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16:19:57

가정문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영문법 개념 假定文}}}에 대한 내용은 [[가정법]]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가정법#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가정법#|]]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영문법 개념 假定文: }}}[[가정법]]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가정법#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가정법#|]]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가정문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역대 대만 금마장 시상식
파일:금마장 로고.svg
여우주연상
제57회
(2020년)
제58회
(2021년)
제59회
(2022년)
천슈팡
(고독의 맛)
가정문
(폭포)
장애가
(등화란산)

}}} ||
<colbgcolor=#44646A><colcolor=#ffffff> 가정문
賈靜雯 | Alyssa Chia
파일:jiajingwen.jpg
이름 자징원([ruby(賈靜雯, ruby=Jiǎ Jìng Wén)])
한국 한자음 가정문
출생 1974년 10월 7일 ([age(1974-10-07)]세)
타이베이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60cm, A형
학업 북경전영학원
가족 배우자 수걸해(2015년~) [1]
자녀 3명
종교 개신교
데뷔 1990년
링크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출연
3.1. 영화3.2. 드라마
4. 여담

1. 개요

대만의 대표적 연기파 배우.

2. 상세

아역으로 데뷔하여 90년 말부터 2000년대에 걸쳐 사극 연기로 굉장한 인기를 얻었던 배우. 국내에서도 중화권 작품을 틀어주는 TV차이나를 비롯한 채널을 자주 시청하던 이들 사이에서 많은 인지도가 있다. 특유의 깜찍하고 예쁜 외모에 발랄하면서도 악동같이 짖궂은 연기 덕분에 작품의 분위기를 아주 유쾌하게 만드는 탁월한 능력이 있다. <소이비도>, <의천도룡기>, <신의협려>, <진왕 이세민> 등등 사극에서 주로 알려진 편이지만, 현대물에서도 장르를 가리지 않고 훌륭한 연기를 보여주고 있다. 중국과 대만 양국에서 모두 활발히 활동하면서 무려 60편이 넘는 드라마에 출연하였다.

첫번째 남편과 이혼하고 자녀에게 충실하고자 2010년대부터 활동이 드물어 점점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지던 차에[2] 2019년, 드라마 <아문여악적거리>로 금종장 여우주연상을 거머쥐며 화려하게 부활한다. 그리고 2021년 영화 <폭포>로 금마장 여우주연상까지 수상해 명불허전 연기력을 증명해냈다.

3. 출연

3.1. 영화

연도 제목 배역 비고
2014년 한선효응
(寒蟬效應)
임 변호사
(林律師)
2015년 5월 1일
(五月一號)
왕레이
(王蕾)
파일:왓챠 로고.svg
파일:wavve 로고.svg
파일:TVING 로고.svg
2017년 유완몰완
(有完沒完)
웨이 선생님
(戚老師)
2021년 폭포
(瀑布)
라품문
(羅品文)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3.2. 드라마

연도 제목 배역 비고
1990년 가가복
(佳家福)
1999년 소이비도
(小李飛刀)
손소홍
(孫小紅)
2001년 대한천자
(大漢天子)
2002년 의천도룡기
(倚天屠龍記)
조민
(趙敏)[3]
파일:왓챠 로고.svg
파일:wavve 로고.svg
파일:TVING 로고.svg
2003년 지존홍안
(至尊红颜)
무미랑/측천무후
2004년 신의협려
(神醫俠侶)
순우제영
(淳于緹縈)
2005년 진왕이세민
(秦王李世民)
2012년 태평공주비사
(太平公主秘史)
태평공주
(太平公主)
/ 안정공주
(安定公主)[4]
2013년 천룡팔부
(天龍八部)
이추수
(李秋水)
2014년 궁쇄연성
(宫锁连城)
2017년 렵장
(猎场)
2019년 아문여악적거리
(我們與惡的距離)
宋喬安
(송교안)
파일:wavve 로고.svg
경계선의 남자
(罪夢者》)
장징팡
(蔣靜芳)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2020년 성화14년
(成化十四年)
파일:왓챠 로고.svg
파일:TVING 로고.svg
2022년 엄마, 농담은 그만!
(媽,別鬧了!)
천루룽
(陳如蓉)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그녀와 그녀의 그녀
(她和她的她)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2023년 차시차각
(此時此刻)

4. 여담



[1] 화등초상에서 거 검사 역을 맡은 배우[2] 2012년에 <태평공주비사>의 태평공주 역으로 오랜만에 브라운관에 복귀를 했지만 흥행성적이 그닥 좋진 못했다.[3] 지금까지도 최고의 조민 연기로 정평이 나 있을 정도로 압도적인 활약을 펼쳤다. 녹류산장의 발바닥 고문씬 연기는 거의 전설이 되어있다.[4] 극 중 태평공주와 생모 무측천이 목졸려죽였지만 살아남은 안정공주 1인 2역을 맡았다. 가정문은 이 두 배역의 장년기 역할을 맡았으며 아역과 청년기 시절은 2008 베이징 올림픽/개막식의 립싱크소녀로 유명한 린먀오커정솽이 연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