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in-width:500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1.2px; font: 0.90em/1.2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ord-break: keep-all"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
천하제일복지천 각자 | <bgcolor=#ddd,#383b40> | ||||||||||||||||||||||||||||
청와대 본관 | | <bgcolor=#75b2dd> | | <bgcolor=#ddd,#383b40> | |||||||||||||||||||||||||
| 청와대 관저 | <bgcolor=#ddd,#383b40> | |||||||||||||||||||||||||||
(구 관저터) | 녹지원 | ||||||||||||||||||||||||||||
칠궁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
경농재 영빈관 · 경호실 | | <bgcolor=#75b2dd> | | | 춘추관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여민관 | 여민관 | 헬기장 | 직소 |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신무문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수문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계무문 | <bgcolor=#ddd,#383b40> 광무문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 | 집옥재 (팔우정 · 협길당 | <bgcolor=#75b2dd> | | 건청궁 | 서녹산 ( | <bgcolor=#75b2dd> | 동녹산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숙문당 | 태원전 · 영사재 | 대왕대비전 세답방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빈궁 세답방 순화궁 세답방 | 공묵재 | 중궁전 세답방 왕대비전 세답방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bgcolor=#75b2dd> 향원정 | | | | ( |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 | | | |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 | 서장고 | <bgcolor=#75b2dd> | 함화당·집경당 | | | | 국립민속박물관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bgcolor=#75b2dd> | | | | | |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빈궁 내소주방) | (빈궁 외소주방) | (왕대비전 내소주방 |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 흥복전 | | | 제수합 | | (상궁처소)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 <bgcolor=#75b2dd> | <bgcolor=#75b2dd> | | | (대왕대비전 내소주방) | (대왕대비전 침방) | (대왕대비전 수방)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 | 아미산 | | 자경전 | (상궁처소) | (상궁처소)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 (대왕대비전 생물방) | (대왕대비전 외소주방) | (상궁처소)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1.2px;" | 하향정 | <nopad> | ||||||||||||||||||||||||||
<bgcolor=#ddd,#383b40> | 경회루 | <nopad> | |||||||||||||||||||||||||||
}}} | <bgcolor=#ddd,#383b40> 융화당 | 함원전 | <bgcolor=#ddd,#383b40> 건순각 | | | |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bgcolor=#75b2dd> | <bgcolor=#ddd,#383b40> 함홍각 | <bgcolor=#ddd,#383b40> 교태전 | <bgcolor=#ddd,#383b40> 원길헌 | 복희당 (대전 생물방) | (상궁처소) | (상궁처소)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대재문 | 흠경각 | <bgcolor=#ddd,#383b40> 재성문 | <bgcolor=#ddd,#383b40> 만통문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자안당 | <bgcolor=#ddd,#383b40> 내순당 보의당 | <bgcolor=#ddd,#383b40> 양의문 | <bgcolor=#ddd,#383b40> 체인당 승순당 | <bgcolor=#ddd,#383b40> 흥안당 | 대전 내소주방 | 난지당 (대전 외소주방) | (나인 처소)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건상당 | <bgcolor=#ddd,#383b40> 응지당 | 강녕전 | 연길당 | <bgcolor=#ddd,#383b40> 계광당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내성문 | <bgcolor=#ddd,#383b40> 지도문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의안당 | 경성전 | 연생전 | <bgcolor=#ddd,#383b40> 수경당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bgcolor=#75b2dd> | <bgcolor=#ddd,#383b40> 건의당 | <bgcolor=#ddd,#383b40> 용부문 연소당 | <bgcolor=#ddd,#383b40> 향오문 | <bgcolor=#ddd,#383b40> 청심당 안지문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영추문 | | (규장각) | (규장각) |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천추전 | 사정전 | 만춘전 | <bgcolor=#ddd,#383b40> 연태문 | 자선당 | 비현각 | | | <bgcolor=#ddd,#383b40> 건춘문 | ||||||||||||
<bgcolor=#ddd,#383b40> | 수정전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협선당 용신당 | <bgcolor=#ddd,#383b40> 건인각 | | | | | 경복궁 관리소 | ||||||||||||||||||||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숭현문 | <bgcolor=#ddd,#383b40> 사현문 | | |||||||||||||||||||||||
<bgcolor=#ddd,#383b40> | (내의원) | (내의원) | (사옹원)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사정문 | <bgcolor=#ddd,#383b40> | | | <bgcolor=#75b2dd>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 (내의원) | (내의원) | (내시부)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근정전 | <bgcolor=#ddd,#383b40> | |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내의원)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홍문관) | (규장각) |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계조당 |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승정원) | (승정원)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월화문 · 근정문 · 일화문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 | | <bgcolor=#ddd,#383b40> 기별청 유화문 | 영 제 교 | <bgcolor=#ddd,#383b40> 덕양문 | 봉선문 | | 주차장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bgcolor=#75b2dd> | <bgcolor=#75b2dd> | <bgcolor=#75b2dd> | <bgcolor=#75b2dd>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 <bgcolor=#75b2dd> | | |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흥례문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75b2dd>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 | |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용성문 | 어도 | <bgcolor=#ddd,#383b40>협생문 | |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 국립고궁박물관 | | | <bgcolor=#75b2dd> | <bgcolor=#ddd,#383b40> | 수문장청 매표소 | 수문장청 매표소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 초관처소·영군직소 ·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 | <bgcolor=#ddd,#383b40> |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수문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광화문 (월대)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수문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 <bgcolor=#ddd,#383b40> 동십자각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북궐 (경복궁) | ||
경복궁 계조당 景福宮 繼照堂 | 경복궁 자선당 景福宮 資善堂 | 경복궁 비현각 景福宮 丕顯閣 |
동궐 (창덕궁 · 창경궁) | |||||
창덕궁 중희당 昌德宮 重凞堂 | 창덕궁 성정각 昌德宮 誠正閣 | 창덕궁 관물헌 昌德宮 觀物軒 | 창경궁 저승전 昌慶宮 儲承殿 | 창경궁 낙선당 昌慶宮 樂善堂 | 창경궁 시민당 昌慶宮 時敏堂 |
서궐 (경희궁) | ||||||
경희궁 승휘전 慶熙宮 承輝殿 | 경희궁 경현당 慶熙宮 景賢堂 | 경희궁 양덕당 慶熙宮 養德堂 | 경희궁 집희당 慶熙宮 緝熙堂 | 경희궁 경선당 慶熙宮 慶善堂 | ||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 |
| ||
<colbgcolor=#bf1400> 경복궁 계조당 景福宮 繼照堂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 |
건축시기 | 1443년 (창건) 1866년 (중건) 2023년 (복원) |
<colbgcolor=#bf1400> 계조당[1] |
[clearfix]
1. 개요
경복궁의 건물로, 동궁의 정당(正堂)이다.조선 초, 중기에는 경복궁의 동문 건춘문 안쪽에 있었으나 고종 때 중건한 이후 근정전 마당의 동쪽, 동궁 영역 중 제일 남쪽으로 위치가 변경되었다.
2. 이름
'계조(繼照)' 뜻은 직역하면 '계승해(繼) 비춰준다(照)'이다. 즉 '계조'라는 명칭은 '왕위계승'을 뜻한다.3. 역사
1427년(세종 9년)에 경복궁의 동궁을 지었으나, 계조당을 처음 지은 시기는 1443년(세종 25년)이다.# 이 때 세종은 당시 세자였던 문종에게 대리청정을 명하여 모든 나랏일을 맡겼다. 그래서 세자가 신하들과 조회를 할 수 있는 전각이 필요하여 건물을 새로 지은 것이다. 문종은 여기서 조회는 물론이고# 서연(書筵)[2]을 하고, 일본 사신을 만나기도 했으며#, 양로연도 열고#, 생일 축하를 받기도 하였다.# 마치 ‘소(小) 근정전’ 같았다고 보면 된다.그러나 계조당은 애초 세자의 대리청정이란 특수 상황에 맞춰 지은 것이기 때문에 문종이 즉위한 이후엔 쓸모가 없어졌다. 결국 1452년(단종 즉위년)에 승하한 선대왕 문종의 뜻에 따라 철거한 뒤# 재건하지 않았다.
400여 년이 지난 1866년(고종 3년) 경복궁을 중건할 때 같이 재건했으며# 이때 효종의 잠저였던 어의궁을 옮겨다 지었다.# 고종은 이 계조당을 다듬고 고쳐 완성했다. 고종은 계조당을 재·개건하면서 ‘세종과 왕세자(문종)의 예’를 전거로 삼았다. “세종이 계시고 문종이 계조당에서 대리청정했던 그 시대가 모든 제도와 문물, 법식이 가장 융성했던 때”라고 꼽았다. 고종은 이어 “내가 세종의 업적을 계승한다고는 할 수 없지만 동궁(순종)이 훗날 나(고종)의 가르침을 받들기를 바란다”면서 계조당 개건 의미를 밝혔다. 고종은 “동궁(순종·재위 1907~1910)이 조종조의 예절을 익히고 매번 고사를 따르니 참으로 가상히 여긴다”고 덧붙였다. 영의정 심순택(1824~1906)은 “세자(순종)의 총명이 뛰어나다”고 맞장구쳐주었다.
고종은 계조당을 다시 고쳐 건립하면서 당시 17세가 된 세자(순종)에게 ‘나도 세종처럼 대리청정시키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이후 여러 행사 때 왕세자가 축하를 받는 곳으로 사용하였다.## 1891년(고종 28년)에 고쳐 지었다.#
<colbgcolor=#bf1400> 계조당 복원 조감도 |
2023년 9월 20일 공사를 마치고 일반에 공개했다.# 하지만 단청이 칠해져 있지 않은데, 단청 작업은 고증 연구를 통해 2024년에 진행될 예정이다.
복원 후에는 전통문화교육 공간 등으로 활용한다.#
4. 구조
|
<colbgcolor=#bf1400> 계조당 및 행각 내부 구성도 |
- 정면 5칸, 측면 3칸의 총 15칸으로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 공포는 이익공 양식의 전각이며, 5개의 잡상과 토수[3]를 놓았다. 내부는 모두 트여 있으며 마루로 구성되었다.
- 동쪽과 남쪽은 빈 월랑으로 되어있으며, 서쪽과 북쪽은 담장으로 되어있다. 동행각은 12칸, 남행각은 13칸이며 이중 남행각 중앙의 3칸은 대문인 명사문(明四門)이고 북서쪽 담장에는 쪽문이 있다.
5. 부속 건물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동궁 일대 내부 구성도 |
5.1. -오상방(五相房)-
장악원(掌樂院)의 부서중 하나로 악공(樂工)들의 처용무(處容舞)를 교육하는 곳이었다.
5.2. -동궁 원역처소(東宮 員役處所)-
원래는 각 관아의 서리(書吏)가 쓰던 세자궁 장방(世子宮 長房), 세자를 경호하던 별감(別監)들이 쓰던 세자궁 별감방(世子宮 別監房), 세자궁의 요리를 만드는 세자궁 수랏간(世子宮 水剌間)등이 있었으나 후대에 원역처소로 개축했다. 제반관서에 딸린 구실아치인 원역들이 머무는 처소였다.
5.3. -통장청(統長廳)-
훈련도감(訓鍊都監)에 소속된 무예청(武藝廳)에서 우수한 무예별감(武藝別監)인 통장(統長)이 근무하던 곳이었다.
5.4. -문기수청(門旗手廳)-
깃발을 드는 기수들을 관리하던 관청이었다.
5.5. -춘방(春坊)-
세자의 교육을 담당한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이었다.
5.6. -계방(桂坊)-
세자의 경호를 담당한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이었다. 오위도총부 서편에도 계방이 있는데 이건 당시 세자인 순종의 경호를 강화하기 위해 계방의 인원을 늘려서 이를 수용하기 위해 지은걸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