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분기점 江陵 分岐點 Gangneung Junction | ||
인천 방면 대관령IC ← 22.6 km | 영동선 37 | 종점 |
◀ 강릉대관령휴게소(양방향) | ||
삼척 방면 강릉IC← 2.7 km | 동해선 36 | 속초 방면 북강릉IC7.2 km → |
주소 |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 ||
관리기관 | ||
영동선 | 한국도로공사 강원본부 대관령지사 | |
동해선 | 한국도로공사 강원본부 강릉지사 | |
개통 | ||
2001년 11월 28일 |
[clearfix]
1. 개요
영동고속도로 37번[1]. 동해고속도로 36번.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에 위치한 영동고속도로와 동해고속도로의 분기점이자 영동고속도로의 종점. 명칭은 소재지인 강릉시에서 유래했다.영동고속도로의 대관령 이설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고, 동시에 영동고속도로의 새 종점 및 동해고속도로와의 연결도로 역할을 수행하게 됐다.
2. 구조
2.1. 영동고속도로
2.1.1. 강릉 방향(우행선)
- 진출 가능: 동해고속도로 양방향
2.1.2. 인천 방향(좌행선)
- 진입 가능: 동해고속도로 양방향
2.2. 동해고속도로
2.2.1. 속초 방향(상행선)
2.2.2. 삼척 방향(하행선)
3. 역사
- 1997년 5월 9일 금요일 - 영동고속도로 대관령IC ~ 동해고속도로 강릉IC 구간 공사가 시작되었다.[2] 강릉시 최초의 4차로 고속도로 착공이었다.
- 2001년 11월 28일 수요일 17:00 - 다음 구간과 함께 강릉시 최초의 분기점[3]으로 개통되었다.[4][5]
4. 특징
- 다른 분기점들에 비해 유난히 램프가 긴데, 영동고속도로와 동해고속도로의 고도차를 극복하기 위해 길게 지어졌다. 특히 영동고속도로 진출 램프의 경우 부산 방면을 따라 거리이정표가 234.8km까지 설치됐는데 강릉IC를 겨냥한 것으로 추정.[7] 물론 진입하고 나서는 동해고속도로의 거리기준표가 나온다.
- 영동고속도로 이정표에는 인천, 원주, 강릉 3가지 주요 도시들이 표시가 되는데 강릉의 기준점이 바로 이 나들목이다. 이 분기점에서 인천 방향으로 진행하면 원주로 표시가 된다.
- 개통 이후 동해고속도로와 연결됐지만, 동해고속도로 동해~강릉 구간은 아직 왕복 2차로의 구도로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강릉JC 개통 당시에는 동해고속도로 강릉 이남구간 진입을 위해 강릉IC로 진출한 뒤 舊 영동고속도로(現 경강로)를 따라 舊 홍제IC(現 홍제회전교차로)로 진입, 舊 강릉IC(現 홍제교차로)를 통해 고속도로로 재진입해야 했다. 이후 2004년에 동해~강릉 구간도 왕복 4차로로 새로 개통되면서 이러한 과정 없이 동해까지 갈 수 있게 됐다.
- 영동고속도로가 지금의 50호선으로 개통된 처음이자 마지막 구간이다. 2000년 7월 22일의 대관령IC까지는 4호선 영동고속도로와 12호선 신갈안산고속도로로 나뉘었는데 2001년 8월 25일 번호체계 개정으로 둘이서 하나가 된 것. 5호선 동해고속도로의 경우에는 이설 전의 좁은 구 고속도로 때 얘기였고 지금 우리가 다니는 신 동해고속도로는 시작부터 65호선이었다. 물론 둘 다 공사는 4호선, 5호선 시절이던 1997년 시작됐지만.
- 동부산 방향으로 강릉JC를 지나면 중앙분리대 표지판 상단이 강릉IC에서 삼척IC로 바뀐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창JC() - - 군자JC() - - - - - 안산JC() - 둔대JC() - - - - - - 신갈JC() - - 서용인JC() - - - 용인JC() - - - - 호법JC() - - - 여주JC() - - 문막SA인천방향 - - 문막SA강릉방향 - 만종JC() - 원주JC() - - - - - - - - - - - - - 강릉JC()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점 - 동부산IC - 해운대IC - 해운대송정TG - 기장IC/기장JC() - 장안IC - 장안SA - 온양IC - 청량IC - 울주JC() - 문수IC - 울산JC() - 척과구룡IC - 외동SA - 남경주IC - 동경주IC - 양북SA - 남포항IC - (계획중) - (공사중) - (계획중) - 근덕IC - 삼척IC - 동해IC - 망상IC - 동해SA - 옥계SA - 옥계IC - 남강릉IC - 구정SA - 강릉IC - 강릉JC() - 북강릉IC - 남양양IC - 양양SA - 하조대IC - 양양JC() - 북양양IC - 속초TG - 속초IC | }}}}}}}}} |
[1] 변경전 30번.[2] 횡계~강릉 고속도로 구간 노선변경, 확장공사 착공, 1997-05-08, 연합뉴스[3] 1975년 2차로 개통 당시 분기점은 없었기 때문에 이 날이야말로 강릉시 최초의 분기점이 들어선 날이다. 4차로 나들목은 강릉IC 포함. 양양군도 고속도로 자체가 이 날 처음 들어섰다.[4] 횡계~강릉 확장구간 28일 개통, 동아일보, 2001-11-26[5] 고개마다 ′뻥ㆍㆍㆍ뻥′ㆍㆍㆍ 어느새 강릉, 강원도민일보, 2001-11-25[6] 이 중 북강릉IC는 2004년 11월 24일이라 제외.[7] 역사 문단에도 서술됐듯 1997년 착공 당시 강릉IC 방향 공사가 먼저 진행됐기 때문으로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