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13:06:52

경복궁 수정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현무문
천하제일복지천
오운각 옥련정
벽화실 청와대 관저
청와대 본관 청와대 녹지원 춘안당 융문당
칠궁 양정재 수궁(구 관저터) 융무당 태화궁
지희실 경농재(관풍루) 대유헌 경무대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수궁 청와대 춘추관
마장 관가문 희맹공신단
금화문 팔도배미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추성문 금위군직소 춘화문 춘생문
신무문 수문 계무문 광무문 춘도문 수문
숙문당 수문장청 군사방 팔우정 집옥재 협길당 각감청 관문각
건청궁
서녹산 어구 동녹산
태원전 영사재 대왕대비전 세답방
순화궁 세답방 중궁전 세답방 종각
빈궁 세답방 공묵재 왕대비전 세답방 가회정 보현당 남여고 육우정 녹직처소 내재실
동장고 통화당 순화궁 외소주방 숙경재 서진설청 선원전 동진설청 경안당
순화궁 내소주방 진전 소주방 진전 생물방 화락당 나인처소
회안전 문경전 서장고 향원정만화당 벽혜당(왕대비전 생물방) 대향당 나인처소
정훈당
함화당 집경당 전기등소 만경전 건기당(왕대비전 내소주방) 요광당(왕대비전 외소주방)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나인처소
숙설소 영훈당
빈궁 생물방 상궁처소 다경합 건복합
회광당(빈궁 내소주방) 광원당(빈궁 외소주방)
원역처소 수인문 흥복전 중궁전 수방 대왕대비전 수방 제수합 영보당 벽월당(상궁처소)
중궁전 침방 대왕대비전 침방
제관방 원역처소(접견소) 장방 원역처소 아미산 자미당 자경전 집희당(대왕대비전 내소주방) 춘소당(대왕대비전 침방) 취운당(대왕대비전 수방) 나인처소
침채고 예춘당(대왕대비전 생물방) 벽로당(상궁처소) 웅향당(상궁처소)
함정당(대왕대비전 외소주방) 계응당(상궁처소)
임향당 나인처소
국별장직소 함원전 건순각
인지당 나인처소 보월당(상궁처소) 자운당(상궁처소) 나인처소
경회루 함홍각
교태전원길헌
복희당(대전 생물방)
국출신직소 흠경각
양의문대전 내소주방난지당(대전 외소주방)대소대금방(나인처소)
무겸직소 응지당 강녕전연길당
북소위장직소 경성전 연생전
수문파수각 향오문
영추문 수문장청 내각(규장각) 검서청(규장각) 대전장방(내시부) 천추전 사정전 만춘전 자선당비현각 장방 수문장청 건춘문
습회당 협오당 장원당 중궁전 수랏간 왕대비전 수랏간 등촉방 등촉방 장방 관리사무소
군사방 수정전 별감방 군사방
초관직소 장무관직소 입심억석(내의원) 주원(사옹원) 수정문 사정문 오상방 원역처소
훈국군번직소 침의청(내의원) 약방(내의원) 내반원(내시부) 협의문
융무루ㅓ
근정전계인문
융문루
통장청 문기수청 춘방
서소위장직소 의약청(내의원) 영화문 계방
옥당
(홍문관)
검서청(규장각) 대전 수랏간 계조당 훈국군번처소 초관처소
누국 당후(승정원) 정원(승정원) 숭양문 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일영대 선전관청 빈청
기별청
유화문
수각

덕양문
수각
봉선문 별군직청 주차장
영제교
춘방책고대청 상의원 면복각
신당 덕응방 북마랑 흥례문
전사청 연고 내사복시 거달처소 중마랑 동마랑 용성문 어도 협생문 계방 오위도총부
우마랑 국립고궁박물관 좌마랑 내구 연지 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수문장청
매표소
남소부장청 동소부장청
견마배청 남마랑 군사방 초관처소 영군직소
측사
측사 충장장청
서십자각 수문 광화문
(월대)
수문 동십자각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경복궁 수정전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식 편전 경복궁 사정전
景福宮 思政殿
창덕궁 선정전
昌德宮 宣政殿
창경궁 문정전
昌慶宮 文政殿
경희궁 자정전
慶熙宮 資政殿
부 편전 경복궁 수정전
景福宮 修政殿
창덕궁 희정당
昌德宮 凞政堂
창경궁 숭문당
昌慶宮 崇文堂
경희궁 흥정당
慶熙宮 興政堂
덕수궁의 편전은 한 건물에 고정되어있지 않았다.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보물
1759호 1760호 1761호
경복궁 사정전 경복궁 수정전 경복궁 향원정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제1760호
경복궁 수정전
景福宮 修政殿
소재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수량 1동
지정연도 2012년 3월 2일
제작시기 조선 시대, 1867년 창건
파일:external/image.yourstage.com/jiphyun.jpg
파일:경복궁_수정전_전경.jpg
<colbgcolor=#bf1400> 수정전[1]
1. 개요2. 이름3. 역사4. 정문5. 구조6. 여담7. 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景福宮 修政殿

경복궁의 편전 중 하나이다.

경회루의 바로 남쪽, 근정전의 서쪽에 있으며 남향이다. 내 관청인 궐내각사와 임금이 머무는 내전 사이에 있어 신하들이 만나기 편한 곳이었다.

2. 이름

'수정(修政)' 뜻은 '정사(政)를 잘 수행(修)한다'이다. 현판 글씨는 건립 당시 도승지였던 조석원(曺錫元, 1817~ ?)이 썼다.

3. 역사

조선 초기에는 없었고 수정전 언저리에 그 유명한 집현전이 있었다.[2] 수정전 자체는 1867년(고종 4년) 경복궁을 중건할 때 처음 지었으며 사정전과 함께 편전의 용도로 사용되었다.## 때로는 이 곳에서 행사를 거행하고 어진을 잠시 모셔두기도 했다.# 이 때에는 주변에 200칸 가까운 행각들이 있었고 북행각과 수정전 본채가 복도로 연결되었으며 궐내각사에 해당하는 수많은 전각들이 경복궁의 서쪽 대문인 영추문까지 즐비해 있는 등 지금과는 많이 다른 모습이었다.
파일:경복궁 수정전 구한말.png
<colbgcolor=#bf1400> 건물 양 측면에 복도가 있는 수정전
1894년(고종 31년) 1차 갑오개혁 때에는 국사책에도 나오는 그 군국기무처가 들어섰다가 이후 의정부에서 이름이 바뀐 내각의 청사로 기능하였다.# 이 때 수정전과 북행각을 연결하는 복도는 사라지고 대신 좌우에 복도가 새로 생겼으며 가운데와 바깥 행각의 규모를 확장하는 변화가 있었다.#
파일:일제강점기 경복궁 수정전.png
파일:수정전 전시실.png
<colbgcolor=#bf1400> 일제강점기 수정전 <colbgcolor=#bf1400> 전시실로 변한 수정전 내부. 중앙아시아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경술국치 이전에는 정문인 숭양문 주변 행각을 제외한 다른 행각들이 모두 헐렸고[3], 일제강점기에는 일제가 식민 통치 5년 째 되는 걸 기념한답시고 경복궁에서 개최한 조선물산공진회의 전시관으로 활용하면서 내부는 많이 훼손되었고, 부속 건물들은 전부 헐려 건물 하나만 남았다. 이후에도 미술품을 전시하는 공간이었고, 해방 이후 1966년부터 1975년까지는 한국민속관[4]으로 기능하였다.

2000년에 보수 공사와 함께 내부를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경복궁 1차 복원 공사 5단계(1997 ~ 2001)에 문화재청에서 수정전의 행각을 복원할 예정이었지만 계획대로 하지 못했다. 이후 2차 복원 때 포함시켰지만 2차 계획을 축소하면서 다시 무산시켰다. 계속해서 복원을 무산시킨 이유는 상술했듯이 〈북궐도형〉 작성 시 이미 건물이 철거되어 건물의 전체적인 구조만 알 수 있을 뿐, 상세한 구조는 모르기 때문이다.

4. 정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복궁 숭양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구조

파일:경복궁_수정전_내부.jpg}}} ||
<colbgcolor=#bf1400> 수정전 내부[10]
내부는, 가운데 정면 3칸, 측면 2칸을 대청으로 놓았는데 대청은 서쪽으로 치우쳐있으며, 칸을 나누지 않고 한 공간으로 뚫어 넓게 쓸 수 있게 하였다. 천장은 우물 반자[11]로 막고 마루는 우물 마루로 놓았다. 대청을 중심으로 서쪽에는 정면 2칸, 측면 2칸의, 동쪽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온돌방을 두었으며 온돌방과 대청 주변을 전부 툇간이 둘러싸고 있는데, 남쪽의 툇간은 다른 면의 툇간보다 남, 북 축의 길이가 훨씬 길다.#
파일:보물_제1760호_경복궁_수정전(2012년_국보,보물_지정보고서).jpg}}} ||
<colbgcolor=#bf1400> 수정전 내부 장지문[12]
대청온돌방을 연결하는 은 세살청판 문 모습으로 되어있다. 온돌방 내부는 완자 장지문으로 공간을 구분하고 있다.#

6. 여담

7. 매체에서

궁궐 촬영이 비교적 쉬웠던 2000년대 이전 조선을 배경으로 한 사극에서 배경으로 꽤 나왔다.
파일:용의 눈물에 나온 수정전.png}}} ||
<colbgcolor=#bf1400> 〈용의 눈물〉 159화에 나온 수정전
KBS1 드라마용의 눈물〉에서는 세종 재위 기간을 다룰 때 집현전으로 나왔다.
}}} ||
<colbgcolor=#bf1400> 〈무한도전〉 - 궁 밀리어네어 특집에 나온 수정전 관련 영상
무한도전〉 - 궁 밀리어네어 특집에서 나왔다. 멤버들이 집합해야할 집현전 건물로 나왔는데 다들 한참 헤맸다.

[1]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2] 확실하게 현재 수정전 자리라고 단정할 수 없어 그 언저리라고 표현하였다.[3] 1907년에 작성된 〈북궐도형〉에서는, 작성 당시에 이미 헐린 건물도 모두 다 이제는 없다는 뜻인 '금무(今無)'라 표기하여 작성했다. 수정전 권역의 경우, 숭양문 행각 외에 다른 행각은 모두 '금무'로 쓰였다.[4] 오늘날 국립민속박물관전신.[5] 보통 한옥의 경우 단층(單層)이라 표현한다.[6] 모양의 부재.[7] 끄트머리만 칠하는 단청.[8] 高柱, 이름 그대로 굉장히 높은 기둥을 말한다.[9] 이 배출구는 꼭 처럼 생겼다하여 연가(煙家)라고 부른다.[10]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11] 서까래가 안보이게 천장을 가리고 평평하게 만드는 구조물.[12]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13] 이전에는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경축식을 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을 막고 일부 보수단체들의 반정권 시위를 차단하기 위해 광화문광장을 폐쇄하면서 경복궁에서 소규모로 기념식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