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
西 | 葡 | 露 · 俄 | 印 | 印尼 | ||||
스페인 | 포르투갈 | 러시아 | 인도 | 인도네시아 | ||||
末 · 馬 · 馬聯 | 泰 | 比 | 越 | 埃 | ||||
말레이시아 | 태국 | 필리핀 | 베트남 | 이집트 | ||||
波 | 厓 · 愛 | 丁 | 瑞 | 那 · 諾 | ||||
폴란드 | 아일랜드 | 덴마크 | 스웨덴 | 노르웨이 | ||||
希 | 芬 | 南阿共 | 白 | 匈 · 洪 | ||||
그리스 | 핀란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벨기에 | 헝가리 | ||||
瑞西 | 土 | 墨 | 阿根廷 | 巴西 | ||||
스위스 | 튀르키예 | 멕시코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
과거의 국가 | ||||||||
伽 | 高 · 麗 | 濟 | 羅 | 朝 | ||||
가야 [A] | 고구려 · 고려 [A] | 백제 [A] | 신라[A] | 조선[A] | ||||
大秦 | 蘇 | 普 | 倭 | 琉 | ||||
로마 제국 | 소련[B] | 프로이센[C] | 왜국 [D] | 류큐 왕국/열도 [D] | ||||
지역 및 도시 | ||||||||
亞太 | 滿 | 加州 | 羅城 | 桑港 | ||||
아시아-태평양 | 만주 지역 | 캘리포니아주 | 로스앤젤레스 | 샌프란시스코 | ||||
華盛頓 | 莫斯科 | 伯林 | 羅馬 | 倫敦 | ||||
워싱턴 D.C. | 모스크바 | 베를린 | 로마 | 런던 |
}}}}}}}}} ||
臺 대 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至,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4획 | ||||
고등학교 | |||||||
台 | |||||||
일본어 음독 | ダイ, タイ | ||||||
일본어 훈독 | うてな, しもべ | ||||||
台 | |||||||
표준 중국어 | tá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臺는 '대 대'라는 한자로, '대', '돈대' 혹은 '대만'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81FA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GRBG(土口月土)로 입력한다.高(높을 고)와 至(이를 지)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한국어에서는 의존명사 그리고 접미사로 쓰인다. 의존명사로 쓰일대는 차량등의 수량을 세는 단위로 '승용차 100 대'등의 표현에 사용되며, 접미사로는 대략적인 수량을 나타낼때 쓰는데, '100억대의 자산가', 8000호대 전기기관차등에 쓰인다.
나름 자주 쓰이는 한자이지만 모양이 복잡하여 중국의 간체자나 일본의 신자체에서는 전통적으로 한자 문화권에서 臺를 빨리 쓸 때, 발음이 같은 台로 쓰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들어 공식적으로 臺를 폐지한 후 台에 병합시켰다. 대만에서도 자국의 표기를 臺灣 대신에 台灣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台는 '별 태'라는 臺와 별도의 훈음이 있기 때문에, 중국이나 일본에서 臺의 약자로 쓴 台를 한국에서 그냥 台로 읽는 실수가 잦다. 예를 들면 중국의 옌타이시는 한국 한자음으로는 '연대'로 읽는 게 맞지만, 흔히 '연태'라고 읽는다.
이체자로 㙜(U+365C)가 있다. 측우기를 올려놓는 돌에 측우대라고 적혀 있는데 '대'를 이 형태로 쓴 예가 발견된다.
3. 용례
3.1. 단어
- 대(臺)
- 가판대(街販臺/架版臺)
- 각대(角臺)
- 건조대(乾燥臺)
- 게양대(揭揚臺)
- 공작대(工作臺)
- 관망대(觀望臺)
- 기상대(氣象臺)
- 단두대(斷頭臺)
- 대각(臺閣)
- 대본(臺本)
- 대장(臺帳)
- 대지(臺地)
- 도약대(跳躍臺)
- 등대(燈臺)
- 매대(賣臺)
- 명경대(明鏡臺)
- 무대(舞臺)
- 발사대(發射臺)
- 분수대(噴水臺)
- 삼각대(三脚臺)
- 세면대(洗面臺)
- 시험대(試驗臺)
- 심판대(審判臺)
- 월대(月臺)
- 전망대(展望臺)
- 전차대(轉車臺)
- 진열대(陳列臺)
- 추대(錐臺)
- 침대(寢臺)
- 토대(土臺)
- 포대(砲臺)
- 해대(海臺)
- 화장대(化粧臺)
- 활주대(滑走臺)
- 국부천대(國府遷臺)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 경포대(鏡浦臺)
- 대만(臺灣)
- 몰운대(沒雲臺)
- 문장대(文藏臺)
- 백운대(白雲臺)
- 비선대(飛仙臺)
- 상무대(尙武臺)
- 센다이시(仙台市)
- 송웡토이역(宋皇臺站)
- 오대산(五臺山)
- 을밀대(乙密臺)
- 이견대(利見臺)
- 천문대(天文臺)
- 청와대(靑瓦臺)
- 탄금대(彈琴臺)
- 해운대(海雲臺)
- 화랑대역(花郞臺驛)
3.5. 창작물
3.6. 기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5.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𤗿[⿰片臺](거슬러깎을 대)
- 𪒴[⿰黑臺](검을 대)
- 檯(나무이름 대)
- 擡(들 대)
- 嬯(미련스러울 대, 털뽑을 퇴)
- 籉(삿갓 대)
- 懛(어리석을 대)
- 薹(유채 대)
- 㘆(조롱할 대)
- 儓(하인 대)
- 𩦽[⿰馬臺](둔마 태)[1]
- 𧭏[⿰言臺](자세바로할 태)
- 𡽩[⿰山臺]
- 𢅣[⿰巾臺]
- 𤁅[⿰氵臺]
- 𤢬[⿰犭臺]
- 𤐽[⿰火臺]
- 𭨉[⿰日臺]
- 𦢀[⿰⺼臺]
- 𤻡[⿸疒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