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3 21:15:50

강서구(부산광역시)/교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강서구(부산광역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광역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5007f,#1f2023> 철도 파일:KTX BI.svg 부산역 · 부전역 · 구포역
파일:SRT BI.svg 부산역
파일:ITX-마음 BI.svg 부산역 · 부전역 · 구포역 · 신해운대역 · 기장역
파일:ITX-새마을 BI.svg 부산역 · 부전역 · 구포역 · 신해운대역
[[무궁화호|
무궁화호
]]
부산역 · 부전역 · 구포역 · 사상역 · 센텀역 · 신해운대역 · 화명역 · 기장역
파일:누리로 BI.svg 부산역 · 구포역
일반철도 경부고속선 · 경부선 · 경전선 · 동해선
도시철도 파일:Busan1.svg · 파일:Busan2.svg · 파일:Busan3.svg · 파일:Busan4.svg · 파일:Busan5.svg미개통
광역전철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 파일:BGL_logo.svg · 파일:양산도시철도 로고.png미개통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svg경부(구서IC1, 영락IC1-1, 노포IC2, 노포JC2-1)
파일:Expressway_kor_10.svg남해(대저JC39, 덕천IC40)
파일:Expressway_kor_55.svg중앙(삼락IC1, 대저JC2)
파일:Expressway_kor_65.svg동해(동부산IC1-1, 해운대IC1, 기장IC2, 기장JC2-1, 장안IC3)
파일:Expressway_kor_104.svg남해2지선(가락IC3, 서부산IC4, 사상IC5)
파일:Expressway_kor_600.svg부산외곽순환(노포JC7, 금정IC8, 기장철마IC9, 기장IC10, 기장JC11)
국도 2번 · 7번 · 14번 · 31번 · 35번 · 77번
국가지원지방도 58번 · 60번 · 69번
시내도로 번영로 · 동서고가로 · 관문대로 · 수영강변대로
부산광역시도
버스 시내버스 급행좌석일반마을기장다람쥐심야투어타바라
터미널 부산 · 부산서부
정류소 기장 · 김해공항 · 부산동래 · 부산해운대 · 좌천 · 신평 · 하단 · 장산역
시외버스 · 고속버스 시외버스 · 고속버스 노선
공항 김해국제공항 · 가덕도신공항
항만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 부산항연안여객터미널 · 부산국제크루즈터미널
자치군 기장군 }}} }}}}}}

1. 개요2. 철도
2.1. 일반철도2.2. 도시철도2.3. 관내 철도역 목록
3. 도로
3.1. 고속도로3.2. 일반도로
4. 대중교통5. 항구6. 공항

1. 개요

강서구는 현재는 도로교통이 많이 발달하였으나 1980년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도로와 대중교통이 너무나도 열악한 지역 중 하나였다. 1980년대 이전에는 현재 강서구 일대에서 부산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낙동강을 횡단해야 하는데, 지금이야 다리가 여러 개 있지만 그 당시에는 구포교밖에 없었으며 서부산낙동강교는 1981년 개통, 낙동강하굿둑은 1987년이 되어서야 개통되었다. 특히 명지동과 녹산동, 가락동 일대 교통이 매우 열악하였는데, 이 지역은 나룻배가 인기를 끌었으며 특히 명지도선장 ~ 을숙도 ~ 하단도선장은 활발히 운행할 만큼 수요가 많았었다. 서부산낙동강교가 개통된 이후 부산시내로 나가는 시내버스 53번, 58번 등이 개통되었다.

2. 철도

2.1. 일반철도

경전선과 연계되는 부전-마산 복선전철이 건설 중에 있다. 강서구 내에는 강서금호역, 에코델타시티역, 부경경마공원역이 신설될 예정이다.

2.2. 도시철도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대저1동, 부산김해경전철은 대저1, 2동, 강동동으로만 다니기 때문에 명지동, 가락동, 녹산동, 가덕도동은 아직까지도 철도 교통으로부터 버림받은 곳이 되었다. 그나마 있는 부산신항선 부산신항역화물철도이다.

다만 강동동과 명지동, 가락동에는 부산 도시철도 강서선, 부산 도시철도 송도선 혹은 부산 도시철도 5호선 연장선, 부산신항선 연장선 계획이 있으며, 이 중 경전선 신선은 2015년 착공에 들어간 상태로 가칭 강서금호역, 에코델타시티역, 부경경마공원역이 신설될 예정이다.

2.3. 관내 철도역 목록

3. 도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82e8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82e87>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382e87> <colbgcolor=#ffffff,#191919> 가달1로 · 가달2로 · 가덕해안로 · 가리새1로 · 가리새2로 · 가리새3로 · 경전철로 · 공항로 · 공항진입로 · 과학산단1로 · 과학산단2로 · 과학산단로
낙동남로 · 낙동북로 · 녹산산단17로 · 녹산산단27로 · 녹산산단46로 · 녹산산단77로 · 녹산산단153로 · 녹산산단165로 · 녹산산단178로 · 녹산산단231로 · 녹산산단232로 · 녹산산단261로 · 녹산산단262로 · 녹산산단289로 · 녹산산단290로 · 녹산산단321로 · 녹산산단322로 · 녹산산단335로 · 녹산산단361로 · 녹산산단362로 · 녹산산단381로 · 녹산산단382로 · 녹산산단407로 · 녹산산단408로 · 녹산산단442로 · 녹산산단484로 · 녹산산업북로 · 녹산산업중로 · 녹산화전로
대저동서로 · 대저로 · 대저중앙로 · 델타1로 · 델타2로 · 델타3로 · 델타4로 · 델타5로
명지국제1로 · 명지국제2로 · 명지국제3로 · 명지국제4로 · 명지국제5로 · 명지국제6로 · 명지국제7로 · 명지국제8로 · 명지국제9로 · 명지국제10로 · 명지국제11로 · 명지국제12로 · 명지국제13로 · 명지오션시티1로 · 명지오션시티2로 · 명지오션시티3로 · 명지오션시티4로 · 명지오션시티5로 · 명지오션시티6로 · 명지오션시티7로 · 명지오션시티8로 · 명지오션시티9로 · 명지오션시티10로 · 명지오션시티11로 · 명지오션시티12로 · 명지오션시티13로 · 미음국제1로 · 미음국제2로 · 미음국제3로 · 미음국제4로 · 미음국제5로 · 미음국제6로 · 미음국제7로 · 미음국제8로 · 미음국제9로 · 미음산단1로 · 미음산단2로 · 미음산단3로 · 미음산단4로 · 미음산단5로 · 미음산단6로 · 미음산단로
범방1로 · 범방2로 · 범방3로 · 범방4로 · 범방5로
상덕로 · 생곡로 · 생곡산단1로 · 생곡산단2로 · 생곡산단로 · 서낙동로 · 서천로 · 성북로 · 송정국제1로 · 송정국제2로 · 수가로 · 신노전로 · 신항로 · 신항남로 · 신항동로 · 신항북로 · 신호산단1로 · 신호산단2로 · 신호산단3로 · 신호산단4로 · 신호산단5로 · 식만로
에코1로 · 에코2로 · 에코3로 · 에코4로 · 에코5로 · 에코6로 · 에코7로 · 에코8로 · 에코델타스마트1로 · 에코델타스마트2로 · 에코델타스마트3로 · 에코델타스마트4로 · 에코델타스마트5로 · 에코델타스마트로 · 외양포로 · 울만로 · 웅장로 · 유통단지1로 · 유통단지2로
정주산단로 · 제도로 · 조만로
천성로 · 체육공원로
테크센터로
평강로
호계로 · 화전산단1로 · 화전산단2로 · 화전산단3로 · 화전산단4로 · 화전산단5로 · 화전산단6로
부산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3.1. 고속도로

3.2. 일반도로

4. 대중교통

현재도 교통이 극과 극을 달린다. 부산과 창원, 거제, 김해를 잇는 길목이다보니 지나가는 버스는 많은데 시내버스라는 것은 거의 전부가 김해로 가는 낙동북로, 창원시 진해구로 가는 낙동남로, 그리고 김해국제공항이 있는 공항로 쪽으로만 편중되어 있으며 그나마 있는 마을버스라고는 거의 농어촌버스 수준으로 열악하다.

더군다나 대부분의 노선이 하단역덕천역 등 낙동강 건너편 서부산의 부도심을 종점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구내 교통이 상당히 불편하다. 강서구에서 사상으로 나가는 노선은 1005번 급행버스, 123번 버스와 강서19번 마을버스 이 세 노선 뿐이다.

특히 가락, 부산경남경마공원 등지에서 사상 쪽으로 가는 길은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이 유일하다. 가락IC 이남으로는 사상 쪽으로 가는 시내버스는 물론 마을버스조차도 없다.[4][5]

한때는 마을버스에 시내버스에서 쓰이는 대형차량(대부분 중고차, 일부 신차도 있음)을 썼으나 지속되는 수요감소로 인해 현재는 대부분 일반 마을버스에서 쓰이는 소형 차량을 사용한다.

5. 항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무역항
동해안 속초항 · 옥계항 · 묵호항 · 동해항 · 삼척항 · 호산항 · 포항항 · 울산항 · 울산신항 · 장생포항
서해안 인천항 · 인천신항 · 경인항 · 서울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태안항 · 보령항 · 장항항 · 군산항 · 목포항
남해안 부산항 · 부산신항 · 진해항 · 마산항 · 고현항 · 옥포항 · 장승포항 · 통영항 · 삼천포항 · 하동항 · 여수항 · 광양항 · 완도항
제주도 제주항 · 서귀포항
연안항
동해안 주문진항 · 울릉항 · 후포항 · 강구항 · 구룡포항
서해안 격렬비열도항 · 용기포항 · 연평도항 · 대천항 · 마량진항 · 상왕등도항 · 송공항 · 대흑산도항 · 홍도항 · 가거향리항
남해안 부산남항 · 중화항 · 국도항 · 거문도항 · 나로도항 · 녹동항 · 강진항 · 화흥포항 · 땅끝항 · 진도항
제주도 추자항 · 애월항 · 한림항 · 화순항 · 성산포항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와 동법 시행령 제2조(항만의 명칭 등)에 따른 구분 }}}}}}}}}

총 17개소

6. 공항

6.1. 김해국제공항

부울경의 관문인 김해국제공항이 있다. 민군 겸용 공항이며 24시간 공항이 아님에도 피크때 이용객 수가 1,800만명 수준으로 국내 4위 수준으로 국제선에서는 2위이며, 센트레아 나고야 중부국제공항보다도 이용객이 많다. 김포국제공항은 수도권 지역의 민항 전용 공항이고, 제주국제공항 역시 군공항이 아니고 공항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섬 지역에 위치한 걸 감안하면 김해국제공항이 군공항을 겸하고 KTX가 연결된 지역임에도 저 정도 이용객 수를 기록하는 건 실로 대단한 수치라고 할 수 있다. 김포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과 더불어 다른 군소 공항들의 적자를 매꾸고 공항공사를 먹여 살리는 몇 안되는 흑자공항 중 하나다. 동아시아의 허브공항을 통해 국제선으로 들어오는 외국인 입국자들이 꽤나 많다.

군공항을 겸하여 전투기들이 이착륙하기 때문에 강서구 전체가 김해공항으로 인한 소음 권역이다. 평시에는 낙동강을 따라 착륙을 하는데, 이륙이나 18R의 경우 가덕도 - 경마공원 - 김해 - 대저를 쭉 돌아 공항으로 이착륙한다. 가덕도신공항이 건설된다 해도 신공항의 활주로가 남북 방향이면 명지동대저동 방면으로 항로가 개설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만 규제가 해제될 가능성이 높다.

6.2. 가덕도신공항

김해국제공항의 수요 과포화, 부울경의 장거리 수요 포화, 돗대산 등 문제로 인해 가덕도에 신공항을 건설하기로 확정되었다. 일단 가덕도 남쪽 해안에 건설되기로 했으며 1단계는 김해국제공항의 국제선 기능 이전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물동량을 자랑하는 부산신항과 인접하고 있고 이미 부산신항선 철도망이 갖춰져 있어 국내에서는 인천국제공항 다음으로 철도, 항만, 항공 물류 연계가 가능한 트라이포트 물류공항이 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국토부의 계획안에 따르면 가덕도 국수봉 부분에 걸쳐 부분 매립하여 주부 국제공항 수준인 3,500m × 60m 활주로 1본으로 계획되어 있고, 향후 2본으로 확장도 계획되어 있다.# 그렇지만 지역 주민즐은 최소 활주로 규격이 3800m × 60m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고, 건설 상황에 따라 가덕도 동쪽 해안[6]에 건설될 가능성이 있고, 기존 3500m × 60m 활주로 1본이 아닌 최소 3800m ~ 4000m × 60m 활주로본 정도를 갖추고, 주기장, 격납고공항 터미널, 지원시설의 규모가 확장될 가능성이 높다.*

지리적으로는 홍콩 국제공항과 비슷해지는데 만약 신공항을 건설할 때, 가덕도 옆에 인공섬을 건설하고 해안을 매립하는 방식을 채택하면, 가덕도에 있는 산지가 항로의 방해물이 될 가능성이 낮으며, 해안선과 같은 방향으로 인공섬이 병렬되어 있게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5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미개통[2] 애코델타시티역은 아직 계획중이다.[3] 미개통[4] 예전 새마을버스 시절에는 대저동 공군관사에서 출발해 덕두, 금호마을, 새벽시장을 거쳐 서부터미널까지 운행하는 노선이 있었으나 90년대에 폐선되었다.[5] 명지오션시티 개발시절 58-1은 남포동, 520은 부산역까지 갔으나 도시철도 중복노선 삭제로 인해 모두 하단또는 신평에서 타절되어버렸다. 국제신도시 입주이후 개설된 168을 제외하면 강서구 명지,신호에서 부산 원도심으로 가는 시내버스는 없다.[6] 가덕신항 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