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20:04:04

괴물왕녀

괴물왕녀
怪物王女
파일:괴물왕녀12.jpg
장르 호러, 다크 판타지, 블랙 코미디
작가 미츠나가 야스노리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 코단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산문화사
연재처 월간 소년 시리우스
레이블 시리우스 KC
괴물왕녀
연재 기간 2005년 8월호 ~ 2013년 4월호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20권 (2013. 04. 09.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권 (2013. 12. 12. 完)
괴물왕녀 나이트메어
연재 기간 2018년 1월호 ~ 연재 종료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7권 (2021. 08. 06.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발매

1. 개요2. 줄거리3. 설정
3.1. 왕족3.2. 피의 전사
4. 등장인물
4.1. 주역4.2. 괴물왕의 자식들(나이순)4.3. 인조인간4.4. 기타 인물4.5. 등장괴물 및 모티브가 된 괴물4.6. 기타
5. 미디어 믹스
5.1. TV 애니메이션
5.1.1. 음악
5.1.1.1. 주제가5.1.1.2. 삽입곡
5.1.2. 회차 목록
5.2. OVA
5.2.1. 회차 목록

[clearfix]

1. 개요

That is not dead which can eternal lie, And with strange aeons even death may die.
단행본 표지에 적혀있는, 러브크래프트의 <크툴루의 부름>에 나오는 유명한 구절.

일본만화. 작가는 미츠나가 야스노리(光永康則). 월간 소년 시리우스에서 2005년 8월부터 연재를 시작한 작품.

장르는 호러, 판타지, 고딕, SF, 고딕 호러, 위어드 픽션, 크툴루 신화 정도다. 각종 호러 픽션 및 크툴루의 패러디나 서양 괴물들의 미소녀 버전이나 성과 저택까지 등장하는데 고딕 호러 모에화물 정도 될듯.

한국어판은 용자 북박스에서 7권까지 발매했다가, 이후 학산문화사에서 1권부터 신장판이라는 이름을 붙여서 다시 발간하여 완결권인 20권까지 전부 발매했다. 신장판 8권과 9권에 초판한정 부록상품이 있는데, 이는 8권부터 학산이 넘겨받았기 때문이다. 북박스판의 역자는 오경화, 학산판의 역자는 서현아. 다만 번역의 퀄리티는 양쪽 다 미묘한데, 서현아는 늑대인간을 굳이 뜻도 잘 통하지 않는 '인랑'으로 번역한다. 그리고 인조인간은 전부 돌림자처럼 '프란XXX' 이름을 쓰는데 유독 프란돌만 '플랑도르'라고 한 것은 빼도 박도 못할 오역.[1]

여담으로 북미권의 이름은 Princess Resurrection이다.[2] Monster Princess가 아니고...애니DVD, 만화

국내에 정발된 10권은 학산문화사가 출판하는 과정에서 제본상 실수로 페이지가 엉켜나와 소비자들이 항의하자, 학산문화사에서는 리콜 조치를 시행했다.

같은 작가의 신바시의 무녀 뒷쪽에 광고가 실려있다! (일본 기준) 괴물왕녀는 강담사, 신바시의 무녀는 집영사 작품이다.

연재 당시엔 벚꽃사중주와 더불어 소년 시리우스지를 먹여 살리는 대표작이었다. 그래서인지 편집부에서 상당히 밀어줘 DVD 판매량이 저조했음에도 재애니메이션까지 이루었다. 심지어 스핀오프작인 나쿠아전도 시리우스에서 연재중. 이쯤되면 단단히 편애받는 듯하다. 이는 벚꽃사중주도 비슷하다.[3] 밑밥을 잘 깔았다가 후반에 회수하는 것에 성공했다.

작품의 배경이 되는 도시는 딸기 마시마로가브릴 드롭아웃의 배경으로도 유명한 시즈오카하마마쓰시이다. 작가의 고향이기도 하다. #

2018년 1월호부터 괴물왕녀 나이트메어(怪物王女 ナイトメア)이라는 타이틀로 후속작이 연재되고 있다. 전작이 깔끔하게 결말 난 상태에서 새로운 스토리를 전개하기엔 무리가 있었는지, 등장인물 전원이 기억을 잃었다는 설정. 다만 내용이 진행되어도 기억은 여전히 회복하지 못하고, 달에는 토끼 대신 두개골 무늬가 있으며, 완결 이후의 변화가 적용되지 않아서[스포일러] 외전 형식의 후속작인 듯하다.

2. 줄거리

사고를 당해 죽은 주인공 히로는 '공주'라 불리는 소녀의 피를 마시면서 부활한다. 이후 공주가 괴물들의 정점에 군림하는 왕족의 차기 후계자 중 하나임이 밝혀지고 왕위를 차지하기 위한 다른 형제자매의 습격으로부터 공주를 수호하는 피의 전사로 활약하게 된다는 것이 기본 줄거리. 이후 늑대인간이나 흡혈귀(전부 여성), 공주의 여동생 등이 합류한다. 당연하지만 각자 나름의 모에 요소를 갖추고 있다.


메인 플롯은 '소년, 소녀를 만나다'를 모티브로 소년 만화의 패턴을 따라간다. 하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시오리와 시미코 시리즈몽환신사 시리즈 류의 환상문학 내지는 기담집 형식을 취하고 있다. 다만 아예 에피소드 형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일부를 할애하여 메인 플롯을 진행시키고 추후에는 기담 에피소드 중에 중요한 것들을 메인 플롯에 통합하여 이야기를 완결시켜낸다. 그렇지 않았으면 20권이나 되는 분량을 수많은 전투 캐릭터들을 등장시키고 파워인플레로 채우는 전형적인 소년만화 스토리를 따라갔어야 하는데, 액션 작화에 취약한 작가의 특성을 고려하면 매우 현명한 선택이었다. 또한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기담들의 퀄리티 또한 나쁘지 않으니 정말 굿 초이스.

서양의 전설, 일본 민간 설화, SF, 호러문학 등등 각종 소스에다 가져온 이야기들을 섞어 상당히 독창적인 에피소드들을 만들어낸다. 특히 각 에피소드들이 단발로 그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몇몇은 메인 플롯과 연계되어[5] 후반부가 되면 각각의 의미가 결합된 풍성한 이야기를 만들어진다. 게다가 주연들 자체가 늑대인간, 드라큘라, 사이보그다 보니 이런 환상문학/기담 형태의 플롯에 시너지 효과를 주는 효과마저.

오글 거리는 소년 소년 만나다 모티브나 소년 만화적 전투 플롯을 참고 초반부를 잘 넘기면 보상이라도 받듯이 흥미로운 기담 에피소드들이 쏟아져 나오므로, 시오리 시미코나 몽환신사류의 팬이라면 읽을만한 가치가 있다.

하지만 반대로 이런 장르에 익숙하거나 팬이 아니라면 굉장히 짜증난다. 내용이 난잡해서 이해하기도 매우 힘들다. 아래에서는 타임 패러독스 이야기를 장점으로 꼽고 있지만, 이런 타임 패러독스가 도입된 에피소드도 한번에 안끝나고 여기저기서 나뉘어서 연재되기때문에 뭐야 왜 여기서 끝이야? 이 이야기가 왜 여기서 나와? 하면서 짜증을 유발시킨다. 이런 장르를 유독 좋아하는 부류의 사람이 아니라면 절대 추천할 수 없는 만화.

타임 패러독스를 이용한 챕터가 가면 갈수록 많아지며, 사실상 본작 후반부의 주요 소재는 오컬트가 아닌 타임 패러독스라고 봐도 무방하다. 주의 깊게 읽어 보면 1권의 대사 한마디가 훗날 다른 사건과 연결되어 있기도 하며 작품의 가장 핵심적인 인물의 이야기도 1권부터 예정되어 있었다. 처음 읽었을 때는 담백하고 깔끔한 전개로 무심코 넘어가기 쉬우나 읽으면 읽을수록 굉장히 잘 짜여져있고 완성도 또한 높다고 느끼게 된다.

액션 신은 부족한 편으로 거의 늘 피날레를 장식하는 공주의 전투 장면은 온갖 무기를 사용 '휘두름 - 출혈 - 적 사망'이 한 컷에 끝나기 일수. 도중에 한번씩은 꼭 공주님의 2페이지 풀샷으로 장식된다.

늑대인간이나 뱀파이어 같은 몬스터들의 설정이 현대 각종 매체에 의해 변형된 것을 따르기보다는 원전 전설에 의외로 충실한 편. 예를 들어 흡혈귀는 초대받지 않은 집에 못 돌아온다거나 등등. 제목이 괴물왕녀여서 그런지 몰라도 예티나 어인, 샌드웜 등 기존에 알려진 UMA도 많이 등장하는 편이다.

제목의 유사성과 공주의 세 신하격인 인조인간, 늑대인간, 흡혈귀는 후지코 후지오 A의 만화 《괴물군》의 오마주다. 실제로 괴물왕녀 15권 일본판 띠지에서는 후지코 후지오 A가 추천사를 써주기도 했다.

의외로 별별 패러디에 크툴루 신화의 등장인물들도 바글바글 나오는 중. 위의 괴물군에 오라오라, 고질라, 메가 입자포, 신조인간 캐산, 신암행어사 등등에 이어 크툴루 신화에선 이스의 위대한 종족이라든지 딥 원, 아틀락 나챠, 또 수신 크타아트에 뱀 인간까지 등장한다. 이제 그 분만 오시면 된다

작가가 상당히 여러 분야에 대해 조사를 많이 하는 편. 위에 말한 크툴루 신화부터 시작해서 단행본 뒷 장을 보면 본인이 자료를 구하는데 협조한 업체나 기관명이 나열되어 있기도 하고, 호러 영화나 게임도 많이 참조하는 편이다. 사일런트 힐은 캐릭터 디자인부터해서 거의 그대로 가져왔다.

유명 영화들을 패러디/오마쥬 형태로 가져다 쓰는 에피소드가 많다. 확실한 것만 적어도 새벽의 저주, 바디 스내쳐, 지퍼스 크리퍼스, 샤이닝, 우주전쟁, 이블 데드 등인데, 단순히 레퍼런스 수준이 아니라 영화의 핵심 내용을 그대로 따와서 에피소드 전체의 분위기를 만들고 공주가 그 속에서 대응하는 식으로 이야기를 만든다. 그리고 잘 찾아보면 죠죠의 기묘한 모험, 게임 바이오하자드 등의 패러디도 있으니 재미삼아 찾아보는 것도 좋다.

외전으로 스핀오프격인 나쿠아전이 연재되고 있다. 나쿠아전과 괴물왕녀의 크로스 오버가 되는 에피소드도 있다. 일본에 태풍이 불어서 태풍의 눈이 나타났는데 그 모습은 진짜 거대한 눈이었다. 공주 일행은 대화를 시도한다. 하지만 그 때 나쿠아만 그 존재가 무엇인 줄 알았고,[6] 나쿠아의 신전만 태풍에서 무사했다.

3. 설정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3.1. 왕족

괴물의 왕족. 한 세대마다 다음 세대의 괴물왕이 되기 위해 남매들끼리 싸우고 죽이며 마지막에 살아남은 자만이 왕이 될 수 있다. 작중 등장한 남매들은 살리에리를 제외하곤[7] 모두 금발적안+세로동공 속성이다.

그 정체는 불사조의 유생체들. 즉 성인이 되면 불사조가 되며[8] 유생체일 때 죽고 죽이게 하는 것도 불사조가 되면 죽일 수 없어지기 때문이다. 참고로 성인이 된다는 것은 육체의 나이와는 관계가 없고 이미 성인이 된 왕족에게 인정을 받아야 성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전개되며 밝혀진 진실은 바로 불사조가 되는 것은 성인이 되는 것과 관계가 없었다. 작중에선 에밀이 자신을 불사조화시켰고 릴리안느와 실비아는 자유롭게 불사조와 인간 육체를 왔다갔다한다. 결국 완결까지 불사조화에 대해 자세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사실은 자유롭게 불사조가 될 수 있는 것 같다.

그리고 또 하나 밝혀진 진실은 성인이 된 왕족은 단 한 명뿐이라는 것이다. 괴물왕은 여러 세대의 왕족의 정신이 융합된 단일 개체의 생명으로, 괴물왕의 자손 중 최후까지 남아 가장 강력한 생명력을 증명한 자가 바로 기존의 괴물왕에게 흡수된다. 유생체들에게 불사조화에 대한 것을 숨기는 것도 이 유생체들이 미리 불사조가 되어 괴물왕에게 대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게다가 불사조 역시 오랜 삶을 살 뿐이지 죽지 않는 것은 아니며, 이렇게 자손을 흡수하며 삶을 연장한다.

불사조에게 흡수되는 것은 작중 언급을 따르면 군체의식이 되는 것이라기보다는 가장 강력한 정신력을 가진 자에게 예속되는 것이다. 그래서 릴리안느와 실비아가 최후의 결투를 할 때는 실비아의 정신세계 속에서 정신체끼리 싸웠다.

정체는 불사조이지만 괴물들을 다스린다는 설정이나 고딕 분위기 때문에 뱀파이어물로 오해하는 사람들도 많다. 그래서인지 작중에서도 흡혈귀 설정인 것으로 오해받아서 부인하는 장면이 나온다(...).

불사조는 강력한 왕족을 흡수하고 싶어하기 때문에, 형제들끼리의 다툼에서 마지막까지 살아남았다고 해서 꼭 왕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작중 샤우드가 마지막으로 남게 되었지만 쓰러트린 상대가 없었어서 왕이 되지 못했고, 다음 왕위계승전에 참가하게 되었다. 가장 강력한 먹잇감인 릴리안느, 후히토, 실비아는 서로 싸우느라 힘을 소진해서 왕족으로서의 능력을 잃어 일반인이 되었다.

성체 불사조가 어떻게 아이를 낳는진 나오지 않는다.

3.2. 피의 전사

왕족의 피를 마신 자들. 대부분 왕족들이 자신이 믿을만한 부하들에게 피를 선사하는데, 한번이라도 피를 마시면 반영구적인 불사 능력을 갖게 된다. 심지어 목이 잘려도 다시 붙이면 재생하는 수준이다. 원작 중, 키니스키 공작에게 목이 잘렸는데도 히로가 회복하는 장면이 나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하지만 말 그대로 반영구적인 불사라서, 정기적으로 왕족의 피를 계속 지급받지 않으면 정말로 죽어 다시는 부활할 수 없게 된다.[9] 작중 주인공인 히로가 여러번 이 위기에 처했었고, 악역들 중에서 은근히 많은 캐릭터가 피의 지속시간이 다해서 죽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원작 만화의 여러 엑스트라들의 말을 빌려보면, 일반인들이나 그 피를 마시는 자에게 있어서는 엄청나게 명예로운 칭호라는 것 같다.[10] [11] 하지만 왕족 중에는 단순히 한번 쓰고 버릴 잡졸들에게 피를 준다거나, 지성도 뭣도 없는 괴물에게 피를 줘서 방패막이로 써먹는다거나 하는 자들이 여럿 있는걸 보면 왕족 본인에게는 그저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는 능력 정도의 인식밖에 없는 것 같기도...

왕족의 피라는 것은 불사조의 정수같은 것이라 불사의 능력을 얻는 것으로, 이러한 피를 매개로 주는 것이 아니라, 불사조의 정수 그 자체인 생명의 불꽃을 받아 불꽃의 전사로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다. 불꽃의 전사는 피의 전사가 가진 제약에서 벗어나 완전한 불사의 존재이며, 또한 왕족과 마찬가지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대지를 녹이고 상승기류를 만들어낼 정도로 엄청난 화염을 일으킬 수 있다. 애니에서는 시작부터 불꽃의 전사

4. 등장인물

4.1. 주역

4.2. 괴물왕의 자식들(나이순)

4.3. 인조인간

말 그대로 인조인간. 왕위쟁탈전에 참여하는 왕족들의 호위역으로 주어지는 인간형 로봇들이다. 그에 걸맞게 전투력이 막강하며, 소형인 프란돌조차 중량이 톤 단위로 나가며 나무를 뽑아 휘두르는 스펙을 가졌다.

거대로봇 모습인 플란더스를 제외하면 대체로 인간과 흡사한 외모를 하고 있다. 운전이나 허드렛일도 가능. 그러나 의사소통 기능은 없는지 '우갸'라는 소리밖에 못 내는데, 사실 이 언어는 '우갸어'라 불리는 고유의 언어인 것 같다. 인조인간들끼리 만나면 우갸우갸 거리며 대화한다거나, 릴리안느가 우갸만 듣고 프란돌이 무슨 말을 하는지 알아듣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왕족 한 명 당 하나씩만 제공되는 것 같은데, 후히트는 둘을 데리고 있다.

이 인조인간들은 왕자와 왕녀들끼리 싸울 때 최소한의 리미터 역할도 한다는 점도 재미있다. 원체 이 인조인간들의 전투력이 막강하다보니 웬만한 암살자들은 왕족들은 건드리지도 못하고 리타이어한다. 즉 왕족들에게 어느 정도 질과 양이 충족되는 부하들을 모집할 것을 강요하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주인 왕족이 죽으면 자폭하게 되어 있어서 왕위계승 싸움에서 힘의 균형을 맞춰주는 역할까지 하고 있다.

인조인간들의 제작자는 프랑켄슈타인 박사이며, 인조인간들의 이름도 전부 '프란~' 돌림이다. 다만 학산 정발판에선 프란돌이 플랑드르로 오역되어서 약간 미묘해졌다.

전원 스위치의 위치는 하반신 뒤쪽 어딘가로 추정되는데, 그 때문에 스위치를 찾는 장면이 좀 엄하다.

4.4. 기타 인물

4.5. 등장괴물 및 모티브가 된 괴물

모티브가 된 괴물은 따로 ☆를 표시.

4.6. 기타

5. 미디어 믹스

5.1. TV 애니메이션

괴물왕녀 (2007)
怪物王女
파일:external/3.bp.blogspot.com/KAIBUTSU%2B%2Bimg024.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원작 미츠나가 야스노리
감독 사코이 마사유키
시리즈 구성 후데야스 카즈유키
캐릭터 디자인 쿠로다 카즈야
총 작화감독
소품 디자인 코자카이 요시오
이시민
미술 감독 오카모토 유카(岡本有香)
색채 설계 우에무라 슈지(上村修司)
촬영 감독 마츠이 신야(松井伸哉)
편집 남종현(南宗炫)
음향 감독 타카쿠와 하지메(高桑 一)
음악 카타쿠라 미키야(片倉三起也) (ALI PROJECT)
프로듀서 타나카 준이치로(田中潤一朗)
사토 마코토(佐藤 誠)
호리 켄타로(堀 謙太郎)
카나이 타카유키(金井孝幸)
카나니와 코즈에(金庭こず恵)
니노카타 유키코(二方由紀子)
사쿠라이 유카(櫻井優香)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사카이 슌지(酒井俊治)
라인 프로듀서 노자키 아야(野嵜 綾)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
애니메이션 제작협력 IMAGIN
제작 괴물왕녀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07. 04. 13. ~ 2007. 09. 28.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방송 / (금) 01:5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21]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전25화 + 번외편 1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 ||

2007년 4월에 심야 애니메이션으로 총 26화로 방영되었다. 감독은 사코이 마사유키, 작화는 쿠로다 카즈야. 여기서는 심의상의 문제인지 피의 전사들은 왕족의 가 아니라 생명의 불꽃을 먹거나 넣는 것으로 설정이 바뀌었다. 원작과 비주얼적으로는 거의 다를 바 없다. 원작에서 5권 쯤에 해당하는 세브란과의 결투로 완결. 다만 DVD 판매량은 저조했다.

5.1.1. 음악

5.1.1.1. 주제가
5.1.1.1.1. OP
OP
BLOOD QUEEN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미사토 아키
작사 하타 아키
작곡 쿠로스 카츠히코(黒須克彦)
편곡 스즈키 마사키(鈴木マサキ)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사코이 마사유키
연출
작화감독 쿠로다 카즈야
코자카이 요시오
히로타 토모코(広田知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5.1.1.1.2. ED
ED
跪いて足をお嘗め
무릎을 꿇고 발을 핥거라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ALI PROJECT
작사 타카라노 아리카(宝野アリカ)
작곡 카타쿠라 미키야(片倉三起也)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타카하시 타케오
연출
작화감독 쿠로다 카즈야
코자카이 요시오
히로타 토모코(広田知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uby(跪, ruby=ひざまず)]いてお[ruby(嘗, ruby=な)]めよ [ruby(赤, ruby=あか)]い[ruby(爪, ruby=つめ)]を
무릎을 꿇고 핥거라 빨간 손톱을
[ruby(縺, ruby=もつ)]れた[ruby(舌, ruby=した)]で[ruby(女王様, ruby=じょおうさま)]とお[ruby(呼, ruby=よ)]びなさい
꼬부라진 혀로 여왕님이라 부르도록

[ruby(地獄, ruby=じごく)]に[ruby(咲, ruby=さ)]く[ruby(太陽, ruby=たいよう)]と
지옥에 피는 태양이며
[ruby(極楽, ruby=ごくらく)]に[ruby(墜, ruby=お)]ちる[ruby(闇, ruby=やみ)]と
극락으로 떨어지는 어둠이며
[ruby(眩, ruby=まぶ)]しさと[ruby(絶望, ruby=ぜつぼう)]なら
눈부심이며 절망이 있다면
どちらが[ruby(深, ruby=ふか)]いのだろう
어느 쪽이 깊을까

[ruby(頭, ruby=アタマ)]ノ[ruby(中, ruby=ナカ)]カラ[ruby(薔薇薔薇, ruby=バラバラ)] [ruby(散, ruby=チ)]ラシテアゲルワ[ruby(波羅蜜, ruby=ハラミツ)]
(머릿 속부터 갈기갈기 흩뿌려줄게 바라밀)

[ruby(秘, ruby=ひ)]めやかに[ruby(疼, ruby=うず)]く[ruby(傷, ruby=きず)]も
은밀하게 쑤시는 상처도
したたかに[ruby(滴, ruby=したた)]る[ruby(血, ruby=ち)]も
똑바로 똑똑 떨어지는 피도
[ruby(心, ruby=こころ)]の[ruby(底, ruby=そこ)]へと[ruby(届, ruby=とど)]く
마음 깊숙히 닿는
[ruby(美, ruby=うま)]し[ruby(貢, ruby=みつ)]ぎ[ruby(物, ruby=もの)]なのに
아름다운 공물일진대

[ruby(求, ruby=もと)]めるのが
바라는 것이
まだ[ruby(愛, ruby=あい)]なんて
아직 사랑따위라니
[ruby(男達, ruby=おとこたち)]どれほどまで
남자들은 대체 언제까지
[ruby(浅, ruby=あさ)]はかな[ruby(子供, ruby=こども)]だろう
어리석고 유치할는지

[ruby(跪, ruby=ひざまず)]いてお[ruby(嘗, ruby=な)]めよ [ruby(聖, ruby=せい)]なる[ruby(足, ruby=あし)]
무릎을 꿇고 핥거라 성스러운 발을
[ruby(掠, ruby=かす)]れた[ruby(喉, ruby=のど)]で[ruby(女王様, ruby=じょおうさま)]とお[ruby(呼, ruby=よ)]びなさい
쉬어버린 목으로 여왕님이라 부르도록
[ruby(生, ruby=い)]きる[ruby(証, ruby=あかし)] [ruby(聳, ruby=そび)]える[ruby(痛, ruby=いた)]みの[ruby(塔, ruby=とう)]に
살아있는 증거 치솟은 아픔의 탑에
[ruby(這, ruby=は)]って[ruby(昇, ruby=のぼ)]って[ruby(絶, ruby=た)]え[ruby(絶, ruby=だ)]えに
기어올라가 숨끊어지도록
それでも[ruby(乞, ruby=こ)]うのなら
그래도 그걸 바란다면

[ruby(私, ruby=わたし)]の[ruby(凍, ruby=こお)]りついた[ruby(涙, ruby=なみだ)]を
내 얼어붙은 눈물을
[ruby(融, ruby=と)]くのはあなたの
녹이는 건 너의
[ruby(最後, ruby=さいご)]の[ruby(一声, ruby=ひとこえ)]かもしれない
마지막 한마디일지도 몰라

[ruby(好色, ruby=こうしょく)]と[ruby(嗜虐, ruby=しぎゃく)]の[ruby(目, ruby=め)]と
호색이며 가학의 눈이며
[ruby(組, ruby=く)]み[ruby(敷, ruby=し)]かれる[ruby(屈辱, ruby=くつじょく)]と
깔려버리는 굴욕이며
[ruby(恍惚, ruby=こうこつ)]の[ruby(狭間, ruby=はざま)]に[ruby(視, ruby=み)]る
황홀한 틈새로 보는
[ruby(哀, ruby=かな)]しき[ruby(幸福, ruby=こうふく)]の[ruby(影, ruby=かげ)]
슬픈 행복의 그림자

[ruby(躯, ruby=カラダ)]ノソコカラ[ruby(炸裂, ruby=サクレツ)] [ruby(逃, ruby=ノガ)]シハシナイワ[ruby(絶頂, ruby=ゼッチョウ)]
(몸 속의 그곳에서 작렬 놓치진 않아 절정)

[ruby(騙, ruby=だま)]し[ruby(騙, ruby=だま)]されて[ruby(繋, ruby=つな)]ぐ
속이고 속아 이어진
[ruby(蜘蛛, ruby=くも)]の[ruby(糸, ruby=いと)]のはかなさよ
거미줄의 허망함이여
[ruby(信, ruby=しん)]じられるものはもう
믿을 수 있는 건 이제
[ruby(何, ruby=なに)]も[ruby(有, ruby=あ)]りはしないのに
하나도 있을 수 없을진대

[ruby(縋, ruby=すが)]りたいのが
매달리고 싶은 것이
なお[ruby(愛, ruby=あい)]なんて
여전히 사랑따위라니
[ruby(女達, ruby=おんなたち)]どれほどまで
여자들은 대체 언제까지
[ruby(愚, ruby=おろ)]かな[ruby(生, ruby=い)]き[ruby(物, ruby=もの)]だろう
바보같은 생물일는지

[ruby(跪, ruby=ひざまず)]いて[ruby(捧, ruby=ささ)]げよ [ruby(永久, ruby=とわ)]なるもの
무릎을 꿇고 바치거라 영원한 것을
[ruby(渇, ruby=かわ)]いた[ruby(喉, ruby=のど)]で[ruby(母様, ruby=かあさま)]と[ruby(叫, ruby=さけ)]びなさい
애타는 목으로 어머니를 부르짖도록
[ruby(生, ruby=い)]きる[ruby(教, ruby=おし)]え [ruby(撓, ruby=しな)]った[ruby(鞭, ruby=むち)]の[ruby(音, ruby=おと)]を
살아있는 가르침 휘어진 채찍 소리를
[ruby(数, ruby=かぞ)]え[ruby(纏, ruby=まと)]って[ruby(怖怖, ruby=こわごわ)]と
하나하나 휘감아라 바들바들 떨며
それでも[ruby(乞, ruby=こ)]うのなら
그래도 그걸 바란다면

[ruby(純粋, ruby=じゅんすい)]と[ruby(云, ruby=ゆ)]う [ruby(汚物, ruby=おぶつ)]に[ruby(塗, ruby=まみ)]れた
순수란 오물에 칠해진
[ruby(宝石, ruby=ほうせき)]をこの[ruby(手, ruby=て)]で
보석을 이 손으로
[ruby(掬, ruby=すく)]い[ruby(出, ruby=だ)]せるのかもしれない
건져낼 수 있을지도 몰라

[ruby(横, ruby=よこ)]たわって[ruby(求, ruby=もと)]めよ [ruby(甘, ruby=あま)]い[ruby(舌, ruby=した)]を
가로누워 갈구하거라 달콤한 혀를
[ruby(可愛, ruby=かわい)]い[ruby(声, ruby=こえ)]で[ruby(姉様, ruby=ねえさま)]とお[ruby(鳴, ruby=な)]きなさい
귀여운 목소리로 누님이라 울어보도록
[ruby(跪, ruby=ひざまず)]いてお[ruby(嘗, ruby=な)]めよ [ruby(聖, ruby=せい)]なる[ruby(足, ruby=あし)]
무릎을 꿇고 핥거라 성스러운 발을
[ruby(掠, ruby=かす)]れた[ruby(喉, ruby=のど)]で[ruby(女王様, ruby=じょおうさま)]とお[ruby(呼, ruby=よ)]びなさい
쉬어버린 목으로 여왕님이라 부르도록
[ruby(生, ruby=い)]きる[ruby(証, ruby=あかし)] [ruby(聳, ruby=そび)]える[ruby(痛, ruby=いた)]みの[ruby(塔, ruby=とう)]に
살아있는 증거 치솟은 아픔의 탑에
[ruby(這, ruby=は)]って[ruby(昇, ruby=のぼ)]って[ruby(絶, ruby=た)]え[ruby(絶, ruby=だ)]えに
기어올라가 숨끊어지도록
そうして[ruby(恋, ruby=こ)]うるなら
그러고도 사랑할 수 있다면

[ruby(私, ruby=わたし)]の[ruby(凍, ruby=こお)]りついた[ruby(魂, ruby=こころ)]を
내 얼어붙은 마음을
[ruby(解, ruby=と)]くのは[ruby(再, ruby=ふたた)]び
풀어헤치는 건 다시
[ruby(目覚, ruby=めざ)]めるあなたの[ruby(瞳, ruby=ひとみ)]でしょう
깨어난 너의 눈동자겠지
}}}}}}}}} ||
5.1.1.2. 삽입곡
14화 삽입곡
王的血族
왕의 혈족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ALI PROJECT
작사 타카라노 아리카(宝野アリカ)
작곡 카타쿠라 미키야(片倉三起也)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この[ruby(躰, ruby=からだ)]に[ruby(受, ruby=う)]け[ruby(継, ruby=つ)]がれし
이 몸에 계승되어온
[ruby(血, ruby=ち)]が[ruby(綴, ruby=つづ)]った
피를 이었다
[ruby(系譜, ruby=けいふ)]の[ruby(枝, ruby=えだ)]を[ruby(遡, ruby=さかのぼ)]って
계보의 가지를 거슬러
[ruby(貴方, ruby=あなた)]に[ruby(会, ruby=あ)]おう
당신을 만나야지

[ruby(聳, ruby=そび)]える[ruby(城壁, ruby=じょうへき)] [ruby(玉座, ruby=ぎょくざ)]の[ruby(間, ruby=ま)]に[ruby(立, ruby=た)]つ
치솟은 성벽 알현실에 서서
[ruby(孤高, ruby=ここう)]の[ruby(裳, ruby=もすそ)]を[ruby(引, ruby=ひ)]き[ruby(摺, ruby=ず)]る [ruby(横顔, ruby=よこがお)]
고고한 옷자락을 늘어뜨린 옆 모습
[ruby(懐, ruby=なつ)]かし[ruby(誇, ruby=ほこ)]らし[ruby(遠, ruby=とお)]き[ruby(祖先, ruby=ちちぎみ)]よ
그립고 자랑스런 머나먼 아버님
[ruby(迷, ruby=まよ)]える[ruby(私, ruby=わたし)]を[ruby(導, ruby=みちび)]きたまえ
헤매는 나를 인도해주길

[ruby(記憶, ruby=きおく)]の[ruby(破片, ruby=はへん)]がああ[ruby(胸, ruby=むね)]を[ruby(突, ruby=つ)]き[ruby(刺, ruby=さ)]さん
기억의 파편이 아아 가슴을 찌르네

[ruby(選, ruby=えら)]ばれしは[ruby(断絶, ruby=んぜつ)]か
선택받음은 단절인가
[ruby(血, ruby=ち)]の[ruby(常, ruby=とこ)]しえか
피의 영원함인가
[ruby(描, ruby=えが)]かれさる[ruby(道, ruby=みち)]をのぼって
그려진 길을 올라가
[ruby(君, ruby=きみ)]を[ruby(探, ruby=さが)]そう
너를 찾아야지

[ruby(灰色, ruby=はいいろ)]の[ruby(空, ruby=そら)]に[ruby(刺, ruby=さ)]さる[ruby(摩天楼, ruby=まてんろう)]
잿빛 하늘에 박힌 마천루
[ruby(未来, ruby=みらい)]よ そのとき[ruby(光, ruby=ひかり)]は[ruby(在, ruby=あ)]るか
미래여 그때 빛은 있는가
[ruby(愛, ruby=いと)]おし[ruby(貴, ruby=とうと)]し[ruby(遠, ruby=とお)]き[ruby(子孫, ruby=おとうと)]よ
가엾고 공경하는 머나먼 아우여
この[ruby(孤独, ruby=こどく)]に[ruby(愛, ruby=あい)]を[ruby(注, ruby=そそ)]ぎたまえ
이 고독에 사랑을 쏟길

[ruby(予言, ruby=よげん)]は[ruby(夢, ruby=ゆめ)]を[ruby(伝, ruby=つた)]い[ruby(歌, ruby=うた)]を[ruby(奏, ruby=かな)]でん
예언은 꿈을 전하는 노래를 연주하네

わたしはひとつの[ruby(王国, ruby=おうこく)]そのもの
나는 하나의 왕국 그 자체
すべてがこの[ruby(中, ruby=なか)]で[ruby(眠, ruby=ねむ)]り[ruby(目覚, ruby=めざ)]めて
만물이 이 안에서 잠들고 깨어나고
[ruby(流, ruby=なが)]れ [ruby(続, ruby=つづ)]く
계속계속 이어지네

[ruby(真実, ruby=しんじつ)]が[ruby(何, ruby=なに)]か[ruby(見失, ruby=みうしな)]う[ruby(夜, ruby=よる)]も
진실이 무언지 놓치는 밤도
[ruby(行, ruby=ゆ)]き[ruby(場, ruby=ば)]を[ruby(無, ruby=な)]くして[ruby(叫, ruby=さけ)]ぶ[ruby(夜明, ruby=よあ)]けも
갈 곳을 잃고 외치는 새벽도
[ruby(懐, ruby=なつ)]かし[ruby(誇, ruby=ほこ)]らし[ruby(遥, ruby=はる)]か[ruby(父君, ruby=ちちぎみ)]よ
그립고 자랑스런 아득한 아버님
[ruby(私, ruby=わたし)]は[ruby(貴方, ruby=あなた)]を[ruby(超, ruby=こ)]えてここに[ruby(居, ruby=い)]る
나는 당신을 넘어 여기 있어

[ruby(戦, ruby=たたか)]い[ruby(傷, ruby=きず)]つき[ruby(翼, ruby=つばさ)]もがれても
싸움에 상처 입고 날개가 떨어져도
[ruby(奈落, ruby=ならく)]の[ruby(奈落, ruby=そこ)]に[ruby(突, ruby=つ)]き[ruby(落, ruby=お)]とされても
나락의 밑바닥에 처박혀도
[ruby(愛, ruby=いと)]おし[ruby(貴, ruby=とうと)]し[ruby(遥, ruby=はる)]か[ruby(弟, ruby=おとうと)]よ
가엾고 공경하는 아득한 아우여
[ruby(私, ruby=わたし)]は[ruby(君, ruby=きみ)]のために[ruby(今, ruby=いま)][ruby(生, ruby=い)]きる
나는 너를 위해 지금 살 거야

こころは[ruby(偉大, ruby=いだい)]な[ruby(王族, ruby=おうぞく)]そのもの
마음은 위대한 왕족 그 자체
すべてがこの[ruby(中, ruby=なか)]で[ruby(眠, ruby=ねむ)]り[ruby(目覚, ruby=めざ)]めて
만믈이 이 안에서 잠들고 깨어나고
[ruby(満, ruby=み)]ちて [ruby(続, ruby=つづ)]く
차곡차곡 이어지네
}}}}}}}}} ||
19화 삽입곡
逢魔ヶ恋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ALI PROJECT
작사 타카라노 아리카(宝野アリカ)
작곡 카타쿠라 미키야(片倉三起也)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25화 삽입곡
原罪のAperitif
원죄의 Aperitif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카와스미 아야코
작사 하타 아키
작곡 하시모토 유카리(橋本由香利)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赤い夜に 香りの毒
붉은 밤에 향기로운 독
時間の果て眠る
시간의 종말 잠에 드네
闇人たち 今宵こそは
어둠의 자식들 오늘밤에야말로
仮面を捨て 狂気のダンス
가면을 버리고 광기의 댄스

招待状は 燃やしてこい
초대장은 불태우고 와
煙に巻かれ
연기에 휩싸여
宿命など 忘れ去って
숙명따위 잊어버리고
血塗れパーティー 始めよう
피투성이 파티 시작하지

快楽には弱い方が
쾌락엔 약한 편이
罪の意識を味わう喜びが深い
죄의식을 맛보는 기쁨이 커

此処に来れば解るさ
여기 오면 알게 될 걸
嘆きの林檎 アダムのキス
비탄의 사과 아담의 키스
誘惑なんてアペリティフ
유혹따위는 식전주
楽園追放されてもいいじゃない
낙원 추방당해도 괜찮잖아

黒い[ruby(睫, ruby=まつげ)] 落とす影よ
검은 속눈썹 내려앉을 그림자여
微笑みにご用心
미소를 조심
油断の胸 引き裂かれて
방심하던 가슴 갈기갈기 찢기고
余興となり [ruby(輪舞曲, ruby=ロンド)]のステップ
여흥이 돼 윤무곡의 스텝

瞳に酔う 許しを請え
눈동자에 도취 용서를 빌어
[ruby(跪, ruby=ひざまつ)]きつつ
무릎을 꿇으면서
誇りを捨て 誓う儀式
긍지를 버려 맹세해 의식
浪漫と退廃 美の真理
낭만과 퇴폐 미의 진리

悦楽から逃れるには
열락에서 벗어나려면
罰に甘んじ自ら捧げてみせよ
벌을 받아들이고 몸소 바쳐봐

お愉しみはこれから
즐거움은 이제부터
薔薇の蜜で イヴからウィンク
장미의 꿀로 이브가 윙크
宝石樹のデザート
보석 나무 아래 데이트
輝き冷たく[ruby(躯, ruby=からだ)]に染み込むよ
반짝반짝 차갑게 몸에 스며들어

赤い夜は 香りつつも
붉은 밤은 향기로우면서도
時間を超え続く
시간을 초월해 계속돼
闇人たち 今宵こそは
어둠의 자식들 오늘밤에야말로
仮面を捨て 狂気のダンス
가면을 버리고 광기의 댄스

瞳に酔う 許しを請え
눈동자에 도취 용서를 빌어
[ruby(跪, ruby=ひざまつ)]きつつ
무릎을 꿇으면서
誇りを捨て 誓う儀式
긍지를 버려 맹세해 의식
血塗れパーティー 終わらない
피투성이 파티 끝나지 않아
誇りを捨て 己を捨て
긍지를 버려 자신을 버려
浪漫と退廃 美の真理
낭만과 퇴폐 미의 진리
}}}}}}}}} ||

5.1.2.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蘇生王女
소생왕녀
코바야시 야스코 사코이 마사유키 코자카이 요시오
강백민
日: 2007.04.13.
韓:
제2화 破壊王女
파괴왕녀
타카야시키 히데오
(高屋敷英夫)
이와모토 야스오 시노다 요시노
(しのだよしの)
나라오카 히카루
(奈良岡 光)
日: 2007.04.20.
韓:
제3화 暴走王女
폭주왕녀
하카타 마사토시
(博多正寿)
모리타 히로미츠
(森田浩光)
카와지리 쇼타
(川尻祥大)
엄상용 日: 2007.04.27.
韓:
제4화 交渉王女
교섭왕녀
후데야스 카즈유키 타카하시 타케오 타카기 히데후미
(高木秀文)
이상희 日: 2007.05.04.
韓:
제5화 血統王女
혈통왕녀
하카타 마사토시 나카야마 마사에
(中山正恵)
요코야마 히로미
(横山広実)
이와모토 미카
(岩本美香)
오오츠카 미도리
(大塚美登理)
日: 2007.05.11.
韓:
제6화 同盟王女
동맹왕녀
후데야스 카즈유키 시노다 요시노 나라오카 히카루 日: 2007.05.18.
韓:
제7화 電撃王女
전격왕녀
하카타 마사토시 요코야마 히로미 카와지리 쇼타 임승봉 日: 2007.05.25.
韓:
제8화 密室王女
밀실왕녀
에나츠 유키
(江夏由結)
타카하시 타케오 타카기 히데후미 코자카이 요시오
경백민
日: 2007.06.01.
韓:
제9화 白黒王女
흑백왕녀
후데야스 카즈유키 나카야마 마사에 오노다 유스케
(小野田雄亮)
오오츠카 미도리 日: 2007.06.08.
韓:
제10화 追憶王女
추억왕녀
미나카미 세이시 이와모토 야스오 시노다 요시노 나라오카 히카루 日: 2007.06.15.
韓:
제11화 猫舌王女
고양이혀 왕녀
후데야스 카즈유키 후지사와 토시유키
(藤澤俊幸)
요코야마 히로미
이와모토 미카
주옥윤 日: 2007.06.22.
韓:
제12화 消耗王女
소모왕녀
타카야시키 히데오 키미야 시게루
(きみやしげる)
아사미 마츠오
(浅見松雄)
임승봉 日: 2007.06.29.
韓:
제13화 生贄王女
제물왕녀
에나츠 유키 타카하시 타케오 카와지리 쇼타 오오츠카 미도리 日: 2007.07.06.
韓:
제14화 疾走王女
질주왕녀
후데야스 카즈유키 이와모토 야스오 시노다 요시노 나라오카 히카루 日: 2007.07.13.
韓:
제15화 訪問王女
방문왕녀
에나츠 유키 후지사와 토시유키 타카기 히데후미 주옥윤 日: 2007.07.20.
韓:
제16화 継承王女
계승왕녀
후데야스 카즈유키 타마이 키미코
(玉井公子)
나카무라 치카요
(中村近世)
타카자와 미카
(高澤美佳)
경백민
日: 2007.07.27.
韓:
제17화 年増王女
중년왕녀
타카야시키 히데오 후지사와 토시유키 요코야마 히로미
이와모토 미카
임승봉 日: 2007.08.03.
韓:
제18화 狩人王女
사냥꾼왕녀
후데야스 카즈유키 이와모토 야스오 시노다 요시노 나라오카 히카루 日: 2007.08.10.
韓:
제19화 海洋王女
해양왕녀
후쿠토미 히로시 코야타 요리히사
(古谷田順久)
오오츠카 미도리 日: 2007.08.17.
韓:
제20화 連結王女
연결왕녀
나카야마 마사에 타카기 히데후미 주옥윤 日: 2007.08.24.
韓:
제21화 追放王女
추방왕녀
키미야 시게루 우스이 후미아키
(臼井文明)
김유준
서순영
日: 2007.08.31.
韓:
제22화 殺戮王女
살육왕녀
이와모토 야스오 시노다 요시노 나라오카 히카루 日: 2007.09.07.
韓:
제23화 死霊王女
사령왕녀
나카야마 마사에 카시마 노리오 주옥윤 日: 2007.09.14.
韓:
제24화 決闘王女
결투왕녀
사코이 마사유키 코자카이 요시오 日: 2007.09.21.
韓:
제25화 不良王女
불량왕녀
에나츠 유키 후지사와 토시유키 요코야마 히로미 오오츠카 미도리 日: 2007.09.28.
韓:
번외편 昏睡王女
혼수왕녀
후데야스 카즈유키 이와모토 야스오 시노다 요시노 나라오카 히카루 日: 2008.04.10.
韓:

5.2. OVA

괴물왕녀 (2010)
怪物王女
파일:괴물왕녀_OAD.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원작 미츠나가 야스노리
감독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음향 감독
캐릭터 디자인 사다카타 키쿠코(貞方希久子)
크리처 디자인 사토 케이이치
메카 디자인
미술 감독 쿠라모토 유타카(椋本 豊)
색채 설계 나가이 루미코
촬영 감독 이리베 아키라(入部 章)
편집 오쿠다 히로시(奥田浩史)
음악 타미츠 마코토(田光マコト)
프로듀서 타테이시 켄스케(立石謙介)
야마구치 타카시(山口 崇)
우메츠 리이치로(梅津理一郎)
애니메이션 제작 타츠노코 프로덕션
제작 코단샤
공개 기간 2010. 12. 09. ~ 2011. 10. 07.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3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 ||

2010년 스탭진과 성우를 전부 바꾸어 OAD 3편을 냈다. 감독은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원작의 특급행왕녀 1편, 오리지널 스토리 암흑왕녀+고도왕녀 2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쿠로다 카즈야의 TVA 애니 작화와는 다른 최대한 원작을 살린 작화가 특징. 여기서는 원작처럼 피의 전사들에게 생명의 불꽃이 아닌 왕족의 피를 먹이는 설정으로 회귀했다이 작화로 다시 리메이크 했으면 좋겠다..... 본 스토리가 끝나면 스핀오프로 케르베 롯테가 나온다. OAD에서는 원작에 없던 공주의 판치라가 자주 나오므로 팬이라면 꼭 봐두자

5.2.1. 회차 목록



[1] 그런데 저 프란 돌림도 프랑켄슈타인에서 따 온 거고 인조인간들의 제작자 이름부터가 프랑켄 박사라 무슨 짓을 해도 오역이 나올 수 밖에 없는 문제긴 하다.[2] Resurrection(레저렉션). 흔히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즉 부활, 소생을 뜻하는데 작품에서 히로가 공주의 피로 소생하는 관계를 생각하면 적절한 뜻이 아닐 수 없다.[3] 저조한 DVD 판매량에도 재애니메이션화.[스포일러] 공주는 여전히 티아라를 쓰고 히로도 피의 전사 상태다.[5] 처음 읽을 때는 그 연계성을 모르고 복선처럼 제시되나 나중에 이를 꿰는 에피소드들이 등장한다.[6] 그 존재는 바로 나쿠아 전에 등장하는 악의 존재 도래신이었다.작중에서 그 태풍의 눈이 자신의 아이를 내놓으라고 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나쿠아전에서 나올 듯 하다.[7] 은발적안이다.[8] 정확히는 영혼만 불사조가 되고 육체는 빈 채로 방치된다.[9] 단 왕족의 피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는 가능. 작중 키니스키는 피의 효력이 다해 죽었지만 트라이옥신으로 부활한다. 그리고 죽는다.[10] 기본적으로 일반 괴물들에게는 많은 무훈을 세운 전사가 명예로운 죽음을 맞이한 뒤에 그 공적에 대한 상으로 피의 전사가 된다고 알려져 있다.[11] 늑대인간은 예외. 이들은 (특히 싸움에서의) 죽음으로 명예를 완성한다고 생각하여 '불사'라는 것을 수치로 생각한다.[12] OAD 프란돌과 중복이다. 사실 이구치 유카 혼자 애니에 등장하는 인조인간들을 도맡았다. 그래봤자 우갸 한마디뿐이긴 하지만.[13] 프란돌은 체구가 작고, 플란더스는 터무니없이 크며, 프란셋은 파손으로 불완전, 프랑켄은 컨트롤하는 사람이 없어서 막나갔다.[14] 긴급한 상황이나 놀라서 입을 열 때마다 사망한다. 개그 씬이지만 넘어져서 '아야'하고 죽어버린 적도 있다(…)[15] 애당초 저주를 건 마법사는 실비아의 부하였다.[16] 불꽃의 전사는 사망 시의 경직이 없기 때문에 대화에도 문제가 없지만, 대신 몸에서 회복의 불꽃이 쏟아져 나온다(…)[17] 공작이라고 하는 것 같다. 왕족들을 제외하면 괴물왕국에서 괴물들이 오를 수 있는 최고서열급 지위인 듯.[18] 작중 묘사를 보면 흡혈귀는 피의 지배가 통하지 않고 변덕이 심한 종족이라 왕족이 심복으로 삼는 일이 좀처럼 없는 듯 하다. 때문에 키니스키의 입김은 통해도 레이리가 왕족 백줄을 내세워 자신을 변호하지 못한 모양이다. 키니스키가 죽은 뒤 레이리는 복권되었다.[19] 미사카에게 어린 여동생이 있기 때문에, 그 여동생이 어른이 될 때까지만이라도 미사카가 있어야 한다면서 공주에게 트라이옥신 수송을 부탁한다.[20] 그도 그럴 것이 상대인 거인은 괴물 따위가 아닌 신을 죽인 47명의 천사 중 한 명이었다.[21] SD 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