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조선 시대 궁궐인 경복궁과 경희궁의 편전 기능을 했던 수정전과 흥정당의 정문이다.이름은 ‘남쪽(南)을 우러른다(崇)’는 뜻이다. 전통 예법 상 임금의 자리는 남쪽을 바라본다. 즉 왕이 제 자리에서 올바른 정치를 하라는 의미이다.
아래 소개할 두 문은 현재 모두 남아있지 않다.
2. 경복궁 숭양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식 편전 정문 | 경복궁 사정문 景福宮 思政門 | 창덕궁 선정문 昌德宮 宣政門 | 창경궁 문정문 昌慶宮 文政門 | 경희궁 자정문 慶熙宮 資政門 |
부 편전 정문 | 경복궁 숭양문 景福宮 崇陽門 | 창덕궁 협양문 昌德宮 協陽門 | 경희궁 숭양문 慶熙宮 崇陽門 | ||
※ 덕수궁의 편전은 한 건물에 고정되어있지 않았다. ※ 창경궁의 부 편전인 숭문당의 정문은 따로 없다. | |||||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 |
<colbgcolor=#bf1400> 현재 남아있는 숭양문 현판 |
경복궁의 편전 중 하나였던 수정전의 정문이었다. 1층 목조 문[A]으로 되어 있었다.
위치는 수정전의 남쪽, 근정전의 서쪽에 있었으며 존재할 당시 남향하고 있었다.
2.1. 역사
수정전을 처음 세운 1867년(고종 4년)에 같이 지어졌다. 수정전은 건물도 크고 궐내각사와 내전이 만나는 영역에 있었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한 곳으로 받아들여져 부속 건물들과 영역의 격이 다른 곳과는 사뭇 달랐다. 그 일환으로 남쪽에 무려 3중의 행각을 두었는데 수정전 기준으로 바로 남쪽에 수정문(修政門), 그리고 그 남쪽에 영화문(永化門), 제일 바깥쪽에 숭양문(崇陽門)을 세웠으며 이 중 숭양문(崇陽門)이 가장 규모가 컸다.그러나 일제강점기에 대부분의 부속 건물, 행각들과 함께 철거되었고 지금은 수정전 건물 한 채만 남아있다.
2.2. 특징
- 정면 3칸, 측면 2칸의 총 6칸으로 공포는 이익공이며 팔작지붕이다.#
- 수정전 북쪽 즉, 경회루 쪽 벽면 중앙 3칸에 가퇴가 있는 모습이 담긴, 1913년에 외국인이 촬영한 사진이 2023년 12월에 발견되었다. 다만 이 사진자료는 발견자의 학술논문주요자료로서 2024년 12월경에 학술지를 통해서 발표될 예정이다.
3. 경희궁 숭양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 | ||||||||||||||||
| |||||||||||||||||
서암 | ┏ | ━ | ━ | ━ | ┓ | | | | | | | | |||||
영렬천 | ┃ | 자정전 | ┃ | | | | | | | ||||||||
태령전 | ┠ | ━ | 자정문 | ━ | ┨ | | | ||||||||||
태령문 | 숭정전 | ㅣ | | | | | |||||||||||
┃ | | ||||||||||||||||
┗ | ━ | 숭정문 | ━ | ┛ | | | |||||||||||
| | | | | | ||||||||||||
| | | | ||||||||||||||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 | | | | |||||||||||||
서울특별시교육청 | 서울역사박물관 | | 금천교 | 흥화문 | |||||||||||||
| | | | | | ||||||||||||
| | | | | |||||||||||||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식 편전 정문 | 경복궁 사정문 景福宮 思政門 | 창덕궁 선정문 昌德宮 宣政門 | 창경궁 문정문 昌慶宮 文政門 | 경희궁 자정문 慶熙宮 資政門 |
부 편전 정문 | 경복궁 숭양문 景福宮 崇陽門 | 창덕궁 협양문 昌德宮 協陽門 | 경희궁 숭양문 慶熙宮 崇陽門 | ||
※ 덕수궁의 편전은 한 건물에 고정되어있지 않았다. ※ 창경궁의 부 편전인 숭문당의 정문은 따로 없다. | |||||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 |
景熙宮 崇陽門
경희궁의 편전 중 하나였던 흥정당의 정문이었다. 1층 목조 문[A]이었다.
위치는 흥정당의 동쪽에 있었으며 존재할 당시 동향하고 있었다.
3.1. 역사
1620년(광해군 12년) 경희궁 창건 당시 처음 세워졌으나, 1829년(순조 29년) 화재로 불탔고 2년 뒤에 중건되었다. 하지만 고종 시기 경복궁을 재건하면서 대부분의 경희궁 건물들이 경복궁 중건의 자재로 쓰여 철거되어 경희궁이 궁궐로서의 기능을 잃게 되었다. 단, 이 때 숭양문의 본당인 흥정당 건물 자체는 숭정전 · 회상전 · 정심합 · 사현합 · 흥화문 등과 함께 헐리지 않고 살아남았다. 숭양문은 어떻게 되었는지 모르나 옛 사진을 보면 흥정당의 행각이 남아있던 것을 보아 남아있던 것으로 추측된다.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일제가 그나마 경희궁의 남은 건물들을 매각, 철거하면서 경희궁의 흔적이 완전히 사라질 때 숭양문도 사라졌다. 헐렸는지 팔렸는지는 모른다. 확실한 것은 현재는 남아있지 않으며 복원되지도 못했다.
3.2. 특징
- 자세한 기록이 없어 정확한 구조는 모르나 《서궐도안》에 따르면 정면 1칸, 측면 1칸의 규모이고 솟을문에 맞배지붕 형식인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