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9 03:12:40

김책시

김책군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인민위
청진시
김책시 회령시 }}}
경성군 길주군 명간군 명천군
무산군 부령군 경원군 어랑군
연사군 온성군 경흥군 화대군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舊 본정 舊 쌍포정
시당

역전동
청학동 송령1동 송령2동 쌍암1동
舊 쌍포정 舊 욱정
쌍암2동 쌍화동 제강1동 제강2동 신평동
舊 욱정 舊 행정 舊 남정
한천동 해안동 수원동 성남동 송암동
舊 서정 舊 학성면
연호동 금천동 장현동 탄소동 학성동
舊 학서면 舊 학남면
업억동 쌍룡동
}}}}}}}}}

파일:북한 국기.svg 함경북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 김책시
金策市
Kimchaek City
}}}
시 소재지 미상
지역 관북
면적 850㎢
행정 구역 22동 22리
시간대 UTC+9
인구 207,299명[기준]
인구 밀도 243명/km²
구역당위원장 파일:wpk.jpg 미상
인민위원장 파일:wpk.jpg 미상
1. 개요2. 지리
2.1. 지형2.2. 기후
3. 역사4. 경제5. 교통6. 남북통일 이후 전망7. 인근 행정 구역8. 북한 기준 행정 구역
8.1. 행정 구역의 변화
9. 이북 5도 기준 행정 구역
9.1. 성진시9.2. 학성군
10.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함경북도의 시. 면적 850㎢.[2] 인구 207,699명 (2008년 기준). 광복 및 분단 이후 한국전쟁 이전까지는 성진시였다.

2. 지리

2.1. 지형

인근에 위치한 단천시와는 마천령산맥을 사이에 두고 있다. 바로 이 마천령산맥 때문에 다른 함경북도의 시/군과 마찬가지로 교통편은 모두 동쪽으로 몰려 있다.

시 원도심 근처에서 바다로 돌출된 청학반도(靑鶴半島)는 청학단(靑鶴端)이라고도 하는 경승지로, 공원으로 이용되었다. 한쪽 높은 절벽 위에는 망양정(望洋亭)이 있다고 하며 등대가 있다.

또한 쌍포동에는 두 개의 기둥처럼 서 있는 쌍포기암[3]이 있다. 옛날에는 개선문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었는데, 이후 위쪽이 떨어져서 기둥 모양이 되어버렸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 사진을 보면 해안가에 서 있었으나, 현재는 하천의 퇴적으로 해안에서 90m 정도 떨어져 있다.

2.2. 기후

김책시는 북한 내에서도 겨울이 따뜻한 편이다. 최한월인 1월의 평균 기온은 -3.8℃로 한참 남위도에 있는 동두천, 해주 등과 비슷한데. 그 이유는 백두산개마고원이 북서풍을 막아주는 데다 수심이 깊은 동해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같은 위도의 개마고원 지역과 비교하면 온도가 12~13℃ 정도 더 따뜻하다. 심지어 한반도에서 가장 추운 삼지연시, 대홍단군 등과 비교하면 무려 15℃ 이상 더 따뜻하다. 비슷한 위도의 벽동군보다도 10℃ 정도 더 따뜻하다.

물론 같은 위도의 서구권 도시와 비교하면 추운 편이다. 김책시의 위도는 북위 40°40'으로 미국뉴욕, 그리스테살로니키와 비슷하다.[4] 그러나 뉴욕의 1월 평균 기온은 0.4℃로 강릉시, 대구광역시와 비슷하고, 테살로니키의 1월 평균 기온은 5.3℃로 제주시의 기온과 비슷하다. 최난월인 8월의 평균 기온은 북한 한류의 영향으로 22.2℃로 서늘한 편이다. 비슷한 위도의 테살로니키와 비교하면 여름은 좀 더 서늘하지만 겨울은 혹독하게 춥다고 할 수 있다. 뉴욕과도 비교하면 여름은 비슷하고, 겨울은 약간 더 춥다고 볼 수 있다. 한반도 북동해안은 동위도의 미국 내륙과 비슷한 기온대를 띤다[5]. 강수량은 매우 적은 편인데, 연평균 강수량이 640.8mm로 한반도 내 대표적인 소우지이다.

열대야가 없는 지역이나, 최근 들어 2018년(25.3도), 2021년, 2022년(모두 25.0도)에 연 1회의 열대야가 발생했다.

3. 역사

역사적으로 길주군의 일부였다가, 1898(광무 2)년 성진군(城津郡)으로 분리되었고 1899(광무 3)년 함북 최초의 개항장으로 지정되면서 성진부(城津府)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길주와 합쳤다 나뉘었다를 수차례 반복했고 이 문제 때문에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결국 1903(광무 7)년에 최종 분군 확정. 길주와 합쳐질 때는 길성부(吉城府, 길주와 성진의 앞 글자를 따서)로 바뀐 적도 있다. 이 당시의 자세한 역사는 다음과 같다.
* 1898년: 길주군 일부를 성진군으로 분리
* 1899년: 성진군을 성진부로 승격
* 1900년: 성진부와 길주군을 길성부로 통폐합
* 1900년: 길성부를 성진부로 개칭
* 1901년: 성진부를 폐지하고 길주군으로 강등
* 1902년: 길주군을 길주부로 승격
* 1903년: 길주부를 길주군으로 강등
* 1903년: 길주군 일부를 성진군으로 재분리
* 1906년: 성진군을 성진부로 승격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e2e2e>
파일:고시치노키리_White.svg
'''일제강점기
{{{+1'''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기도 평안남도
파일:경성부 휘장(1925-1945).svg 파일:인천부 마크(1921~1945).png 파일:개성부 휘장.png 파일:신의주부 마크(1929~?).png 파일:평양부 마크(1922~?).png 파일:진남포부 마크(1924~?).png
경성부 인천부 개성부 평양부
함경북도 함경남도
파일:청진부 마크(1933~?).png 파일:나진부 마크(1937~?).png 파일:성진읍(1938~?)의 마크.png 파일:원산부 마크(1926~?).png 파일:함흥부 마크(?~?).png 파일:흥남읍(일제강점기)의 마크.png
청진부 나진부 성진부 원산부 함흥부 흥남부
황해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파일:해주부 마크(1939~?).png 파일:대전부 2기(1939~?) 마크.png 파일:군산부 마크(1928~?).png 파일:전주읍 마크(1930~?).png 파일:목포부 마크(1926~?).png 파일:광주부 마크(1925~?).png
해주부 대전부 군산부 전주부 목포부 광주부
경상남도
파일:대구부 마크(1927~?).png 파일:부산부 마크(?~?).png 파일:마산부 마크(1936~?).png 파일:진주부 마크(1940~?).png
대구부 부산부 마산부 진주부 }}}}}}}}}

일제 강점기가 시작된 직후인 1910년 성진부에서 성진군으로 강등되었고, 1931년 성진면이 성진읍으로 승격되었다. 1941년 성진읍이 성진부로 승격되면서, 성진군의 잔여 지역이 학성군(鶴城郡)으로 개칭됐다. 일제의 대륙 침략 정책에 따라 '일본고주파중공업주식회사 성진공장'[6]을 비롯한 각종 공장이 들어서 공업 도시로서도 이름을 날렸다.#

해방 이후 성진시로 바뀌었으나, 한국 전쟁이 발발하고 이곳 출신이자 이때 사망한 김책을 기리기 위해서 성진시와 학성군을 각각 김책시와 김책군으로 개칭했고, 1961년 두 시와 군을 합쳐서 김책시로 만든 것이다. 도농 통합 북한의 시/군 단위 광역 행정 구역 중에서 사람 이름을 딴 곳이 총 다섯 곳인데, 이 김책시와 김형직군, 김정숙군, 김형권군, 문덕군이다. 김책시와 문덕군을 제외한 나머지 세 곳은 모두 량강도 산하이다. 김형직군, 김정숙군, 김형권군 모두 추운 개마고원 지역이고, 김형직군김정숙군은 아예 압록강을 끼는 한반도 최북단 국경 지대인 것을 감안했을 때 어쩌면 김일성은 자기 가족 이상으로 김책을 특별 대우 했던 것일지도 모른다. 실제로 김일성의 일가나 심복 넷 중에서 북한이 대대적으로 공업 단지를 조성해가며 육성한 곳은 김책시 하나뿐이다.

어쨌든 상당히 큰 규모의 시로, 북한 내에서도 손꼽힐 정도로 큰 도시이다. 출발부터 11시 89군 중의 시 단위로 출발했다. 한때는 라선시보다 인구가 많았던 적도 있었다.[7] 하지만 함경북도의 최초 개항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최대 도시 자리는 청진시[8]에 빼앗겼으니 일본의 하코다테시삿포로시의 관계와 비슷하다.

4. 경제

상기 서술했듯이 북한의 중요 공업 단지. 다만 김책제철소('김철', 구 청진제철소)는 여기에 없고 청진시에 있다. 대신 여기엔 '김철'과 쌍벽을 이루는 성진제강연합기업소('성강')이 있다. 왜 이건 또 성진이여 또한 김책의 이름을 딴 학교인 김책공업종합대학은 김책시가 아니라 평양시에 위치해 있다.

시내에는 여러 군데에 온천이 몇 군데 퍼져 있다.

김책수산사업소가 있다. 성진항에 대한 정보 (리브레위키)

5. 교통

철도 평라선  만춘역 쌍룡역 김책역 장평역 학성역 송상역 업억역 
 원평역
도로 7번 국도  온성군 - 길주군 - 탑하리 - 림명리 - 학성동 - 김책시 중심부 - 청학동 -
 장현동 - 단천시 - 부산광역시
76번 국도  갑산군 - 단천시 - 세천리 - 수동리 - 림명리 
서울에서 동북쪽으로 직선 395km[9], 철도로는 약 580km 거리에 있다. 제일 가까운 남한의 도시인 속초시까지는 뱃길로 약 280km 거리.

6. 남북통일 이후 전망

명목상 행정 구역인 성진시와 학성군은 통일될 때 성진시도농 통합될 가능성이 높다.

7. 인근 행정 구역





길주군 화대군 동 해
김책시
단천시 동 해

함경북도 소속  함경남도 소속 

8. 북한 기준 행정 구역

2222리로 이루어져 있다.
김책시의 행정구역
 금천동 련호동 성남동 송령일동 송령이동 송암동 수원동 신평동
 쌍룡동 쌍암일동 쌍암이동 쌍화동 업억동 역전동 장현동 제강일동
 제강이동 청학동 탄소동 학성동 한천동 해안동
 덕인리 동흥리 룡호리 림명리 만춘리 방학리 상평리 석호리
 성상리 세천리 송중리 송흥리 수동리 옥천리 원평리 은호리
 춘동리 탑하리 풍년리 학동리 호통리 흥평리

8.1. 행정 구역의 변화

기록 순서는 구 시/군 - 구 읍/면 - 현재의 읍/동/리/로동자구 순서. 현 읍/동/리/로동자구의 중심 위치가 어딘지에 따라서 서술하였다.

9. 이북 5도 기준 행정 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9c2131>
파일:함경북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colbgcolor=#9c2131> 파일:청진시 상징.png
청진시
파일:함경북도 성진시 휘장.svg
성진시
파일:함경북도 나진시 CI.svg
나진시
파일:경성군 상징.png
경성군
파일:명천군 상징.png
명천군
파일:길주군 상징.png
길주군
파일:학성군 상징.png
학성군
파일:함경북도 부령군 휘장.svg
부령군
파일:함경북도 무산군 휘장.svg
무산군
파일:회령군 상징.png
회령군
파일:종성군 상징.png
종성군
파일:경흥군 상징.png
경흥군
파일:함경북도 경원군 휘장.svg
경원군
파일:온성군 상징.png
온성군
명목상 도청소재지 : 청진시 }}}}}}}}}

9.1. 성진시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14223F>
파일:함경북도 성진시 휘장.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법정동
<colbgcolor=#14223F> 성남동 행동
송암동 송중동
쌍암동 농성동
쌍포동 성현동 쌍포동 흥평동
역전동
시청
본동
청학동 남동
해안동 양호동
한천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서동 욱동 }}}
}}}}}}}}} ||
함경북도미수복 행정 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함경북도 성진시 휘장.svg
성진시
城津市
Sŏngjin City
}}}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시청 소재지 성진시 본동
상위 행정 구역 함경북도
하위 행정 구역 8
면적 62.75km²
인구 68,045명[10]
인구 밀도 1084.38/㎢
명예 군수 황진하
명예 동장 8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성진시 소개
파일:함경북도 성진시 시기.svg
城津市 / Sŏngjin City[11]
파일:성진시.jpg
행정동 법정동·리
성남동 행동(幸洞)
송암동 송중동(松中洞)
쌍암동 농성동(農城洞)
쌍포동 성현동(城峴洞)·쌍포동(雙浦洞)·흥평동(興坪洞)
역전동 본동(本洞)
청학동 남동(南洞)
해안동 양호동(楊湖洞)[14]
한천동 서동(西洞)·욱동(旭洞)[15]

일본 지명을 어느 정도 아는 사람이라면 사이와이(幸), 혼(本), 아사히(旭)가 보일 것이다. 성진 역시 일제 강점기의 주요 도시로서 일본식 지명이 붙었다. 애초에 길주군의 일부였다가 성진 개항을 위해 1898년에 분리됐고, 1910년 경술국치와 함께 이 이름들을 붙인 것이다. 그만큼 일제가 오랫동안 중요하게 취급한 지역이다.

연천군 신서면1974년 자매결연하였다.[16]

여담으로, 경북 경주시의 거의 정북쪽에 위치해있다.[17]

9.2. 학성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43265E><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학성군 상징.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3265E> 학남면 학동면 학상면 학서면 학중면
군청은 성진시 본동에 있음.
}}}}}}}}} ||
함경북도미수복 행정 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학성군 상징.png
학성군
鶴城郡
Hakseong-gun
}}}
<colbgcolor=#43265E><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성진시 본동
상위 행정 구역 함경북도
하위 행정 구역 5
면적 877.95km²
인구 60,102명[18]
인구 밀도 68.46/㎢
명예 군수 정상준
명예 면장 5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학성군 소개
파일:학성군.jpg
[19]

파일:학성군기.png

성진군 시절 학성면(鶴城面) 성진본정(城津本町)·성진행정(城津幸町)·성진욱정(城津旭町)이 1917년 성진면으로 분리돼 1931년 읍으로 승격되고, 1939년 학성면이 폐지돼 성진읍, 학남면, 학상면에 분할 편입됐으며, 1941년 성진읍이 부로 승격돼 분리되고 남은 성진군이 학성군으로 개칭됐다.

'학성(鶴城)'이란 이름대로, 모든 면의 이름에 '학(鶴)' 자가 들어가는 것이 특징.

10. 출신 인물



[기준] 2008년[2] 광복 당시 행정 구역상의 성진시(성진+학성)의 면적은 941㎢인데, 이는 1972년 학남면 남부 지역이 단천시로 이관되었기 때문이다.[3] 좌표: 북위 40도 41분 32, 동경 129도 12분 31[4] 뉴욕의 위도는 북위 40º 43', 테살로니키의 위도는 북위 40°39'이다.[5] 김책과 동위도인 미국 내륙 도시는 일리노이의 피오리아(북위 40º 44')와 네브래스카의 주도 링컨(북위 40º 49')이 있는데, 1월 평균 기온이 -3.9℃, -4.2℃다.[6] 이게 성진제강연합기업소의 전신이다.[7] 광복 당시 나진시는 3만 명, 성진시는 9만 명이었다. 범나진권은 12만 명, 범성진권은 14만 명.[8] 광복 당시 23만 명으로 함흥시(12만 명)보다도 인구가 많았다.[9] 거문도, 만재도와 비슷한 거리에 있다.[10] 1944년 인구 총조사[11] 현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Seongjin City[12] 특히 성남동과 남동이 그렇다.[13] 말 그대로 역 앞이라는 뜻으로, 북한에는 널린 지명이다. 그렇다고 본동으로 쓸 순 없을 테니, 이러한 관계로 역전동의 명칭을 남북통일 이후 중앙동(中央洞), 혹은 성중동(城中洞)으로 바꿀 가능성도 있다.[14] 정작 양호동은 내륙에 있어, 행정동 명칭을 양호동 쪽으로 바꿀 가능성이 있다.[15] 시행규칙 별표2에는 ‘육동’으로 오타를 냈다.[16] 이는 순전히 이북5도의 명목상 행정구역인 성진시의 자매결연이라, 실제 함경북도에 존재하는 김책시와의 교류는 전혀 없다.[17] 파일:1000119129.jpg[18] 1944년 인구 총조사[19] 위 지도에는 학성면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와 있으나, 이미 1939년 폐지되어 흥평·양호·농성동은 성진읍(당시)에, 용소·은호·달리동은 학남면에, 금천·장현동은 학상면에 분할 편입됐다.[20] 빅토르 최의 출생지는 러시아상트페테르부르크이다.

분류