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01:19:23

김원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원희(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김원희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공채 탤런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fff> 문화방송 탤런트
1기 (1969) <colbgcolor=#ffffff,#1c1d1f>김애경 · 박광남 · 박상조 · 박은수 · 서권순 · 이도련 · 임문수 · 임현식 · 조경환
2기 (1970) 권귀옥 · 김자옥 · 박경현 · 박원숙 · 양정화 · 최은숙 · 한혜숙
3기 (1970) 국정환 · 김수미 · 김영애 · 박영태 · 손창호 · 안옥희 · 염복순 · 허진
4기 (1971) 김정 · 김호영 · 나영진 · 박영지 · 신국 · 홍민우
5기 (1972) 강인덕 · 고두심 · 김동주 · 김정하 · 남영진 · 문회원 · 박정수 · 박종관 · 윤석오 · 이계인 · 정대홍 · 한인수 · 현석
6기 (1973) 김성찬 · 김주영 · 박윤배 · 백인철 · 송경철 · 오미연 · 유인촌 · 이금복 · 임채무 · 정소녀 · 정태섭 · 홍순창
7기 (1975) 김동현 · 김해숙 · 노영국 · 송기윤 · 박상규 · 이경진 · 임정하 · 진유영
8기 (1976) 김보연 · 박병훈 · 이숙 · 이창환 · 전인택 · 한미영
9기 (1977) 권은아 · 길용우 · 김홍석 · 신신애 · 이원용 · 정한헌
10기 (1978) 김용선 · 윤순홍 · 이미영 · 이혜숙 · 홍성애
11기 (1979) 오미희 · 이미지 · 이보희 · 이상숙 · 한영수
12기 (1980) 김화란 · 나영희 · 송옥숙 · 임영규 · 정선일
13기 (1981) 김성일 · 박순천 · 최명길
14기 (1981) 김청 · 김혜정 · 이휘향 · 홍진희
15기 (1982) 맹상훈 · 박찬환 · 서갑숙 · 신복숙 · 안명숙 · 이동신 · 이상미 · 이영범 · 이원재 · 정성모 · 조형기 · 차주옥 · 최상훈
16기 (1983) 김주승 · 문용민 · 최항석 · 한애경 · 황신혜
17기 (1984) 견미리 · 김도연 · 노경주 · 윤철형 · 이정훈 · 정호근 · 천호진 · 최재호 · 허윤정
18기 (1986) 강문영 · 김영석 · 김응석 · 박상원 · 박순애 · 신혜수 · 윤예희 · 이경아 · 이재룡 · 이재훈 · 정명환 · 채유미
19기 (1989) 김나운 · 김명수 · 김미영 · 김은수 · 김은정 · 김종아 · 김찬우 · 김화영 · 박세준 · 박선영 · 박지영 · 박형준 · 배영옥 · 변소정 · 송경희 · 신윤정 · 양동재 · 오연수 · 유식 · 음정희 · 이명희 · 이진우 · 이창훈 · 임대호 · 임채원 · 장서희 · 정은수
20기 (1991) 강이은 · 감우성 · 곽진영 · 김소이 · 김현숙 · 박철 · 안신우 · 정경희 · 차광수 · 한석규
21기 (1992) 김원희 · 박선영 · 박주미 · 안승미 · 윤동환 · 장동건 · 조현숙 · 최범호
22기 (1993) 김현석 · 손보영 · 심은하 · 왕희지 · 양정아 · 이시은 · 전유진 · 조민기 · 차인표 · 최종환 · 황인성 · 황인정
23기 (1994) 손건우 · 안재욱 · 유태웅 · 윤용현 · 이민영 · 이아현 · 이은영 · 이현경 · 최선미 · 최영재 · 최지우 · 황상희
24기 (1995) 나경미 · 박용우 · 오세정 · 이성재 · 이종수 · 장성원 · 정재곤 · 정준호 · 조미령 · 최지나
25기 (1996) 강성연 · 구혜진 · 김세아 · 김정은 · 서유정 · 안재환 · 유서진
26기 (1997) 강지오 · 권연우 · 김승수 · 김옥주 · 박형선 · 손소영 · 정기성 · 홍충민
27기 (1998) 김용희 · 박솔미 · 박정은 · 박주희 · 송일국 · 이승아 · 허성수 · 홍은희
28기 (1999) 고정민 · 김철기 · 이세은 · 정소영
29기 (2000) 박도유 · 박현정 · 손민경 · 손유경 · 인교진
30기 (2001) 강보라 · 신동미 · 이상이 · 전익령 · 진태현 · 최자혜
31기 (2003) 김남길 · 김효서 · 이제인 · 장남경 · 전수지
}}} †: 사망한 탤런트
※ 특채 탤런트는 제외
※ 나무위키 등재 인물만 기입
}}}}}} ||

파일:린브랜딩 로고.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color:#ff99ff; margin: -6px -1px -11px"
아티스트
김빈우 김원희 서현진 이민우 이세은
이은율 임서원 홍신애 황우림 백인태
}}}}}}}}} ||
김원희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
파일:구백예대 트로피.png
TV 부문 여자 예능상
제46회
(2010년)
제47회
(2011년)
제48회
(2012년)
강유미
안영미
(개그콘서트)
김원희
(놀러와)
박하선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 ||
}}} ||
<colbgcolor=#5C6A77><colcolor=#F9FFFF> 김원희
金元嬉|Kim Won Hee
파일:김원희 프로필 이미지.jpg
출생 1972년 6월 9일 ([age(1972-06-09)]세)
서울특별시 마포구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65cm, 50kg[1], A형
가족 부모님
언니 김남희, 여동생 김조희, 김윤희, 남동생
배우자 손혁찬(2005년 결혼 ~ 현재)
학력 마포초등학교 (졸업)
동명여자중학교 (졸업)
배성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
광운대학교 정보과학교육원 (방송연예학 / 학사)
소속사 린브랜딩
데뷔 1992년 MBC 21기 공채 탤런트
종교 개신교(장로회)[2]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싸이월드 아이콘.svg

1. 개요2. 연기 활동
2.1. 영화2.2. 드라마/시트콤
3. MC 활동4. 여담5. 수상 내역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방송인, 배우.

초창기에는 연기자로서 입지를 다졌지만, 공감토크쇼 놀러와에서 특유의 입담을 자랑하면서 MC로서 인지도가 더 많아진 인물.

2. 연기 활동

1992년 MBC 공채 탤런트 21기[3]로 데뷔했다. 데뷔 초기에는 드라마에 자주 출연했는데, 비록 주연은 아니었을언정 주조연급이었고, 작품 자체는 모두 대박을 친 작품들이었다. 한지붕 세가족, 서울의 달 등 당대에 엄청난 시청률로 화제가 되었던 세 작품에 모두 출연했다. 1998년 드라마 홍길동에서는 히로인임에도 작품 내내 주인공악역 사이를 오가다 마지막회에서 페이크 히로인이 됐다. 시트콤LA 아리랑에도 출연한 바 있고 1995년 드라마 장희빈에서는 인현왕후 역으로 열연한 바 있다. 그래서 1990년대까지 김원희라고 하면 배우라는 느낌이 훨씬 강했다.

사실 지금은 방송인으로 유명하지만 김원희는 정극이나 코미디 연기에도 능하며 특유의 개성적이고 튀는 매력을 가진 배우였다. 당시 비슷한 시기에 방영한 장희빈임꺽정을 보면 상이한 두 캐릭터다. 유약하지만 나름 강단도 있는 인현왕후와 산에서 자라 거칠고 험하지만 임꺽정 일편단심인 아내 운총을 잘 소화해냈다.[4]

하지만 주연급 배우로는 성장하지 못한 채 연기 경력을 이어갔다. 2000년대 들어서는 영화에 좀 더 자주 출연하기 시작했다. 이때가 MC로서 성공대로를 밟아가던 시기와 맞아 떨어지는데, 영화 운은 없는지 대부분 평이 그럭저럭인 영화에 주로 출연했다. 또한 진지한 정극 연기와는 달리 주로 코믹 연기로 노선을 바꿨다.[5] 대표적으로 가문의 위기. 가문의 위기 등으로 히트하면서 2005년에는 SBS 드라마 사랑은 기적이 필요해에서 원탑 여주인공을 맡기도 했었다. 당시 최진실의 메가히트작 장밋빛 인생과 동시간대에 겹치는 바람에 묻힐 뻔 했으나, 17%대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나름대로 중박은 날렸다.

이선희의 정규 12집 My Life + Best(2001) 수록곡 중 하나인 '살아가다 보면(박진영 작사, 작곡)'의 뮤직비디오에 출연했다.

한편, 김원희는 2000년 출연한 SBS 도둑의 딸조기종영MC 활동과 학업(2001년 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에 늦깎이 입학)까지 병행하느라 SBS 이 부부가 사는 법, MBC 가을에 만난 남자 등의 드라마에서 섭외가 왔으나 모두 사절했으며 2005년 사랑은 기적이 필요해로 드라마 복귀를 했다. 사랑은 기적이 필요해는 우연성의 남발로 비난을 샀고 극중 차봉심 역으로 나온 김원희가 해당 드라마 뿐 아니라 MC 활동 등으로 탈진 상태를 겪어 결국 기대 이하의 성적에 그쳤으며, 김원희는 그 이후 2008년 OCN 과거를 묻지 마세요에 출연했을 뿐, 현재는 연기는 거의 하지 않고 진행자 위주로 활동 중이다.

그나마 연기자로서 프랜차이즈라 할 수 있던 가문 시리즈가 자멸하고, 본인의 의지인지 캐스팅이 없는건지 연기 활동이 거의 끊어지다시피 하면서, 연기가 아닌 MC로서 방송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2001년 라디오 정오의 희망곡에서 라디오 DJ를 맡게 되는데, "통통 튀는 말솜씨"가 매력적이라고 했다.[6] 그 뒤로 각종 예능/교양 프로그램 MC를 시작해서, 2011년에는 명실상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여성 MC 중 한명으로 올라서게 된다.

결국 김원희는 2005년 4월 시작한 MBC 오후의 발견으로 라디오 DJ 활동을 재개했는데 연기활동 일정과 건강상의 문제 탓인지 2007년 봄 하차했다.

2.1. 영화

2.2. 드라마/시트콤

3. MC 활동

김원희가 활동하던 당시 우리나라 방송계에서 여자 MC는 희귀했다.[8] 김원희가 마지막으로 MC로 활동했던 자기야 - 백년손님 방영 당시에는 여자 연예인으로 단독 MC를 맡고 있던 사람은 김원희 외에 없다. 거기에다 상기했듯이 김원희는 본인 멘트를 많이 하기보다는 게스트, 패널들의 이야기를 끌어내는 진행 스타일이기 때문에 더더욱 가치를 인정받는다. 한때 대표 여성 MC가 될 수 있을 거라 생각됐던 박경림이나 강수정, 현영 등이 급격하게 가라앉은 걸 생각하면 김원희의 활동 내역이 더욱 조명된다.[9]

자기야에서 공주병이라거나 거만하다는 오해를 받은 적이 있다. 이는 중학교 3학년 때 학교 운동장에서 친구와 이야기를 나누던 중 조기축구경기에서 날아온 공에 맞아 악관절이 생겼다고 한다. 이 때문에 발음이 좋지 못하다. 그 탓인지 라디오 방송 때 말실수('의류 교환권'을 '의류 고환권' '생식 세트'를 '생식기 세트'로 말함)가 잦았다. 전에 축구공에 뺨을 맞은 뒤로 턱이 빠져 다른 쪽까지 안 좋아져 밥도 제대로 못 먹고 목이 잘 안 돌아갈 정도의 부상을 당한 것이 이유이며 이를 위해 '껌을 씹는' 방법으로 턱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고 한다.# 사실, 예전부터 이랬고,# 거기다 허리까지 안 좋다. 예전에도 놀러와에서 자세에 대한 지적을 받았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허리가 아파서라고 밝힌 적이 있다.

공감토크쇼 놀러와의 갑작스러운 종영으로 아픔을 겪기도 했지만 2013년 4월부터 2015년 6월까지 TV조선 살림 9단의 만물상의 진행을 종편 프로그램으로서는 긴 기간인 2년동안 맡았고, 2014년 7월부터 자기야 - 백년손님의 단독 MC로 등극하며 성공적인 커리어를 이어가고 있다. 공감토크쇼 놀러와로 MC 개인으로선 상처를 많이 받았지만 동시에 자신이 가장 오래 진행했던 프로그램이기도 하고, 그 프로그램으로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여자 예능상도 받았다. 기쁨과 슬픔을 함께 안겨준 프로그램이다.

2015년 말에는 살림 9단의 만물상이 6개월 만에 개편을 거쳐 돌아왔을 때에도 MC직을 유지했고, SBS 연예대상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저력을 입증했다.

4. 여담

5. 수상 내역

<rowcolor=#FFFFFF> 연도 시상식명 수상 부문 작품
1995년 SBS 스타상[12] 우수 연기상 장희빈
1996년 SBS 연기대상 여자 인기상 꿈의 궁전
1997년 제33회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여자 인기상
1999년 SBS 연기대상 10대 스타상
2001년 시트콤 부문 연기상 허니허니
2002년 납세자의 날 대통령 표창
MBC 연기대상 라디오 부문 우수상 정오의 희망곡
2003년 제39회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대한생명 인기상
2004년 MBC 방송연예대상 쇼 버라이어티 부문 우수상 공감토크쇼 놀러와
2005년 쇼 버라이어티 부문 최우수상
2006년 저축의 날 기념 국무총리 표창
2007년 한국자원봉사대상 문화예술인 부문 우수상
MBC 방송연예대상 인기상 공감토크쇼 놀러와
2009년 납세자의 날 모범표창장
SBS 연예대상 최우수 MC상 자기야
2010년 MBC 방송연예대상 MC 부문 특별상 놀러와
2011년 제47회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여자 예능상
푸른미디어상 언어상
MBC 방송연예대상 PD상
2014년 SBS 연예대상 베스트 MC상 백년손님 - 자기야
2015년 쇼 토크쇼 부문 최우수상


[1] 네이버 프로필 기준[2] #[3] 장동건, 박주미와 동기다.[4] 그런데 김원희에게 인현왕후를 연기했을 시절을 얘기하면 매우 부끄러워한다. 아무래도 과거와 현재의 이미지 사이에 갭 때문인 듯.[5] 물론 1990년대에 출연했던 드라마 중에서도 독특한 역할을 맡기도 했다. 시집살이를 하는데 집안일도 안하고 빈둥대고 시어머니를 엄마라고 부르는 철없는 며느리로 출연했다.[6] 2001년 당시 SBS 시트콤, KBS 2TV 쇼 파워 비디오와 겹치기 출연을 하고 있었으며 이 때문에 <쇼 파워 비디오>에서는 13회(2001년 7월 29일) 만에 그만뒀고 2003년 가을 개편 때 KBS 2TV 새 프로그램 대한민국 1교시 MC로 발탁되어 '정오의 희망곡' DJ에서 빠졌다.[7] 카메오 출연. 이 영화에서 그 유명한 "내 몸이 타고있어~"를 시전했다.[8] 김원희 외에 메인 혹은 보조 MC로 활발하게 활동하는 여자 방송인으로 박미선, 이영자, 송은이, 김숙, 박나래, 장도연, 이은지 정도가 있다. 이 외에는 아이돌이나 아나운서들이 단발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9] 급격하게 가라앉은 여MC들의 공통점은 대부분 결혼과 동시에 활동이 뜸해졌다는 것이다. 특히 출산까지 더해지면 공백이 가중되어 복귀가 어려워지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박경림은 결혼-출산 뒤 활동이 뜸해졌으며, 특히 미국 유학으로 인한 텀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귀국 이후 국내 방송 진행을 하였으나 예전과 같은 지위를 되찾지는 못했다. 강수정 역시 유산 뒤에 방송활동을 중지하였다.[10] 양조위의 데뷔 과정과 동일하다. 똑같이 친구 따라 갔다가 친구는 탈락하고 본인은 합격했다.[11] 단순한 피싱이 아닌 고단수 해커였다고 한다. 계정 돌려주겠다고 요구한 금액은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인 150달러였는데, 김원희는 이를 '소액이라고 줬다가는 아예 계좌자체를 해킹할 것이다'라고 판단해 무시했다고 한다. 그 이후로는 카톡도 모자라 넷플릭스의 계정까지 해킹했었다고. 결과적으로는 앞서 나온대로 돈 주는 것 없이 1년만에 되돌려 받았다고 한다.[12] 예능부문과 드라마부문을 같이 시상한 SBS 스타상이 1996년부터 SBS 연기대상으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